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스타벅스 등 글로벌 기업들, '제로 코로나'로 중국 실적 추락

울트라맨8

Lv 116

22.08.23

view_cnt

663

스타벅스, 아디다스 등 중국에서 영업 중인 세계적인 소비재 기업들이 중국 당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실적이 크게 악화했다.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세계 주요 기업들의 최근 분기 실적에서 중국 시장 매출액은 작년 동기보다 급감했다. 스타벅스는 지난 7월 3일로 끝난 분기의 중국 내 매출액이 44%나 줄었다. 제로 코로나로 중국 내 매장의 4분의 1가량이 문을 닫은 채로 해당 분기를 시작한 데다가 상하이의 매장 940곳이 해당 분기의 약 3분의 2 기간 영업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명품 브랜드도 제로 코로나의 직격탄을 맞았다. 카르티에 등의 브랜드를 거느린 스위스 리치몬트는 지난 분기 중국 매출액이 37% 급감했고, 구찌 등을 소유한 프랑스 케링과 영국 버버리 그룹은 각각 35%씩 줄었다.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도 중국 매출액이 1년 전과 비교해 35%나 감소했고, 경쟁사인 나이키도 20%가 줄면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애플은 중화권 매출액이 1.1%에 주는 데 그쳐 외국계 기업 가운데 선방한 편이었다. 두 달간 진행된 상하이 봉쇄가 풀린 후 수요가 어느 정도 반등했으나, 다른 도시에서의 가혹한 제한 조치로 중국 내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소매판매가 타격을 입었다. 이는 가뜩이나 부동산 위기, 기록적인 청년 실업률, 주요 도시 정전으로 이어진 심각한 가뭄 등에 시달리는 중국 경제 전망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아디다스는 중국 내 경영실적 부진으로 최고경영자(CEO)가 물러나게 됐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아디다스는 이날 카스퍼 로스테드 CEO가 내년에 사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양측이 합의한 사안으로, 로스테드 CEO는 후임자가 정해질 때까지 CEO직을 유지할 것이라고 아디다스는 부연했다. 아디다스는 "지금이 CEO 교체를 개시하고 재출발을 위한 길을 열어야 할 적기"라고 말했다. 로스테드 CEO는 2016년부터 아디다스를 이끌어왔으며 당초 그의 임기는 2026년까지였다. 그의 재임 기간 아디다스는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온라인 매출액이 5배 이상 증가했다. 하지만 전체 매출 성장은 나이키나 퓨마 등 경쟁사에 뒤처져 투자자들은 아디다스의 리더십 교체를 요구해왔다. 아디다스의 주가는 올해 들어 39%나 하락했다.
스타벅스 등 글로벌 기업들, '제로 코로나'로 중국 실적 추락

스타벅스 등 글로벌 기업들, '제로 코로나'로 중국 실적 추락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美국무부 "러시아 곧 우크라 공격 첩보"..자국민에 대피령

미국이 러시아가 곧 우크라이나의 민간 기반시설과 정부 시설을 타격할 계획이라는 첩보를 입수했다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폴리티코 등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이날 "러시아군이 앞으로 며칠 내 우크라이나 민간인과 정부 시설을 표적으로 삼을 수 있다"며 "이들 시설을 공격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 대사관은 자국민에게 "안전하다면 지금

울트라맨8|22.08.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3
22.08.23
자유주제

조희연, 전자칠판 내년까지 전면 도입 추진.."빨리 설치해 달라 요구"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내년까지 학교 교실에 전자칠판을 전면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조 교육감은 23일 오전 서울시교육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의회에서 전향적으로 학교가 필요한 것들을 하자는 제안이 있어서 적극적으로 호응했다. 전자칠판도 더 적극적으로 생각했다"고 밝혔다. 앞서 교육청은 2022년도 제2회 서울시교육청 추가경정예산안'(추

울트라맨8|22.08.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1
22.08.23
자유주제

전세계 864개 인권단체 "유엔, 미얀사 특사 없애고 총장 나서라"

