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추석쿠폰 마트별 무제한 사용가능..물가영향 예측은 어려워"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94

윤인대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11일 추석 민생대책에 포함된 650억원 규모 20대 성수품 할인쿠폰에 대해 대형마트와 중소형마트, 온라인몰, 전통시장 등 사용처별로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윤 국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기재부 기자실에서 한 추석 대책 백브리핑에서 사용처에 따라 할인쿠폰 사용 횟수 등에 제한이 있냐는 질문에 "제한없다"며 "한 마트에서 2번, 3번 사용은 안 되지만 다른 마트에서는 되고, 각 대형마트도 별개, 중소형 마트도 별개로 할인쿠폰을 쓸 수 있다"고 답했다. 이마트에서 쿠폰을 썼더라도 롯데마트나 초록마을, 쿠팡, 전통시장 등에서도 사용처별로 각각 쿠폰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날 추석 장바구니 부담 완화를 위한 20대 성수품 할인쿠폰 지원 및 공급 확대, 양파 및 감자·변성전문 할당관세 적용, 추석연휴 할인 행사, 취약계층 지원 강화, 소상공인·전통시장 지원 등 내용을 담은 추석 대책을 발표했다. 윤 국장은 이처럼 수요-공급을 조절하면 물가가 어느 정도 하향 조정될지에 대해선 "여러 시뮬레이션을 해봤지만 예측이 힘들다"며 "작년 수준에 근접하는 데까진 떨어뜨리려 노력하지만 결국 추석 성수기 기간이고 수해가 더 벌어질지도 모르는 등 확답은 못 드리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대한 물가를 안정시키려 노력하지만 지금 단정적으로 올해 (연간 상승률이) 5%를 넘을 거다, 안 넘을 거다를 말하긴 조금 이르지 않나 한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윤 국장과의 일문일답. -이미 디딤돌대출을 받은 사람은 대출받은 시기의 금리가 유지돼 금리상승에 따른 부담이 없지 않나. 오히려 신규 수요를 자극할 수 있는 것 아닌가. ▶금리동결 금액이 연간 50만원 안팎이라 크진 않아 이 부분이 크게 주택 수요를 자극할진 잘 모르겠다. 이 부분은 소득제한이 있어 중산서민층 이하로 (대상을) 보면 되는데 가계 부담을 최대한 덜기 위해 정부가 하는 여러 노력 중 하나다. -정부가 이번 대책으로 추가로 쓰는 예산은 얼마인지. ▶할인쿠폰 예산이 농림축산식품부 450억원, 해양수산부 200억원이고 디딤돌대출 금리인하 등은 각 공공기관이 감내한다. 검토 중인 고속도로통행료 (면제)는 600억~700억원 가까이 된다. 건강보험료 체납 탕감 등 금액을 다 합산하기는 (어렵다). -건보료 체납분은 결손처리하는 건지. ▶정확히 말하면 징수유보다. 도덕적 해이 최소화를 위해 3년 내 이분들에게 소득이 생기면 다시 받는다. 이는 정기적으로 해오는 부분이고 이번엔 7년 이상 체납한 14.5만세대 대상으로 하겠다는 것이다. 심사해서 요건이 소득 연 100만원 이하, 재산 450만원 이하면 해주는 것이고 생각보다 금액이 크진 않다. 2021년은 2800억원 정도 징수유보 처분을 했다. -통상 하던 것 말고 새 대책은. ▶650억원 (성수품) 할인해 전년 수준으로 가격을 가져가겠단 게 제일 큰 부분이다. 최근 2~3년간 통행료 면제는 코로나19로 못 해서 이 부분을 (검토하고) 있고, 5G(5세대 이동통신) 중간요금제가 24GB(기가바이트)까진 출시됐지만 추가 출시 요청이 많았다. 이 부분은 다른 통신사를 통해 출시를 유도한다. 하반기 급식비 9% 상향조정, 식품원료 등 각종 할당관세 적용도 신규 부분이다. -할인쿠폰은 어떻게 사용하나. ▶이마트 등 마트 회원에 등록돼 있어야 하고 20개 성수품에 할인이 적용돼 계산 시 2만원까진 자동으로 할인된다. 