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핵융합에너지—탈원전: 전기차시대

BMW 로고 이미지
탈퇴자Lv 87
조회 수1,187

전기차 보급 증가를 바라보면서 전혁 수요를 어떻게 예측해서 준비하고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일단 정부 쪽 관련 보고서를 훑어 보면 당장은 큰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이 추세대로는 전력대란 사태는 없어 보입니다. 아직까지는 충전시설 확충에 이슈가 몰려 있지 전력공급 측면에서는 사회적으로 공론화 되어 있지는 않네요. 빌게이츠가 최근에 “기후 재앙을 피하는 법”이란 책을 내면서 제대로 지구온난화 이슈에 불을 댕긴 것 같습니다. 빌게이츠가 투자한 스타트업 “CFS”가 조명되었습니다. 핵융합 발전입니다 국내에서도 “인류가 원하는 미래에너지” 등 핵융합 발전에 대한 저변이 넓어지고 있습니다. 핵융합 원리에 대한 설명은 아래 첨부한 이미지로 보시고요. (저도 잘 설명할 자신 없음요?) 청정 에너지에다가 연료가 넘쳐 나고 무엇보다 지금의 핵분열발전보다 사고 위험 방사능폐기물 문제도 거의 없어서 전 세계가 이 연구에 매진한 상태입니다. 다행히 한국도 후발 주자 임에도 대전에 핵융합로 짓는 등 중심축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상용화에 걸림돌인 초기 건설비용이 매우 높고 핵융합으로 발생하는 플라즈마의 고온을 견딜 소재 개발이 난제인 데다가 방사능 물질을 처리하는 로봇 개발까지가 경제성이 없다는 분석이죠 현재까진. 핵융합이 우리 머리를 비추는 태양이 에너지 만드는 방식과 동일합니다 즉 인간이 만드는 인공태양인 거죠. 기사에 언급된 미국의 CFS 창립자는 해낼 수 있다고 확신을 하네요. 핵분열 발전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로 핵융합으로 가야 함은 명백해 보입니다. 전기차 증가는 필히 전력수요 증가를 가져올 것인데 그 수요를 충당할 대체 에너지를 핵융합에서 인류는 답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차를 무턱대고 사기 보다는 향후 전기차충전망이 더 확보된 상태에서 사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저는 또 테슬라 및 제조사들이 저가형 내놓을 때까지 기다리는것도 좋겠습니다??? (PS.관련 주식에 미리 투자를 해야 하는 건 아닌지...)

This Startup Promises Unlimited Safe Clean Energy Via Nuclear FusionThis Startup Promises Unlimited Safe Clean Energy Via Nuclear Fusion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