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HOT
자유주제

제주제에 차사는게 맞을까요

추깃

Lv 10

22.12.24

view_cnt

5,188

예산 6000정도이고 운전한지 5년정도 된 이제 30대 초반 유부남입니다. 연봉은 둘이서 1.1정도 되는거같은데 기혼이고 최근에 결혼해서 2.7억 전세하고 1억조금 넘게 현금이있습니다. 그동안 출퇴근도 회사버스로하고 주말에만 가끔 차를타는정도여셔 카렌스 20만k 넘는다헤진차로 다녔습니다. 차가 아무래도 좀 많이 낡기도 하고해서 고민이 있습니다. 차를 바꿀까 1년정도 생각만해오다가 연말에 여기저기 할인도 많이하고.. 제눈에 예쁜 차를 고르다보니 7천 안쪽 선에서 수입차가 눈에 들어오더라구요. 근데 저는 아직 자가도없고 차를 골라놓고 보니 아직 집도없는 처지에 덜컥 이렇게 고가의 차에 몇천을 사치(?)해도 되는지, 고민이 되네요 ㅠ 저보다 능력 좋으신분들도 국산차를 타는 사람이 많은데 자가구매하기전에 가지고있는 현금에 큰비중을 차에 쓰는게 맞는지 의심스럽습니다. A6출고 1주일전, gv80이 고민되는데 차라리 내년 상반기쯤 중고 적당한차를 사고 집을 위한 제테크가 맞는지 고견 부탁드릴게요.

댓글

38

느긴

Lv 30
22.12.24

글 2개 쓰셨네요 ㅎㅎ 글에 못적으신 다른 제반사정들도 많을텐데 생판 모르는 타인이 차를 사라마라 판단하긴 어려울것 같아요. 아내분이나 다른 가족분들 생각은 어떤가요?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3

추깃

Lv 10
작성자
22.12.24

차가 너무오래되고 이럴때 아니면 언제사지 하며 가지고싶은데 사실 집이 먼저이지않을까라고 하고있어요.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느긴

Lv 30
22.12.24

일반적으로 집이 먼저긴 하지만 요즘 금리도 금리고 집이란게 딱 사고 싶을때 원하는 위치의 집을 살 수 있는 것도 아니잖아요. 20만키로짜리 카렌스타시고 버스타고 출퇴근에 30대 초에 그 정도 모으신 경제관념이면 한번쯤 사치하셔도 인생이 꼬일 것 같진 않네요 ㅎㅎ 젊으실 때 타보고 싶었던 차 한번쯤 타보다가 집살때가 되면 팔아도 되고요.

댓글 좋아요

10

대댓글

0

추깃

Lv 10
작성자
22.12.24

고마워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GoFoward

Lv 102
22.12.24

제 주제에도 끌고다닙니다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은색차만탄다

Lv 38
22.12.24

전항상 생각하는데, 물론 미래의 준비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나의삶도 중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가까운 미래도 예측못하는게 인생인데 현재의 나에게도 잘해주세요~♡

댓글 좋아요

13

대댓글

2

엄마재흙먹어

Lv 10
22.12.25

좋아요 누르고 너무나 따듯한 말씀 같아서 댓글 달아요. 현재의 나에게도 잘해주세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장세진

Lv 105
22.12.24

세상엔 살다 보면 할까 말까 할 때 하는 게 좋은 게 있고, 할까 말까 할 때 하지 말아야 되는 게 있죠? 지금 상황에서는 하지 않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현재 소득이나 상황보다는 이것저것 고민하시는 게 너무 많아서 나중에 후회되실까 우려됩니다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Gghh

Lv 59
22.12.24

요즘 같은 부동산 하락기가 내집 마련하기에 최적의 시기라고 생각된다면 최대한 총알을 아끼는게 맞을듯 하구요 내집 마련은 후순위고 삶의 질(?)이 우선이라고 생각되시면 지르셔야겠죠?ㅎㅎ 총각이 아니시니 사모님과의 의견이 중요하겠네요 정답은 없을 듯ㅜㅜ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째둘럽

Lv 86
22.12.24

저도 올해 여름에 a6 현금으로 질렀지만 지금은 돈 쓸때 아닌거 같습니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FAITH YJ

Lv 77
22.12.24

정답은 없습니다만 내년 집값 더 하락한다는 썰이 있더라고요. 제가 님이라면 한 3천 정도 중고로 하나 바꿔서 타다가 내년도 한번 더 지켜볼꺼 같습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스파크풀할부

