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50년 전 이미 갔는데.. 왜 또 달인가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05

지난 5일 다누리호 발사로 한국도 세계적인 달 탐사 대열에 본격 합류했다. 미국 나사의 마지막 유인 달 탐사선 아폴로 17호가 달에 간 시점(1972년 12월 19일)도 무려 50년 전인데 올해 한국, 미국, 일본, 러시아, 인도 등 5개국이 달에 무인 탐사선을 발사할 정도로 인류는 왜 다시 달에 주목하는 걸까. 아르테미스 계획에 담긴 원대한 꿈 오는 29일 첫 미션을 앞두고 있는 나사의 달 탐사 프로그램 ‘아르테미스’의 향후 계획을 살펴보면 달을 향한 인류의 ‘속내’를 그려볼 수 있다. 미국 주도로 한국을 포함한 20개국이 협업 중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1단계는 유인 달 착륙과 월면(月面) 활동 준비다. 인류 역사상 최강 우주 발사체로 불리는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SLS)’에 실린 유인 우주선 ‘오리온’이 29일 달을 향해 날아가 30~40일간 달 궤도를 한 바퀴 돌고 귀환한다. 일종의 시험 비행 격이다. 2023~2024년에는 사람이 탑승한 비행선을 보내고, 2025년에는 여성을 포함한 우주비행사 4명이 달 표면에 착륙해 일주일 정도 연구를 수행하고 돌아온다. 핵심은 2단계로, 본격적인 달 거점 건설이다. 달 주변을 도는 우주정거장 격인 ‘게이트웨이’와 달 표면 기지 건설이 궁극적인 목표다. 2020년대 후반 달 남극에 건설 예정인 달 기지에서는 파견된 비행사들이 최대 2개월간 머물며 탐사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우주비행사의 달 궤도 진입 및 이탈, 달 기지와 지구 간 통신 등을 돕는 관문 역할을 하게 된다.

50년 전 이미 갔는데.. 왜 또 달인가[이코노픽]50년 전 이미 갔는데.. 왜 또 달인가[이코노픽]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