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그 많던 제조물량 도대체 어디갔나 6편

Kilmer

Lv 84

23.04.17

view_cnt

1,163

공급자 우위 시장이 형성되면 가려서 팝니다. 그래서 국산차 일부 모델들이 한국보다 외국 시장에 우선배정되면 내수시장에서 예를들어 현대 투산 하이브리드를 1년 이상 기다리게 됩니다. 국내소비자는 해외에 비해 고급 편의사항·옵션을 더 선택합니다. 그러면 가뜩이나 부족한 반도체 많이 요구되므로 반도체 배분이 가령 한국에서 풀옵 2대분이 다른 나라 기본사양 3대분 되는 것이고, 환율도 원화대비 유로화 달러화가 쏠쏠하면 외국에 배정하는게 유리하게 됩니다.
수출 늘어난 현대차, 국내 출고는 더 늦어져

수출 늘어난 현대차, 국내 출고는 더 늦어져

사이트 방문
거꾸로, 외국 메이커도 배정을 더 잘팔리고 수익이 날 것 같은 곳에다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중국시장과 한국시장 가격차가 많이 나는 명품이라면 당연히 어디로 해야겠습니까? 중국입니다.
communityImage
(한국 배정물량 제한하는 롤렉스)
communityImage
국내 약 10개 존재하는 롤렉스 매장이 평균 1500만원 시계 매일 5개반씩 판매하기를 1년 360일하면 연간 2970억원입니다. 수리센터 매출 제외입니다. 하루에 매장당 5.5개면 1년에 시계 19,800개가 한국에 배정되어야 가능합니다. 평균 2000만원 시계 1년 360일 4개씩 판매하여 연간 3600억원을 낸다고 가정할 수도 있는데 그때 시계 연간 18,000개가 한국배정. 2만개라 하겠습니다. 롤렉스 1년 시계 생산량이 약 80만~100만개라고 알려졌습니다. 한국에 배정물량이 2만이면 비율적으로 2~2.5%입니다. 더 줄수도 있는데 왜 저것만 줬겠습니까? 옆나라 중국 또는 미국 등지으로 갔다는 합리적 의심이 듭니다.
communityImage
(2022년 한국 1인당 명품소비력 지구최강) 중국으로 물량 빼돌린 스위스 본사 의문의 1패입니다. 이제 본론으로 다시 돌아와서 명품 자동차인 포르쉐를 보면 이렇습니다. 2021년 판매결과입니다. 미국 캐나다 27% 유럽 27% 러시아 2.5% 중국 33% 한일 5.2% 중동 0.7% 동남아 호주 뉴질랜드 오세아니아 2.7% 라틴아메리카 1.8% 아프리카 0.5%
communityImage
그렇다면 한국에 2%만 배정하는 처사가 잘못되었다고만 볼건가? 그렇지도 않습니다. 각 나라들이 글로벌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면 2022년 한국은 1.7%(왕년에는 1.9%)로 굉장히 작게 나옵니다. 이유는 금융경제가 빈약한데다가 그나마 금융이 2021년부터 몽땅 미국주식한다고 거기로 가버린 결과입니다. 2% 할당은 공평했습니다. 한국의 명품 사치력은 무지막지하게 높은데 말입니다.
communityImage
왜 대기가 미치도록 긴지 이해되시는지요? 미국 27% 유럽 27% 중국 33% 러시아 2.5% 쓸어가니 100 - 89.5 = 10.5%. 한국 일본에 떨어지는 물량이 그것의 반인 5.2%. 그래서 박스터 배정받기도 박터진 것입니다. 포르쉐 생산량은 한해 30만대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에 팔리는게 작년 기준 8963대입니다. 퍼센트로 세계의 2.99% 되므로 일본과 한국에 으레 배정되는 5.2%의 반이상을 가져갔습니다. 일본도 억울할 것입니다. 이상으로 도대체 왜 우리가 차를 기다리는지 시리즈물로 원인들을 찾아보았습니다. 보시기에 어떻습니까? 암담하지 않습니까? 그러므로 더 늦기전에 장만하시기 바랍니다.
communityImage

댓글

2

장세진

Lv 105
23.04.17

가르치심에 용기를 얻어... 기존 예약 그냥 유지할랍니다..^^ 그런데 이것도 전기차네요?? 어짜죠?? ㅋ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1

