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잘못된 뱃살 상식 4가지

울트라맨8

Lv 116

22.08.25

view_cnt

1,055

아랫배가 불룩 튀어나온 상태, 즉 뱃살 과다 상태를 복부비만이라고 한다. 뱃살은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꼽힌다는 건 이젠 상식이다. 이 뱃살에 대해 잘못 알려진 상식도 적지 않다. 미국 건강상식 매체 '오프라닷컴'이 뱃살과 관련된 잘못된 상식 4가지를 소개했다. ◆뱃살이 뼈를 보호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뱃살은 뼈에 해롭다. 과학자들조차 과체중인 사람, 특히 남성은 강한 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나이가 들어도 뼈가 괜찮을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연구결과에 따르면, 복부에 내장지방이 있는 사람은 뼈의 무기물 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버드대 연구팀은 34세 젊은 남성에게서 복부지방과 골다공증이 관련이 있음을 발견했다. ◆녹차가 뱃살을 태운다? 녹차를 마셔 뱃살 연소 효과를 얻으려면 최소 하루에 7잔은 마셔야 한다. 녹차에 든 항산화제의 일종인 카테킨이 효능을 발휘하려면 이 정도 양이 필요하다. 녹차 중 당분이 전혀 들지 않은 종류는 건강음료인 것은 맞다. 하지만 녹차를 하루에 한두 잔 마셔서는 뱃살을 빼지 못한다. ◆지방은 다 똑같다? 스웨덴 웁살라대와 카롤린스카 연구소가 포화지방과 불포화지방이 각각 든 머핀을 7주 동안 39명에게 제공했다. 양 그룹 모두 체중이 늘었는데 포화지방이 든 머핀을 먹은 그룹은 복부에 눈에 띄게 지방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불포화지방 머핀을 먹은 그룹은 전신에 걸쳐 고르게 살이 늘었고 근육량도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체비만은 복부비만보다는 낫다? 의사들조차 넓적다리나 엉덩이 주변에 지방이 쌓인 하체비만은 복부비만만큼 은 위험하지 않는 것으로 여기고 있다. 복부에 쌓인 지방에는 인슐린 저항성을 촉진하고 당뇨병과 심장병 위험을 높이는 세포가 들어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에 따르면, 엉덩이 지방도 무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방도 염증과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의 단백질을 감추고 있다. 과도한 지방은 복부에 있건 하체에 있건 건강에 좋지 않다.
잘못된 뱃살 상식 4가지

잘못된 뱃살 상식 4가지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토스뱅크, 3천억원 유상증자..자본금 1조3천500억원으로 늘어

토스뱅크가 3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토스뱅크는 전날 이사회를 열고 이같이 결의했다고 밝혔다. 토스뱅크는 지난해 10월 출범 이후 지금까지 다섯 차례 유상증자를 완료했으며, 이번 증자를 마치면 자본금은 1조3천500억원으로 늘어난다. 이번 증자를 통해 6천만주가 신규 발행되며 주당 발행가는 5천원이다. 보통주가 4천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7
22.08.25
자유주제

오는 주말, 맑고 청명 '초가을'..일교차 커져 건강 유의

25일 수도권에 약한 비가 내리는 가운데 오는 주말은 고기압의 강화로 전국에서 맑고 청명한 나들이 가기 좋은 날씨가 이어지겠다. 다음 주 30~31일에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겠다. 박중환 기상청 예보분석관은 이날 정례 예보 브리핑에서 "오는 26일부터 28일은 차고 건조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이 대체로 맑고 청명한 날씨를 보이겠다.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4
22.08.25
자유주제

과방위, 계속되는 파행..정기국회도 위기

댓글 4요약보기음성으로 듣기번역 설정글씨크기 조절하기인쇄하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개점휴업 상태가 장기화될 전망이다. 상임위 운영 방식을 놓고 파행을 계속하면서 8월 결산국회는 물론, 다음달 정기국회 때도 정상운영을 담보하기 어렵게 됐다. 여야 과방위 소속 의원 사이에서도 이번 파행 사태의 장기화 관측이 나온다. 과방위 파행은 지난달 27일을 시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3
22.08.25
자유주제

