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HOT
구매고민
VS

벤츠 선택 고민

또또5959

Lv 19

22.12.31

view_cnt

4,409

예산

6000~7500

voteVS 차량 비교
87명 참여중
벤츠
C 300 4MATIC 아방가르드
C-클래스
6,800만원
0% 할인

22% (19명)

제네시스
가솔린 2.5 터보
G80
5,548만원
1.95% 할인

78% (68명)

벤츠 e클 풀체인지(W214) 기다리며 여름부터 대기 걸어뒀는데, 지금 인터넷에 2023 e클 예상 렌더링 돌아다니는 것을 보니 전면부가 너무 못생겼네요ㅠㅠ 풀체인지라고 가격 오르면 8천만원대는 될 것 같은데, 이 돈 주고 이 차를..?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차라리 C클을 기웃거려보는 중이네요ㅠ 현재 쏘렌토 하이브리드 운용중이라 차 한 대는 좀 작아도 좋겠다는 생각도 들고요. 아님 이 돈이면 제네시스 옵션 빵빵하게 뽑을 수 있기도 하고.. 여러모로 고민입니다. 30대 중반 아내가 유치원생 픽업용, 동네 돌아다니는 용으로 사용할 예정이구요 그 용도엔 e클이 너무 과한가 싶어서 생각이 많아지는데, 남편은 큰 차를 사야 아쉬움 없이 타지 c클은 좀 작을것같다 이러네요 여러분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실 것 같으세요? 1. 작으면 아쉬우니 못생기고 비싸져도 e클 존버 2. 중형 SUV있으니 한대는 작고 예쁜 c클 3. 가성비(?) 제네시스 g80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댓글

19

denwh

Lv 29
22.12.31

2번 1표 드려요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Kilmer

Lv 84
22.12.31

"30대 중반 아내가 유치원생 픽업용, 동네 돌아다니는 용으로 사용할 예정이구요" 지금도 큰 e클 크기 더 커집니다. 국도 고속도로 크루징용이 아니고 픽업과 동네용이면 가다서다 반복, 잇점이 전혀 없습니다. 또, 무게는 2톤을 향해가는 차가 2000cc 작은 엔진이면 내구성도 잘 가꿔야합니다. 예후열 무심하면 무리갑니다. 30대 중반 여성분, 왠만한 차잘알 아니시면 까이꺼 대충하고 관리 잘 안될 것입니다. "그래서 차라리 C클을 기웃거려보는 중이네요ㅠ" 그래서 갓길에 차대기도 편하고 좁은 곳 이동도 편하고 무게당 마력 토크 엔진부담이 덜한 c클이 e보다 나을 것 같습니다.

댓글 좋아요

12

대댓글

0

Beo

Lv 38
22.12.31

엄마들 사이에선 벤츠가 짱이더라구요.. 단 E인지 C인지 구분은 못합니다 크기가 부담스러우시면 C도 좋죠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겟덕

Lv 80
22.12.31

C클가는게 괜찮아보입니다 벤츠는 벤츠죠

댓글 좋아요

3

대댓글

0

회색 버스 939

Lv 61
22.12.31

굳이 큰차가 필요없으면 저라면 c클로 갈거 같아요

댓글 좋아요

3

대댓글

0

별2개

Lv 25
22.12.31

차는 못생기든 이쁘든 무조건신형이진리입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커피미학

Lv 28
22.12.31

이클이 최고입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장세진

Lv 105
22.12.31

CLA라는 대안도 있지요~^^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지구별파괴자

Lv 3
23.01.01

지금 기어다니는 이클페리보단 나은거같은데요? 지금벤츠디자인은 페리되고부터 망조라 거기서거기지만 지금보단 조금 나은듯…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Kilmer

