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중앙지검입니다"..사회초년생도, 의사도 '그 목소리'에 당했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89

검찰과 금융감독원 등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자가 급증했다. 23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지난 1~7월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에서 이같은 '기관 사칭형'의 비중은 37%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21%)보다 크게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대출 사기형 보이스피싱 피해 비중은 79%에서 63%로 오히려 감소했다. 전체 보이스피싱 발생건수도 1만419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만402건)보다 30% 감소했다.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면서 피해액도 크게 늘었다. 지난 1~7월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피해 금액은 270억원으로, 대출 사기형(275억원)과 비슷하게 집계됐다. 지난해 대출사기형 피해액은 6003억원, 기관 사칭형은 1741억원으로 크게 차이난 점을 고려하면 유독 기관사칭형 피해가 급증한 셈이다. 특히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으로 인해 지난달에만 40억원, 10억원, 9억원 상당 거액의 피해가 연달아 발생했다. 검찰은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범죄가 늘어나는 원인으로 범인들이 일반인은 대부분 수사기관을 직접 경험해보지 못한 점을 악용한다는 점을 꼽았다. 범죄조직은 주로 금감원, 검찰 등 공공기관 권위를 악용해 피해자를 협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전화번호 변작, 악성 앱 설치 등 수법이 갈수록 교묘하게 발전하면서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피해가 특히 증가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피해자가 휴대전화에 악성 앱을 깔게 해 모든 전화, 문자 메시지를 보이스피싱 조직과 연결하는 일명 '강수강발(강제수신·강제발신)' 수법도 쓰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피해자에게 현금을 인출하거나 계좌이체를 유도하고, 각종 대출을 실행하게 하거나 보험·예금 등을 처분, 가상자산 구매·전송하게 함으로써 금전을 빼앗는 방식이다. 경찰에 따르면 피해자는 사회 경험이 적은 10~30대 사회초년생인 경우가 가장 많다. 다만 다액 피해는 자산이 많은 40대 이상에서 주로 발생했다. 올해 발생한 기관 사칭형 피해자 연령대를 보면, 20대 이하가 3533명으로 가장 많다. 30대 458명, 50대 360명, 60대 297명, 40대 292명, 70대 이상 292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일어난 다액 보이스피싱 피해자 중엔 의사와 연구원, 보험회사 직원 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청 관계자는 "수사기관은 영장이나 공문서를 절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문자로 보내지 않으니 일단 전화를 끊고 주변 사람에게 물어보라"며 "특히 자산 검사 등을 이유로 현금·가상자산·문화상품권을 요구하면 100% 사기이므로 전화를 끊어야 한다"고 경고했다.

'중앙지검입니다'..사회초년생도, 의사도 '그 목소리'에 당했다'중앙지검입니다'..사회초년생도, 의사도 '그 목소리'에 당했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