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용산 개발호재 약발도 안 먹히나..서울 아파트값 11주 연속 하락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53

전국 아파트값이 14주 연속 하락했다. 서울 역시 11주 연속 하락하면서 하락폭도 커졌다. 서울시 용산정비창 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 발표로 보합전환했던 용산(0.00%)도 실질적인 매매거래로 이어지지 않으면서 2주 연속 보합권에 머물렀다. 서울은 용산과 서초구(0.00%)를 제외한 모든 자치구가 하락한 가운데 노원구는 -0.20%까지 하락하는 등 강북지역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11일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8월 2주(8일 기준)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을 보면 전국 아파트값은 전주(-0.06%)보다 하락폭이 커져 -0.07%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0.07%→-0.08%)과 수도권(-0.09%→-0.10%), 지방(-0.04%→-0.05%) 모두 하락폭이 커졌다. 서울은 지역별로 매물가격 하향조정 단지가 출현하기 시작했으며, 여름 휴가철 영향으로 매수문의가 거의 없는 데다 거래 역시 감소하면서 하락폭이 커졌다. 서울시의 발표로 개발사업 기대감이 커진 용산구(0.00%)는 2주 연속 보합세를 유지한 가운데 노원구(-0.20%)가 상계·중계·월계동 위주로 하락폭이 커지면서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도봉구(-0.18%) 역시 창동위주로, 성북구(-0.16%)도 장위동 위주로 큰 하락폭을 보였다. 강남은 서초구(0.00%)만 보합세를 유지했으며, 송파구(-0.06%)는 잠실·신천동 대단지 위주로 1~2억원 이상 값을 내린 매물들이 쌓이면서 12주 연속 하락했다. 강남구(-0.02%)역시 6주 연속 하락했다. 다만 호가가 일부 내려갔을 뿐 실질적으로 두드러진 하락거래는 나타나지 않았다. 서울지역은 지난 7월 역대 최저 아파트 거래량(500건)을 기록한 이래 8월 역시 계절적 비수기와 맞물리면서 11일 기준 거래건수(계약일기준)는 42건에 머물렀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광진구, 마포구, 성동구는 8월들어 단 한 건의 거래도 이뤄지지 않았다. 용산구 역시 용산정비창 개발 호재로 매수문의는 이어지지만 실제 거래로 이어지는 사례는 없어 8월 현재 거래건수는 0건을 기록했다.

용산 개발호재 약발도 안 먹히나..서울 아파트값 11주 연속 하락용산 개발호재 약발도 안 먹히나..서울 아파트값 11주 연속 하락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