Lv 84
23.01.01

신형이 진리 성립하려면 아래의 7가지가 잘 풀린다는 전제하입니다.. 1. 금리 - 할부나 리스할때 가격이 착해야 내년 내후년 모델이 착합니다. 차가 좋아져도 가격이 사악해지면? 금리 올랐습니다. 2. 물가 - 물가가 내려가야 강판과 반도체와 알로이 휠이 저렴해집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중이고 자원민족주의로 후진국들이 강판원료 헐값에 안주고 대만은 방위비 늘어서 반도체 배짱 장사 합니다. 3. 협력업체 후려치기 언제까지? - 정권이 바뀌면서 이것저것 다 바뀌어도 저임금에 시달리는 분들 위한 배려는 발전합니다. 후려치기가 힘들어질수록 제작단가 못 낮춥니다. 독일에서는 1년전 사회당이 집권했고 중남미에서는 핑크타이드라는 노동자 배려당들이 연속집권하고 동유럽은 나라 지키느라 폴란드 우크라이나 출신 노동자께서 귀국후 총들고 있습니다. 중국은 문닫고 자국 저가노동 이용하고 싶으면 기술을 달라고 요구합니다. 인건비가 수직상승할 것이고 차값이 오르거나 차가 대충 지어지거나 둘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4. 중국산 중간부품 - 따라서 중국과 제휴되어 만들어진 협력사가 공급하는 부품 중간재들이 유럽차의 퀄리티를 낮추고 5년 타면 고장나는 차로 바꿉니다. 5. 조립마감 - 과거에는 유럽에 이민자 출신 노동인력 못 배우셔서 공장조립이 아닌 청소를 하셨으나 이제는 잘 배우기 시작하여 조립도 맡고 차별금지 로 승진도 합니다. 그분들께서 만들고 제작에 참여하니 벤츠가 국산차보다 넘사벽 품질 우위에 있던 시절 저무는 것입니다. 미국도 크게 다르지 않고 한국 공장이 그나마 나은데 언제까지 열심히 일하는 국민성 유지될지 미지수입니다. 6. 환경규제 - 배기가스 좀 나더라도 성능이 우선, 출력 또는 연료효율이 우선되어야 좋은 파워트레인 나옵니다. 그러나 거꾸로 가고 있습니다. 이런식이면 신차들이 개같이 값오르거나 개같이 구려지거나 될 것입니다. 7. 기술개발 - 결과적으로 제조사들의 기술연구개발이 차가 잘 돌고 서는데보다 환경규제, 자율주행, 수소셀 등 연구하는데 쓰이므로 BMW 의 역작 구형 M3(E92) 등장할때처럼 신선한 충격이 다시는 안나오는 것입니다.

댓글 좋아요

6

대댓글

5

탈퇴자

Lv 48
23.01.01

그럼 뭐타야되요? 중고차시장도 안좋아서 감가도 쫙쫙빠지는데..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Kilmer

Lv 84
23.01.02

중파 별명으로 알려진 중고차파괴자님 유튜브 보시면 중고할부 많이 껴야하거나, 유지보수 돈드는 차들은 가격이 빠지고 매물이 안나간다고 하시지만 1000~2000만원 영역은 할부를 조금만 쓰면 접근 가능한 차들이라 인기 좋다고 합니다. 경기 나쁘지, 금리는 여전히 높지, 그런데 차는 필요하지, 결국 차는 소비된다는 것입니다. 지금 사도 후회 없는 차는 최신형이라 프로모션 얄짤없는 신형이 아니라 연식 변경후 구형된다고 할인해주는 신차입니다. 또, 경기가 좋아질때까지 5년 10년 언제가 될지 모르는 기간 고장이슈와 폭탄수리비 없는 차입니다. 같은 가격이면 조립기지가 국민성 좋은 나라 생산분입니다. 일본, 스위스가 가장 좋습니다. 스위스는 차를 안만드니 그 이웃국 오스트리아입니다. 오스트리아 공장에서 최종 조립되는 차에는 대표적인게 G바겐, 수프라(= 비엠 Z4) 등이 있습니다. 고장나는 차들은 게으른 나라 공장으로 이전하여 제작되거나, 경재사 의식하여 기술력 미달 엔진에 무리가는 셋업 시킨 차들입니다. 현대 기아 GDI 엔진들 미국에서 전부 리콜된 것이 독일차 출력과 일본차 연비 맞추려다 그렇게 된 것이고, 아우디 폭스바겐 디젤게이트 뜬것도 환경기준 안에서 비엠 성능 수치 내려다 그렇게 되었으며, 벤츠가 내구성과 품질력 앞세운 렉서스에게 미국 점유율 빼앗겨 위기에 몰리자 크라이슬러와 합쳤었던 것입니다. 덕분에 더 안좋아지지만 말입니다. 그러므로 무게 1500kg 면 2000cc, 1800kg 2500cc, 2100kg 면 3000cc 엔진을 고르고, 엔진룸 꽉차서 공간없고 열갇히게 생기면 플라스틱 이음관 열변성 생기므로 냉각이 잘되는지 구조확인, 쓰지도 않는 옵션 전자장비 많으면 고장날 건덕지가 많으니 풀옵션 거르고, 중고시장 되팔때 타차대비 얼마나 헐값되는지 확인하시면 후회없이 차 구할 수 있습니다.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장세진

Lv 105
23.01.02

와우!! 자동차 학과 교수님이세요?? 👍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Kilmer

Lv 84
23.01.02

주식 종목분석하다가 과도하게 파서 저렇게 되었습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또또5959

