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우크라 전쟁 6개월, 세계경제를 수렁에 빠뜨리다

울트라맨8

Lv 116

22.08.22

view_cnt

884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지 6개월이 지나면서 세계경제에 드리워진 먹구름이 점점 짙어지고 있다. 지난 2년간 세계경제를 괴롭혀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에 전쟁이라는 변수까지 더해지면서 전 세계가 침체에 빠질 것이란 우울한 전망에 휩싸였다.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던 중국은 '제로 코로나 정책'을 추구하면서 강력한 봉쇄정책을 폈다. 이로 인해 세계는 '공급망 위기'에 시달렸다. 여기에 러시아가 지난 2월 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했고, 서방은 러시아에 대한 강력한 경제제재로 대응했다. 이 두가지 모두 식량과 에너지 무역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쳤다. 러시아는 세계 3위의 석유 생산국이자 유럽의 주요한 천연가스 수입국이다. 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전 세계 수백만명을 먹여 살리는 밀 수출국이기도 하다. 에너지 가격과 식량 가격이 급등하면서 전 세계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올렸다. 이로 인해 부채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는 악순환에 빠졌다. 국제통화기금(IMF)는 지난 7월 1년 만에 4번째로 세계 경제에 대한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올해 1월 4.4%에서 3.6% 다시 3.2%로 하향 조정했다. IMF 수석 이코노미스트 피에르 올리비에 그린차스는 <AP통신>과 인터뷰에서 "세계경제가 곧 경기침체의 가장자리에 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유엔식량기구 "올해 41개국 1억8100만 명이 기아 위기" 가장 시급한 문제는 식량위기다. 우크라이나는 전쟁 이전에는 세계 밀 수출량의 10%가량을 공급했다. 특히 식량 위기가 심각한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국가들에 핵심적인 밀 수출국이었다. 가까스로 러시아의 흑해 봉쇄를 풀어 이달 들어 우크라이나 항구를 통한 곡물 수출이 재개돼 급한 불은 끌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수출물량은 전쟁 전 수준에 한참 못 미칠 전망이며 전쟁의 진행 양상에 따라 다시 끊길 수도 있다.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에 크게 의존하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유엔식량기구는 올해 41개국 1억8100만 명이 기아 위기를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가스관 틀어잠근 러시아, 겨울이 두려운 유럽 러시아 석유와 천연가스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유럽은 직격탄을 맞았다. 유럽연합(EU)은 전체 천연가스의 40%를 러시아에서 수입해왔고, 독일은 55%로 그중에서도 러시아 가스 의존도가 높았다. 서방의 경제제재에 대한 일종의 보복으로 러시아는 유럽으로 보내는 천연가스 공급량을 전년 대비 20%로 줄였다. 또 러시아는 독일로 공급하는 천연가스를 이달말부터 3일간 끊겠다고 밝혔다. 러시아의 이와 같은 '에너지 무기화'에 천연가스 가격은 작년에 비해 10배 이상 올랐다. 이런 에너지 가격 급등은 독일에서는 제조업 쇠퇴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까지 치달았다. 기업들은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늘어난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거나 아예 문을 닫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몰리고 있다. 독일을 비롯한 유럽 주요국가들이 '에너지 배급제'를 시행할 수 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짙어지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보도하기도 했다. 연준, 두달 연달아 '자이언트 스텝', 금리인상에 허리 휘는 대출자들 식량과 에너지 가격의 상승은 인플레이션을 가중시키고 있다. 각국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 스태그플레이션(경기불황 속에 물가상승이 동시에 진행되는 현상) 우려가 커진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 5월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린 데 이어 6월과 7월에 연이어 '자이언트 스텝'인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지난달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렸다. 2011년 7월 이후 11년 만의 첫 인상이고, '빅스텝'은 22년 만의 일이라고 한다. 가파른 금리인상으로 집세, 학자금 등을 은행에서 대출 받은 이들의 부담은 급등하고 있다. 한국은 높은 주택 가격으로 가계 대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곧바로 경기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금융권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변동 금리의 기준으로 쓰이는 코픽스(자금조달비용지수)가 1년새 2% 가까이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상단은 6%대로 올라섰다. 여기에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은 환율 문제도 큰 골칫거리다. 파키스탄의 루피화는 달러 대비 가치가 30%가 떨어졌다. 한국도 1100원대이던 환율이 1330원에 육박하면서 13년만에 최고치를 찍고 있다. 러시아도 올해 -6% 경제성장률 전망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도 경제위기에 직면해 있다. '에너지 무기화'로 유럽 경제가 나락에 떨어지면서 서방의 경제제재의 효과를 둘러싼 논란이 있지만 러시아도 피해를 보는 것은 분명하다. 러시아 경제개발부에 따르면, 지난해인 2021년 러시아의 경제성장률은 4.7%로 코로나19 영향에서 벗어나 회복기의 모습을 보였지만, 올해 2월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시작하면서 다시 역성장세로 돌아섰다. IMF는 러시아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6%로 전망했다.
우크라 전쟁 6개월, 세계경제를 수렁에 빠뜨리다

우크라 전쟁 6개월, 세계경제를 수렁에 빠뜨리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싱가포르총리, 英식민지시대 동성애 금지법 폐기..결혼은 금지

