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美국무 순방 자극됐나..中왕이, 아프리카 실무급 회의도 주재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20

중국이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의 아프리카 순방 이후 아프리카 각국과 화상 회의를 개최하며 세 규합에 나섰다. 19일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전날 영상 방식으로 진행된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FOCAC) 제8차 장관급 회의(작년 11월 개최) 합의 이행 조정관 회의를 주재했다. 장관급 회의의 성과를 점검하는 실무급 후속 협의에 왕이 부장이 참석한 것은 이례적이었다. 이 회의에는 아프리카 측 의장인 세네갈 외무장관을 포함한 각국 외교장관 또는 차관, 주중 외교사절 등이 참가했다. 이 자리에서 왕 부장은 중국이 아프리카에 제공한 식량 지원, 코로나19 방역 지원 등을 거론한 뒤 아프리카 인프라 건설 사업에 중국이 계속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프리카 문제에 대한 외부의 간섭 반대와 자주성 견지를 강조하고, 중국-아프리카 간 인적 교류 증진을 제안했다. 이에 아프리카 측 대표는 '하나의 중국' 정책을 견지하고, 주권과 영토의 완전성을 수호하려는 중국의 노력을 확고하게 지지할 뜻을 재확인했다고 중국 외교부가 전했다. 이 회의에 앞서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7∼11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민주콩고공화국, 르완다 등 아프리카 3개국을 순방해 협력 강화 의지를 밝히고, 중국의 대(對) 아프리카 영향력을 견제했다. 이날 중국 외교부의 수장인 왕 부장이 실무 협의 성격의 회의를 직접 주재한 것은 미국의 아프리카 접근에 맞서, 중국의 아프리카 중시 기조를 재확인하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중국은 오래전부터 아프리카에 공을 들여왔다. 중국 외교부장은 1991년부터 새해 첫 방문지로 아프리카를 선택했고, 올해도 왕이 부장이 연초 에리트레아, 케냐, 코모로 등을 찾아 32년 전통을 이어갔다. 또 2017년 동아프리카 지부티에 첫 해외 해군기지를 구축한 것에서 보듯 중국은 경제 뿐 아니라 안보 전략 면에서도 아프리카를 전략적 요충지로 간주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왔다.

美국무 순방 자극됐나..中왕이, 아프리카 실무급 회의도 주재美국무 순방 자극됐나..中왕이, 아프리카 실무급 회의도 주재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