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글
전기차

아파트에서 전기차 충전은 콘센트형이 답이다.

EVLOUNGE 로고 이미지
Lv 5
조회 수1,338

안녕하세요, EV라운지의 파트너이신 대택아87님의 글을 가져왔습니다. 대택아87님은 대구에서 택시를 전기차로 운행하시는 젊은 기사님이에요. 지난 10월 ev라운지에 올려주신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대구에서 기아 EV6 전기차택시를 운행 중인 택시기사입니다. 오늘 이야기해볼 주제는 전기차 충전 및 아파트 주차 싸움입니다. 제가 약 2년동안 전기차택시를 운행하며 매일 충전을 해야만 하는 택시차량의 특성상 제가 살고있고, 많은사람들이 주거하고 있는 형태인 아파트에서는 어떤 충전형태가 가장 이상적일까? 항상 고민이되더라구요. 고속충전기? –충전 후 다시 주차장으로 돌아와야 해… 완전 충전 하기엔 시간이 짧아… 14시간동안 충전할 수 있는 완속충전기? – 좋은데 자리가 부족해… 전용구역만 설치되니까.. 어떤 방식이더라도 조금 아쉬운 단점이 존재했습니다 주차 자리가 부족한 것과 충전 문제 두 가지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아파트 주차장 기둥의 일반 콘센트형 저속충전기가 답이다!'라고 혼자만의 결론을 내렸습니다.

(사진1) 다양한 220v 콘센트형 충전기들 그 이유는 바로 220v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면 어디서든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600세대 아파트에서 전기차 전용 충전구역에서만 충전 가능할때는 단 7대의 전기차만 충전이 가능했는데요, 점점 전기차가 늘어나다 보니 충전자리가 부족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입주민들의 편의를 위해서 220v 일반 콘센트를 이용한 충전시설을 도입했는데요, 처음에는 충전기 구매비용도 개인이 지불해야하고 매일 전선을 정리해야하는 불편함은 있었지만, 항상 충전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최고의 장점이더라구요! 사실 콘센트형 충전기가 전기차 차주들의 요청으로 도입되었다기 보다는 전기차'전용' 충전구역 vs일반주차구역 싸움이 생각보다 꽤 있었습니다... 아파트에 전용충전구역은 법으로 아파트의 주차면수 2~5%에 해당하는 공간을 의무적으로 지정하기로 되어있습니다. 아파트에 몇대의 전기차량이 있는지도 모르고 그냥 충전구역을 무조건 비워둬라는것이 조금 이치에 안맞는것 같더라구요. 그리고 전용충전구역에 같은아파트 입주민의 내연차량이 주차를 하면 당신 과태료! 라는 법도 조금 야속하기도 합니다.

(사진2) 입주민간 전기차 충전구역 다툼의 소지 발생 그래서 전기차 전용주차장 특혜가 아니냐! 라는 일부 입주민과의 마찰이 생기기도 합니다. 적어도 아파트에서 만큼은 전기차 전용충전구역은 급속충전기가 위치한장소에 1~3대 정도로 최소의 공간만큼만 사용하고, 일반차량과 전기차 주차는 함께 사용하며 충전기 연결이 가능한 콘센트를 최대한 확보하여 입주민간 주차전쟁을 줄여야 할 것입니다.

(사진3) 텅빈 전기차 전용 충전구역을 보며 좋으면서도 옆구역은 이중주차로 씁쓸합니다. 콘센트형 충전기도 단점은 존재합니다. 220v는 충전속도가 너무 느려서 밤새 충전해도 얼마 충전안된다는 것 인데요, 그런데 혹시 충전을 얼마나 자주하시나요? 택시를 운행하는 저는 하루35~40kWh정도의 전기를 사용하고 하루 200~300km 를 주행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사람들보다 주행거리보다 2배~4배는 많습니다. 보통 하루에 기아 EV6 차량기준 50~60%정도 배터리를 소모하게 됩니다. 제가 콘센트 충전해보니 밤새 충전시 약 30% 정도 충전이 가능하더구요. 물론 저는 하루 사용하기 모자라지만 일반인 분들은 30%씩 매일 충전을 할수있다면 절대 모자라지 않을 정도의 충전양일것입니다. 충전을 못하는 스트레스보다, 적은양이라도 매일 충전할 수 있다는 것이 더욱 장점 같더라구요.