Lv 19
작성자
23.01.02

제 누추한 글에 이렇게 멋진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GoFoward

Lv 102
23.01.01

이클 풀체가 램프가 조금 이상해 지긴하지만 실내는 또 최신 패밀리룩 인거같아요 그리고 이클이 e250이 6천대여서 그렇지 원래 7천 중후반 잡아야 타는 모델들인지라..... 이돈씨 할 차는 아닌거 같구요 이클이 돈이 무리되시면 g80괜찮아 보입니다 그냥 마실용도면 씨클도 나쁘지는 않죠 g80도 마실용이라고 하기엔 좀 중후한면이 없지않죠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아기명끼

Lv 18
23.01.01

말씀하신 용도로는 c클이 딱인데요!!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고꼬댁

Lv 19
23.01.02

c클이나 glb 괜찮을 것 같습니다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구매고민
VS

패밀리카 추천해주세요

중고로 구매 할 예정입니다 아테온과 GT3 중 3~4인 가족에 적합한 차량 추천해주세요!

Aronno|22.12.31
like-count0
commnet-count8
view-count1,341
22.12.31
구매고민
VS

아우디 S3 vs 폭바 골프 GTI

2000cc 면세라 세금은 없습니다. 끌리는건 S3인데 암만봐도 출고글이나 후기가 없네요. 가성비도 안좋다는 말이 많고,, 두 차종중에 어떤게 괜찮을까요 ㅠ 98% 혼자타고 달리는 걸 좋아합니다. 두 차량 제외하고도 2000cc 추천 부탁드립니다.

건동구리|22.12.31
like-count0
commnet-count13
view-count1,872
22.12.31
구매고민
VS

X4 vs GLB-Class

님들이라면..

뀨사냥꾼|22.12.31
like-count0
commnet-count2
view-count1,385
22.12.31
HOT
구매고민
VS

형님들 큰일났습니다ㅠㅠ 뽕에 취했어요

gv70계약하고 3달정도 지났는데 유튜브보다가 스팅어 뽕에맞아서 갑자기 마음이 흔들리고있습미다 자녀1명있는데 스팅어는 욕심일까요? 그리고 단종되면 안좋은점들은 뭐가있나요?

가섭|22.12.30
like-count11
commnet-count47
view-count10,076
22.12.30
구매고민
VS

5 Series vs GRANDEUR

옵션 좋은 국산차 vs

에어헌터|22.12.30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456
22.12.30
구매고민
VS

요즘 굉장히 사고 싶은 차들

올해 와이프차 a6로 바꿔서 한동안은 기변이 어렵겠습니다마는 겟차에 자주 들락거리다보니 차 뽐뿌가 식지 않네요 5년안에 명퇴하고 전국에 부동산 투자하러 다니면서 연비 좋은 펀카 타고 싶다는 망상을 해보면서.. 두 차량 모두 사서 후회할 차는 아니겠지요 지금은 320d 엠팩 투어링이 좀 더 끌리네요

째둘럽|22.12.30
like-count1
commnet-count5
view-count1,856
22.12.30
구매고민
VS

320i vs CT5

지금 타고 있는 차가 말리부 1.35T입니다. 어머니 차가 노후되서 제 차를 드리고 저는 새 차를 뽑으려 하는 데 뭐가 좋을까요? 3시리즈는 프모 받으니까 5500 정도 하고 CT5는 신차가 6천 정도 하던데 신차급 중고(22년 7월식 7000km)가 감가를 많이 맞아서.. 4500정도 하더라구요. 나이는 20대 후반입니다. 아무래도 실내 디자인은 신형

레일|22.12.30
like-count0
commnet-count4
view-count1,366
22.12.30
구매고민
VS

Discovery Sport vs Range Rover Evoque

디른 차는 이제 안보고 랜드로버에서 고르기로 했습니다. 둘중에 어떤게 좋을까요

뀹도리|22.12.30
like-count2
commnet-count5
view-count979
22.12.30
구매고민
VS

SANTAFE vs PALISADE

옵션이 많이 들어간 싼타페가 나을까요? 아니면 깡통 팰리세이드가 나을까요??

신차뽑기|22.12.30
like-count1
commnet-count3
view-count1,049
22.12.30
구매고민
VS

X6 색상고민

계약 대기 중 에 있습니다 미네랄 화이트 vs 카본 블랙 고민 미치게 되네요… 여러분들의 의견 감사히 받겠습니다 27에 현 버니나그레이 타고 있습니다 앞 화이트 뒤 카본블랙 입니다.!

62s|22.12.30
like-count2
commnet-count6
view-count1,294
22.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