미얀마 등 전세계 860여개 비정부기구(NGO)가 유엔 미얀마 특사가 쿠데타 군사정권 정당화에만 이용되고 있다며 사무총장이 직접 나서라고 요구했다. 23일 EFE통신에 따르면 864개 인권단체는 놀린 헤이저 유엔 미얀마 특사의 최근 미얀마 방문 이후 이러한 내용을 담은 서한을 유엔에 보냈다. 단체들은 "특사를 통해 군부와 평화적인 해결책을 찾으려는 유엔

울트라맨8|22.08.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4
22.08.23
자유주제

지난해 '1인 세대' 비율 처음으로 40% 넘어서

지난해 주민등록세대 중 1인 세대 비율이 처음으로 40%를 넘어섰다. 경기·세종·인천·제주를 제외한 서울 등 13개 광역시·도의 주민등록인구는 줄어들었다. 행정안전부가 23일 발간한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를 보면, 지난해 주민등록세대는 2347만 2895세대다. 전년 대비 1.64% 증가한 수치다. 세대원수로 나눠보면, 1인 세대가 946만1695세

울트라맨8|22.08.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9
22.08.23
자유주제

"'원격근무 혁명'에 미 사회 소리없이 재편 중"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을 계기로 급격히 확산한 원격근무가 '근무 표준'을 바꿔놓는 등 미국의 경제와 인구통계를 소리없이 재편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워싱턴포스트(WP)는 19일(현지시간) 보도한 '원격근무 혁명이 이미 미국을 개조하고 있다'는 기사에서 원격근무 비율과 지역, 확산 양태, 인구 이동 등에 대한 다양한 통계와 사례를 제시했다. 미국

울트라맨8|22.08.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88
22.08.23
자유주제

野, 주택수 상관없이 비과세 11억 종부세..재건축 권한은 지자체로

더불어민주당이 다주택자의 종합부동산세 비과세 표준을 11억 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내용의 종부세법을 추진하기로 했다. 김성환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23일 기자간담회에서 "과세표준 10억 9000만원과 11억1000만원 사이에 문턱이 있어서 완만하게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현행 다주택자의 종부세 공제액은 6억 원으로, 중저가

울트라맨8|22.08.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1
22.08.23
자유주제

"카카오픽코마, 日 상장 내년으로 미룰 듯..기업가치 8조 목표"

카카오의 글로벌 만화·웹툰 플랫폼 자회사 카카오픽코마가 최근 IPO(기업공개) 시장 부진 속에 일본 증시 상장을 내년으로 미루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23일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카카오픽코마가 당초 올해 12월 IPO를 할 계획이었지만, 최근의 기업 밸류에이션(평가가치) 하락 분위기 속에 이 같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울트라맨8|22.08.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7
22.08.23
자유주제

홍수에도 끄떡없는 친환경 제방 보강 공법 나왔다

홍수로 하천이 범람해도 오래 견딜 수 있도록 제방을 코팅하는 기술이 나왔다. 사람들이 대피하고 제방을 보수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안홍규, 강준구 수자원하천연구본부 연구위원 연구팀이 친환경 바이오폴리머로 만든 보강재와 골재 혼합물을 섞어 제방 표면을 코팅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

울트라맨8|22.08.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1
22.08.23
자유주제

'수원 세모녀 비극'서 또 드러난 사회안전망 허점..시스템 보완은?

2014년 송파 세 모녀 사건을 계기로 정부·지자체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던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 노력이 결국은 헛구호로 전락했다. 암에 걸린 어머니와 난치병에 걸린 두 딸은 극심한 생활고를 견디다 못해 극단적 선택을 했고, 이들을 위한 사회안전망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23일 뉴스1 취재에 따르면 전날 수원시 권선구의 한 연립

울트라맨8|22.08.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85
22.08.23
자유주제

'누구나 예술 생산'..한국조형예술원, 하동에 스튜디오 연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유튜브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이 등장함에 따라 상상과 창의력이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내는 예술의 생활화 시대가 도래했다. 누구나 비즈니스의 생산자이자 소비자가 되는 예술적 창조사회가 온 것이다. 자연주의 현대예술을 지향하는 융합예술 특성화 교육기관으로 지리산국제예술제(JIIAF)를 주관하는 경남 하동 한국조형예술원(

울트라맨8|22.08.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347
22.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