Lv 18
22.12.24

저도 30초에 비슷한 고민 했습니다만.. 그냥 520i 질렀습니다. 1억들고 더 아껴서 2-3년안에 집살 타이밍 보면서 자가 먼저 마련하는게 좋긴 하겠습니다만 금리가 내려야 대출을 받을만 한데 그러면 또 집값이 오르겠죠.. 저라면 그냥 차 사고 상황 보면서 대응 하던가 할 것 같습니다 정말 급하면 팔아도 되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현욱아빠

Lv 54
22.12.24

아직 30 초반이시니 감가 적은 국산차로 중고 또는 새차 하시고 향후 상황보다가 급을 높이시는게 좋아보이네요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하얀색붕붕

Lv 29
22.12.24

국산차 적당한거 타다가 나중에 수입가도 늦지 않을거같네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AMG*

Lv 22
22.12.24

사세요!!! 무리만 하지마시구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탈퇴자

Lv 48
22.12.24

사보시고 유지하시고 아닌것같다 현타오시면 파세요. 차도 자산입니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유주유담

Lv 1
22.12.24

저랑 비슷하네요!! 저는 아이 둘입니다. 올해 6월에 80이 계약하고 23년식 변경으로 300오르고 개소세 할인 종료로 200오르고 내 잘 못도 아닌데 500이 오르는 상환에서 매우큰 A6 할인과 무이자로 바로 A6 출고해서 2주째 너무 만족하면서 탑니다. 솔직히 80이 시승도 많이했는데 국산차는 역시 수입차 승차감은 못 따라와요. 트렁크도 엄청 넓고 아이들 태우기도 충분하고. 결론은 A6 구매 추천드려요~ GV80 매우 좋고 훌륭합니다. 하지만 언제 나오는지 결국은 현대차처럼 대우 하는걸 보니 화가나서 못 사겠드라구요ㅎㅎㅎ 결국 선택은 작성자님인데 저는 A6 적극 추천드립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그렇구요 ㅎㅎ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StyleZoo

Lv 36
22.12.25

와이프 분하고 상의하셔서 중고차 괜찮다하면 그랜저나 소나타 중고로 알아보시는게 어떨지요? 윗분들 말씀처럼 지금은 차에 많은 돈을 쓸 상황이 아닌거 같아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겟차34421

Lv 19
22.12.25

인생짧음 하고싶은데로하고살아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겟차352

Lv 2
22.12.25

현재 가진. 자산액이 모두 현금이라면(대출이 없다는 가정하에) 뭐 충분히 사실 수 있지 않나 생각 듭니다. 저도 비슷한 처지에 a6 대란 참여했습니다. 폭풍 할인 아니면 이 금액에 다음엔 절대 못 사갰단 생각들더라구요. 금리하락기엔 5천대출 더 받나 덜 받나 크게 다르지 않을것이다 봤구요, 그리고 부동산이 내년에 반등했다고해서 2020년 광기 수준으로 가느냐 전 아니라고 생각했고 살짝 반등했다 지루한 횡보 이어갈 것 이다 예상했기에 질렀습니다. 제 예상이 물론 틀릴 수 았지요. 어쨌든 대출을 늘려서라도 대응못할 수준은 회원님도 아닐거라 생각됩니다. 결론은 남의말 듣지 마시고 하고샆은대로 하세요. 그게 정답이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놀러다니기

Lv 1
22.12.25

차를 바꾸시긴 해야할 상황이시라면 저렴할 때 구입하는 것도 좋은 절약 방법입니다. 저라면 폭스바겐 티구안 등의 가성비 높은 차량으로 구입하시고(디젤 모델도 엄청 좋아요...10년 전 국산 디젤과 요즘 디젤은 완전 다른데....사람들이 잘 모르는 듯..어쨌든..), 나머지 seed money는 잘 모아두셨다가 내년 말 정도에 주택에 투자하세요... 최소한의 투자금 없이 주택 구입은 어려우니 조금은 갖고 계셔야지 그 순간에 지를 수 있습니다.(최소 계약금, 취득세, 복비 없이는 어렵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기호일번쿄네

Lv 17
22.12.25

비슷한 고민끝에 처음으로 수입차를 타고 있습니다. 더 나이들고 타는 만족감보다 지금 타고 싶을때 타는 만족감이 더 크다고 생각하여 과감하게 구매했습니다. 6개월정도 타고 있는데 너무 제 스스로 만족감과 삶의 질이 나아졌구요. 다음에는 더 좋은차를 타고 싶어서 더 열심히 살고 있습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정답에 가까운 방법은 본인이 잘 알고 있을거예요. 참고로 저도 내년이면 마흔이네요. 좋은 선택하시길 바래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혀니윤

Lv 1
22.12.25

맞벌이시면 전혀문제없을듯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현브로파파

Lv 35
22.12.25

전세보다는 무리하지 않는선에서 자가로 넘어가시는게 좋을거 같네요. 지금은 플러스자산에 좀더 집중하시는게 어떠실지...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제가 지금 차를사는게 맞을까요?