리셴룽( 李顯龍 ) 싱가포르 총리는 21일(현지시간) 앞으로 옛 영국식민지시대의 동성애 (게이) 금지법인 싱가포르 형법 377-A 조항을 폐지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CNN보도에 따르면 그는 남성간의 성애를 금지하는 이 법을 폐지함으로써 동성애자가 범법자가 되는 것을 막겠지만, 그래도 동성간의 결혼은 법률적으로 계속 금지 사항이 될 것이라고 싱가포르 최대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4
22.08.22
자유주제

日신문 "징용 문제 해결위해 일본도 수출규제 재검토하자"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에서 일제 강점기 강제노역 피해자 배상 과정에서 일본의 '주권 문제 충돌'을 피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언급한 후 일본 언론에서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를 재검토하자는 의견이 잇달아 나오고 있다. 마이니치신문은 22일 '한일관계와 징용공(강제노역 피해자) 문제, 사태 타개 양쪽이 움직일 때'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41
22.08.22
자유주제

'스포츠로 이미지 세탁' 비판받는 사우디, 올림픽까지 '눈독'

사우디아라비아가 최근 대규모 스포츠 행사를 잇따라 개최함으로써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의 암살 이후 실추된 이미지 회복을 노린다는 관측 속에 이번엔 올림픽에도 눈독을 들이고 있다고 AFP통신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압둘아지즈 빈 투르키 알-파이잘 사우디 스포츠장관은 20일(현지시간) 사우디 제다에서 열린 세계복싱협회(WBA), 국제복싱연맹(I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5
22.08.22
자유주제

흑자에 만취 30년 대중무역..알고보니 '독배' 였다

중국은 한중수교 이후 30여년 동안 우리나라 외화벌이의 전진기지 역할을 했지만, 이 같은 역할도 올해가 마지막일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중국은 디스플레이, 배터리, 스마트폰, 반도체 등의 기술을 지난 30년간 빠르게 업그레이드하며 한국산업의 최대 경쟁자가 됐기 때문이다. 지난 30년간 매년 흑자를 기록했던 대 중국 무역도 올들어 석달연속 적자를 기록하는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8
22.08.22
자유주제

바이든도 눈독 들인 '수소'..환경·안보·경제 잡는 '약속 어음'

전 세계가 ‘수소’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2050년이면 글로벌 수소경제 규모가 12조 달러(약 1경6302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컨설팅사인 딜로이트는 2050년 기준 연간 수소경제 규모가 2조600억 달러(약 2752조원)는 될 거라고 내다봤다. 국제협의체인 수소위원회 역시 2050년이면 글로벌 수소경제 규모가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6
22.08.22
자유주제

'적자에도 희망 봤다' 롯데온,'롯데 유니버스' 본격 시동

롯데쇼핑 온라인몰 롯데온이 서서히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2분기에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지만 '거버넌스 통합' 영향을 걷어내면 매출 증가세가 뚜렷하다. 영업손실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버티컬 커머스' 경쟁력 강화 등 브랜드 가치 제고 노력이 빛을 발한 결과로 보인다. 유통 1번지 롯데쇼핑의 '거인의 기상'이 온라인에서도 나타날 수 있을지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0
22.08.22
자유주제

국민 10명 중 4명 "재건축 규제 완화, 사업 추진 속도날 것"

국민 10명 중 4명은 정부의 재건축 규제 완화로 사업 추진에 속도가 날 것으로 전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민영뉴스통신사 뉴시스가 모바일 투표 앱 '크라토스'를 통해 지난 16일부터 사흘간 앱 사용자 3999명을 대상으로 정부의 '8·16 대책'에 대해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에서다. 조사 결과,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 부담을 줄여주고, 안전진단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26
22.08.22
자유주제

디즈니플러스 요금 월 3달러 인상.."前 CEO 색깔 지우기" 해석도

디즈니의 밥 체이펙 최고경영자(CEO)가 스트리밍 플랫폼 디즈니플러스 요금을 월 3달러 인상하기로 했다. CNBC는 체이펙 CEO가 이같이 결정하기로 했다면서, 이는 이는 밥 아이거 전 CEO의 철학과는 다른 것이라고 21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디즈니는 오는 12월 8일부터 ‘광고 없는’ 디즈니플러스의 한 달 요금을 7.99달러에서 10.99달러로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8.22
자유주제

'금리가 원수'..증권사 실적, 채권 운용에 갈렸다

국내 증권사들이 금리 인상 여파에 채권 운용에서 대거 손실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발(發) 긴축 기조와 인플레이션 파고에 기준금리가 뛰면서 채권값이 급락하자 보유 채권의 평가손실이 불어난 탓이다. 대형 증권사들의 경우 특히 전체 실적에서 채권 운용부문 비중이 작지 않아 타격이 더욱 컸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가운데서도 일부 증권사는 선제적으로 대응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3
22.08.22
자유주제

🎉 겟차 주간 활동 리워드 결과 발표 🎉

안녕하세요, 겟차 매니저 입니다! 주간 활동 리워드 당첨자를 발표하는 날이 돌아왔습니다. 5만원 상당의 SK 주유/이마트 상품권부터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쿠폰 등 푸짐한 선물을 받아가실 회원님은 과연 누구일까요? 지금 바로 공개합니다! (하단 첨부 이미지 참고) 울트라맨8 님이 가장 높은 18.700점을 받으며 1등을 차지하였습니다! 축하드려요~! 뒤

thumbnail
겟차매니저|22.08.22
like-count5
commnet-count2
view-count1,273
2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