(사진4) 느린속도로 충전중인 콘센트형 충전기 그래서 결론은 입주민이 주차 할 수 있는 주차장은 공간이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주차전쟁이 일어날 수 밖에 없는 구조인 것 같습니다. 주차와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입주민 다수가 만족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해결되면 좋겠습니다. EV라운지에 오시면 더 많은 이야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겟차 회원분들의 자동차 관련된 이야기 언제나 환영합니다♡

▼원문

EV라운지EV라운지

댓글 9

VOLVO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김버튼Lv 18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제가 차량구매전에 전기차를 포기하게된 결정적인 이유가 집밥이 없어서 인데요..ㅠㅠ 기존 220v 콘센트를 이용한 저속충전도 고려를 해봤는데(회사 주차장) 그럴경우 건물의 전기세 부담이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런데 쓰신글을 보니 그게 아닌듯 하네요....?? 혹시 이부분에 대한 설명도 부탁드려도 될까요? 콘센트를 이용하여 저속충전을 하면 건물 자체의 전기세 부담없이 개인적으로 결제하며 충전이 가능하냐는 질문입니다..ㅎㅎ

AUDI 로고 이미지BENZ 로고 이미지
장세진Lv 105

그렇게 개인적으로 과금할 수 있는 콘센트가 있어요~~ 공용 콘센트에 꼽으면 '도전'이죠~ 전기도둑~~ ㅋ

VOLVO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김버튼Lv 18

아하 그럼 개인적으로 과금하면 제가 사용(결제)한 전기세는 건물로 부과되지 않는건가요??

EVLOUNGE 로고 이미지
Lv 5작성자

따로 전기사용량을 체크해서 납부하는 과금형 충전콘센트가 있습니다!

EVLOUNGE 로고 이미지
Lv 5작성자

이런것들이지요..

VOLVO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김버튼Lv 18

저런것들(?)만 구매했다면 건물에 전기세 부담을 주지않고 개인적으로 결제하며 충전을 할 수 있었던거였군요. 딜러도 잘 모르고 전기차 카페에서도 안된다 하고..(별도의 전기작업을 해야한다, 건물에 전기세는 동일하게 부과된다 등등) 결국에 6기통 가솔린을 선택했는데...ㅠㅠ

AUDI 로고 이미지BENZ 로고 이미지
장세진Lv 105

하룻밤에 30%라... 생각보다는 충전량이 좀 적군요..^^;;

BMW 로고 이미지MINI 로고 이미지LEXUS 로고 이미지
떵붕이Lv 79

파워큐브 같은 사업자가 콘센트형 충전기 사업을 합니다. 속도는 대략 시간당 2kwh 밤새 15시간 충전하면 30kwh 정도 보통 전기차의 3-40% 정도 됩니다. 콘센트형 충전기의 경우 기본요금이 있습니다. 그래서 충전량이 적은경우 손해입니다. 전용 충전기에 요금부과장치같은게 달려있지요. 다만 이런방식도 한계는 있습니다. 콘센트 있는 기둥 바로 옆자리만 충전할수있지만 내연기관과 자리경쟁을 해야하고 또 약 2-30면이 한 구획으로 묶여있고 콘센트가 5-10개 있는데 그중 한군데라도 충전 중이면 다른 곳에 꽂아도 충전이 안됩니다. 그렇다고 이걸 확인할수 있는 어플같은것도 제대로 안되어 있는걸로 압니다. 저는 충전량도 많지 않고 위와같은 단점들로 인해 콘센트형 충전기 사용 안합니다. 월3-4회 고정형 완속충전기 밤샘 충전이면 끝이니까요. 그리고 저는 퇴근이 좀 빠른편이라 충전 경쟁이 거의 없지만 퇴근 늦으시는 분들은 충전할 자리가 없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주행거리 많고 자주 충전해야할 분들에게 아직 전기차는 시기상조인게 맞는듯합니다.

AUDI 로고 이미지BENZ 로고 이미지
장세진Lv 105

아하~~ 많이 배우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