예산 6000정도이고 운전한지 5년정도 된 이제 30대 초반 유부남입니다. 연봉은 영끌 7200정도 되는거같은데 기혼이고 최근에 결혼해서 2.7억 전세하고 1억조금 넘게 현금이있습니다. 그동안 출퇴근도 회사버스로하고 주말에만 가끔 차를타는정도여셔 카렌스 20만k 넘는다헤진차로 다녔습니다. 차가 아무래도 좀 많이 낡기도 하고해서 고민이 있습니다.

추깃|22.12.24
like-count2
commnet-count2
view-count1,545
22.12.24
자유주제

이제서야 올리는 매너주차 사은품

출장 다녀오느라 이제서야 뜯어서 올리네요 ㅎㅎ 사은품 감사합니다~~~

thumbnail
GoFoward|22.12.24
like-count6
commnet-count1
view-count1,056
22.12.24
자유주제

형님들 자동차 보험 질문할게요

여기 형님들이 운전 경력이 많으신 거 같아서 여쭙니다 만약 새로운 자동차 보험 특약 상품을 만들 수 있다면, 어떤 특약 상품을 만드실 건가요?? 형님들 아이디어가 궁금합니다.

그링그링동동|22.12.24
like-count2
commnet-count4
view-count1,128
22.12.24
자유주제

사계절타이어 전륜구동 vs 윈터타이어 후륜구동, 눈길에서 어떤게 나을까요?

사계절타이어 전륜구동 vs 윈터타이어 후륜구동 눈길에서 어떤게 더 안전할까요? 어제 눈 많이와서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키스톤|22.12.24
like-count1
commnet-count6
view-count1,447
22.12.24
자유주제

CLS450 vs A7 55tfsi

인증중고로 출고 2년정도 된 모델 구입하려합니다. 초1 아이와 아내가 있지만 주로 혼자 운행하고 년 1만키로 이하 주행입니다. 시승해서 두모델 모두 시승했습니다.시내주행이라 승차감 가속력 모두 비슷했습니다. 에어서스의 차이는 방지턱넘을때 cls 가 좀 더 좋다 느끼긴했는데 보통의 주행에선 큰차이를 못 느꼈습니다. 옵션도 거의 비슷했고, 사운드도 비슷하고 뒷

선택장애888|22.12.23
like-count1
commnet-count7
view-count1,281
22.12.23
자유주제

5시리즈 견적문의

5시리즈 견적을 받았습니다! 일반 할부 일때 총가격에서 -1,000이 할인되면서 이율이 3.7 가정하면 스마트 할부 사용시 -250만원이 할인금액에서 제외되고 할부 이자율이 줄어야 하는게 맞죠 ?! 같은 선수금/ 할부 개월수 이면요!!

뿡이차|22.12.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92
22.12.23
자유주제

Q5 SB 45 tfsi 콰트로 프리미엄

안녕하세요 고민 끝에 글 올려보아요. 제목에서 보시다시피 차량 구매를 망설이고 있는 중인데 차가 외관은 이쁜데 내부가 너무 별로더라구요... 5일 내로 출고 가능한 상황인데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남상남상남상|22.12.23
like-count1
commnet-count11
view-count1,355
22.12.23
자유주제

X5 7인승 질문입니다

X5 M Sport 7인승에 혹시 2열 리클라이닝 기능이 있나요?

순박한김씨|22.12.23
like-count1
commnet-count5
view-count1,593
22.12.23
자유주제

5년만에 출시한 '디 올 뉴 코나' 급하게 공개한 이유는?

thumbnail
|22.12.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391
22.12.23
자유주제

부가티가 마지막 W16 탑재 모델을 공개했습니다.

시론 프로필리. 마지막 시론이자 마지막 W16 탑재 모델인데요. 부가티는 모두에게 동등한(?) 구입 기회를 주기 위해 이 차를 오는 2월 1일 파리에서 열리는 소더비 경매에 부치겠다고 합니다.

thumbnail
박홍준 기자|22.12.23
like-count1
commnet-count5
view-count1,086
22.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