Kilmer

Lv 84
작성자
23.04.17

맘에 드신 것 두개 거셨다가 고민의 시간을 갖고 결정 어떻겠습니까?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스트레스 받네요

일하는 곳에서 어떤 아저씨가 찝적거려서 짜증나요

탈퇴자|23.04.17
like-count2
commnet-count2
view-count998
23.04.17
자유주제

한국 쉬운면허와 사고. 세상 힘든 호주면허 취득 썰

첫차로 고급외제차, 고출력 차량 (최근전기차)구매를 보며 도로안전에 대해 물음표가 생겼습니다. 2016년 12월부터 코스도 늘어나고 T자코스도 부활하면서 실제로 도로교통공단에 의하면 면허취득 경과년수 1년 미만자 교통사고건수가 2017년 5852건에서 2018년 5301건으로 줄었다고 합니다. 제 경험상 의미없이 틀어주는 영상 시청, 기능시험 2시간,

thumbnail
cptjj|23.04.17
like-count5
commnet-count4
view-count971
23.04.17
자유주제
투표

4-5000만원대 펀카 투표

겟차 여러분은 어떤 펀카를 타고 싶으십니까

째둘럽|23.04.17
like-count2
commnet-count8
view-count1,249
23.04.17
자유주제

퇴근

조금만 더 힘내면 퇴근이네요 다들 힘내세요

수니맘|23.04.17
like-count2
commnet-count2
view-count877
23.04.17
자유주제

국가별 BMW 보증 기간을 알아보자

점심시간에 BMW 홈페이지 보다가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전 국가를 찾아보는 건 어렵고 한국, 독일, 일본, 미국 이렇게 4개 대표 국가의 보증 기간과 보증 연장 프로그램에 대해 찾아봤어요 [한국 보증기간] • 일반 보증 : 2년 / 마일리지 무제한 • 고전압 배터리 : 8년 / 160,000km • 배출가스 관련 주요 보증 : 5년 / 80,

thumbnail
정형돈|23.04.17
like-count5
commnet-count8
view-count2,057
23.04.17
자유주제

x3m40i 차주가 A7 45 tdi 타 본 썰..

일단은 차 알못입니다.. 기록겸 남겨봅니다. 제차는 x3m40i 인데 물피도주 때문에 대차를 a7 45 디젤로 받아서 조금 타봤는데 x3m40i랑 승차감이 별로 차이 없는 것 같았습니다. 치고나가는 느낌도 다르긴 달라서 이런 거 때문에 개인취향이 있는거구나 싶더라구요. a7보내고 다시 x3 타보니까 왜케 통통튀는지ㅋㅋ a7이 승차감이 더 좋았구나 싶었

thumbnail
mash|23.04.16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1,022
23.04.16
자유주제

월요일

날씨가 맑네요

탈퇴자|23.04.17
like-count2
commnet-count0
view-count832
23.04.17
자유주제

그 많던 제조물량 도대체 어디갔나 5편

한때 국산차 메이커가 현대, 기아(현대와 따로인 독립회사), 대우(GM에 인수되기 전), 쌍용이 있었던 때가 있었고, 구매하는 입장에서는 수입차 없이도 다양한 플랫폼과 파워트레인 사이에서 차량을 골라가는 재미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국산차가 현대(+기아) 그리고 쌍용(KG 모빌리티로 개명) 둘이 남았습니다. 현기차는 플랫폼과 파워트레인 공유하여 같

thumbnail
Kilmer|23.04.17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1,088
23.04.17
자유주제

그 많던 제조물량 도대체 어디갔나 4편

자동차가 환경오염시키는 원흉으로 지목되어 친환경 전기차 수소차로 바뀌도록 많은 나라들이 앞장섭니다. 그래서 오염차와 친환경차 사이의 교대식이 이뤄지는 공급전환기에 틈새공백이 생깁니다. 더군다나 우렁찬 배기음 또는 대배기량 차량들은 여성분들께 극혐의 대상이 되어왔고 유럽 젊은 남성께도 친숙한 대상이 아니기에 일빠따로 제거대상 오릅니다. 유럽연합(EU)의 리

thumbnail
Kilmer|23.04.17
like-count3
commnet-count2
view-count1,007
23.04.17
자유주제

한주의 시작 월요일

월요일입니다, 맛점들 하세요~~

탈퇴자|23.04.17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29
23.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