"추석에 안전을 선물"..강원소방본부, 화재 예방대책 추진

강원도소방본부는 다음 달 12일까지 추석 연휴 대비 화재 예방대책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강원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5년(2017∼2021년)간 추석 명절에 화재 96건이 발생해 3명이 다치고 5억4천여만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장소는 음식점, 숙박 시설, 창고 등 비주거 시설이 43건으로 가장 많았고, 원인은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42건을 차지했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13
22.08.25
자유주제

형제복지원 생존자 "바지 벗기고 성기 지져 고문, 맞아 죽고 굶어 죽고.."

- 형제복지원 생존자 "바지 벗기고 성기 지져 고문… 원생 열에 일곱 어디갔나" - 형제복지원 생존자 "박인근 원장 죽었지만 임영수 목사 호주서 수천억대 골프장…" ◇ 이현웅 아나운서(이하 이현웅): 1부, 이슈 인터뷰로 시작합니다. '부산 형제 복지원 사건'이 국가의 부당한 공권력에 의한 중대한 인권 침해라는 사실이 공식 인정됐습니다. 형제 복지원 사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13
22.08.25
자유주제

"고리2호기 방사선환경영향평가에 중대사고 제대로 반영 안돼"

고리2호기 수명연장을 위해 추진 중인 방사선환경영향평가가 부실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고리2호기 중대사고 발생 시 울산을 포함한 주민거주지역은 방사선에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 알 수 없다는 게 문제점이다.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은 25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고리2호기 수명연장 관련 방사선환경영향평가의 문제점을 짚는 언론브리핑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는 한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5
22.08.25
자유주제

與 조은희, '은둔형 청소년' 실태 파악·지원책 법안 발의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은 25일 정상 학업 수행이나 사회 적응이 어려운 은둔형 청소년 실태 파악과 지원책 등을 담은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혓다. 은둔형 청소년은 학교 밖 청소년 중 사회·문화·심리적 원인 등으로 한정된 공간에서 짧게는 3개월 이상, 길게는 수십 년을 비대면·비생산적으로 생활하는 청소년을 말한다. 문제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362
22.08.25
자유주제

검찰총장 후보자 지명되자 축산농가 '이원석法' 회자

지난 18일 윤석열 정부 첫 검찰총장 후보자로 이원석(사진) 대검찰청 차장검사가 지명된 뒤 뜻밖에 축산 농가 등 농업계에서 이 후보자의 이름을 딴 ‘이원석법’이 회자하고 있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지난 2009년 제정된 ‘축사의 부동산 등기에 관한 특례법’은 이 후보자가 법무부 근무 당시 주도적으로 법안에 관여하면서 이원석법으로 불리고 있다. 이 법안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9
22.08.25
자유주제

중국 "경제 회복 기반 견고하지 않아"..19개 추가 안정 대책 발표

중국 정부가 경제 안정을 위한 19개 추가 대책을 발표했다. 상반기 코로나19 확산과 봉쇄 조치로 악화된 경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 5월 33개 패키지 정책을 발표했지만 하반기 들어서도 경기 둔화 흐름이 나타나자 추가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국 국무원은 지난 24일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주재한 상무회의에서 19가지 경제 안정 대책을 발표했다고 인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0
22.08.25
자유주제

보훈처, 한중수교 30년 학술회의..임정-중국 관계 주제

국가보훈처가 한중 수교 30년을 맞아 학술 회의를 연다. 보훈처는 25일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과 중국 상해 복단대학(复旦大學)이 공동으로 26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서울 서대문구 임시정부기념관 다목적홀(지하1층)에서 '한중 수교 30주년 계기 국제 학술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주제는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중국과의 관계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38
22.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