전통시장은 제로페이를 할인해 구매하는 방식이다. 온라인에선 쿠팡도 별도 세션이 있어 쿠폰을 다운받아 사면 된다. 소비쿠폰이라 소득제한은 없다. 이 쿠폰은 업체마다 달리 적용돼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3군데 마트를 가면 최대 6만원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고 쿠팡에서 사면 또 2만원까지 할인이 되고, 전통시장은 별도로 또 3만원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식으로 작동된다. -할인쿠폰은 정부에서 지원하나. ▶쿠폰은 정부 예산이 100% 투입되고 마트 자체 할인은 정부 예산 투입 없이 협상해야 하는 부분이다. 이렇게 협의해서 콤비네이션을 통해 (성수품 가격이) 30~40%떨어지는 구조로 보면 된다. 추석 기간 대대적으로 (할인쿠폰을) 푸는 만큼 마트 할인을 더 받고 전년기간 (가격)수준에 근접하게 내리려는 게 정부 목표다. -인당 할인쿠폰 사용 한도가 있나. ▶650억원을 쓰기 때문에 조기소진 가능성은 있을 수 있다. (마트별 쿠폰 사용) 제한은 없다. 대형마트, 중소형 마트 등 (사용처마다) 별개다. -공공요금 동결 기조가 이어지는데 나중에 역효과가 더 큰 것 아니냐. 물가가 연간으로 5% 상승률을 넘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 어떻게 보는지. ▶물가가 높을 때 국민 부담이 크니 공공에서 흡수하고 물가가 안정되면 흡수한 부분을 정상화하고, 공공부문이 충격을 흡수하고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지방 정부 입장에서 보면 세수가 많이 들어와 있고 여력이 좀 있다. 물가 전망은, 최대한 물가를 안정시키려 노력하지만 지금 단정적으로 올해 5%를 넘을 거다, 안 넘을 거다 말하긴 조금 이르지 않나 한다. -할인쿠폰이 단기적으로 가격은 낮추지만 장기적으로 수요를 자극해 좋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아주 광범위한 기간에 하면 모르겠지만 추석 성수기에 집중해 하는 부분이고, 추석엔 수요가 많아져 성수품 중심 가격이 올라가는 경향이 있어 최대한 부담을 덜어드리려 가장 많은 금액을 투입하는 것이다. -온누리상품권이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을 대체하는 것인지. ▶지역화폐는 내년도 예산 부분이라 아직 예산 편성 과정 중에 말할 순 없고, 지역화폐와 온누리상품권은 좀 다른 구조다.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할인쿠폰 한도가 일찍 소진돼 적용이 안 되는 것 아닌가. ▶작년보다 1.8배 더 투입하는 것이고, 예산이 650억원인데 2만원으로 나눠보면 325만명이 된다. (김우중 농축수산물물가대응팀장) 작년에도 할인쿠폰 행사를 하며 마트별 (사용)제한을 두지 않았는데 전체 380억원 정도 사용했다. 올해 재원이 부족해 할인행사 진행을 못 하는 일은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 -수요-공급을 조절하면 물가가 어느 정도 하향조정될지. ▶여러 시뮬레이션을 해봤는데 예측이 힘들다. 사상 최대 (성수품) 투입, 할인 많이 하고 여러 콤비네이션을 해 작년 수준 (물가에) 근접하는 데까진 떨어뜨리려 노력하는데 결국 그게 추석 성수기 기간에 (한한 것이고), 수해가 어떻게 더 벌어질지도 모르고 예측을 못하는 부분이 있어 확답은 못 드린다. 역대 최대로 저희가 노력한다는 정도만 말씀드릴 수 있다.

[문답]'추석쿠폰 마트별 무제한 사용가능..물가영향 예측은 어려워'[문답]'추석쿠폰 마트별 무제한 사용가능..물가영향 예측은 어려워'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