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전기차에 대한 솔직한 제 생각

에릭킴

Lv 43

21.07.22

view_cnt

1,309

애초에.. 자동차 회사들의 전 지구적 과제가 ​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넘어간다!.. 가 아니고 ​ "탄소절감" 이 글로벌 목표였습니다만,.. ​ 그 탄소절감때문에 유로식스 유로파이브니 미국의 탄소규제니.. ​ 그러다가 2000년대에 폭스바겐을 필두로.. "디젤이야말로 클린하고 지구 환경을 보호하며 출력도 연비도 잘 나온다!" 해서.. ​ 미국 빼고 전 세계가 디젤차만 주구좡창..(우리나라만 해도 520d.. a6 2.0tdi..등등 어마어마하게 팔렸쥬) ​ 그러다 디젤게이트라는 뒷통수 퍽! 맞고.. ​ 사실 디젤게이트를 시작으로 그 전부터 논의되던 탄소절감의 대안 중 하나인 전기차 개발이 더 가속화 된 거일 뿐.. 전기차가 탄소절감에 대한 완벽한 솔루션은 아니라고 봅니다. 이미 수입차들 가솔린 모델만 해도.. 저공해 3종을 받을 정도로 탄소절감 기술이 대단하구요 전기차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기가 공짜도 아니고(최소 화석 연료를 태우던가 원자력 발전을 하던가..) 배터리에 들어가는 화학물, 중금속, 희토류 등이 또다른 지구환경적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는거고.. 폭바 디젤게이트처럼 뒷통수를 칠 여지는 얼마든지 있거든요 . 그리고.. 사고친 전력이 있는 애들이.. 또 전량 전기차를 한다고 하네요? ㅋㅎㅎ;; 게다가 그냥 킹리적 갓심이긴 합니다만, 폭바는 중국시장이 아직 블루오션이고.. 중국은 배터리화학이나 전기차 개발이 엄청 큰 나라중 하납니다.(국내 우편배달용 전기차 전부 중국산이죠) 이미 미국이나 유럽 등 몇몇 경제전문가들은.. 현재 전기차 시대따위의 용어나 열풍을 자동차 제조의 후발주자들이 시장교란을 하려는 언플이나 움직임으로 보고 있기도 한답니다.(전기차시대가 진짜 되면 가장 이익보는 게 중국이랑 현대차..) ​ 그리고 자동차 회사들도 바보가 아닌지라.. 백년 넘게 쌓아올린 기술력+ 내연기관의 신뢰성(이게 가장 중요) 등을 마냥 포기할 수 있는 노릇도 아니고.. ​ 내연기관 기술연구 중 친환경,탄소절감,효율 쪽 연구가 아직도 큰 비중으로 연구 중인 마당에.. ​ 전기차가 내연기관 4기통 8기통 터보 자연흡기 처럼 취향과 선택의 영역으로 확장 될 여지는 있어도 내연기관이 모두 사라지고 all 전기차시대 는 좀 아니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 최신 전기차들이 혁신보단 신 모델이 나올때마다 옆그레이드 혹은 결함이나 이슈를 안고 나오는 데다가 ​ 전기차 만들기 시작한 독일브랜드들..역시 차도 만들어본 애들이 잘 한다고 엄청 잘 나오고 있고 ​ 포르쉐는 고급 전기차 기준에 깃발을 꼽아버리고 내 아래 미만 잡 선을 그어버렸죠.. ​ 어지간한 혁신 아니고선 전기차가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아참! 그리고 전기차는 탄소총배출량 기준에 따라 어떤나라는 친환경일수도 있고 또 어떤나라는 친환경이 아닐 수도 있다고 합니다. 유럽 내 탄소총배출량 기준(전기발전에 들어가는 연료 포함)이 빡세지는 거를 자꾸 내연기관의 삭제로 언론도 그렇고 잘못 이해하시는 분들 많아서 그 부분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우리나라도 아직은 탄소 총배출량에 따르면 전기차가 친환경이지만, 앞으로 화력발전하고 태양광 폐기패널 등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 국가 탄소총배출량이 그만큼 늘어나게 될 것이고 전기차가 친환경이 아니게 될 수도 있습니다.

댓글

9

울트라맨8

Lv 116
21.07.22

전기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들며 발생하는 공해보다 각각의 내연기관차가 발생시키는 공해가 더 크다고는 하시더라고요.. 근데 폐배터리 처리가 더 어렵다고 전에 그쪽전공자분이 알려주시긴했어요.. 말그대로 '덜'오염시키는거지, 친환경은 아닌게 맞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auto2063

Lv 91
21.07.22

에릭킴 님 오랜만에 좋은 글 올려 주셨네요 제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잘 정리해 주셨어요? 전기차는 친환경 발전의 증가와 함께 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배터리 만드는 재료와 공정도 친환경이 되야 하고요 폐배터리 폐기 및 재활용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 혹은 공론화도 필요하다 사료됩니다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김쓰랄

Lv 13
21.07.22

차 자체로 덜 오염시키는 것도 맞고, 자동차 부품, 관리 용품, 소모품이 전기차는 극히 적어서 이런 부분 생산 줄이는 것도 환경에 큰 도움이죠. 전기차가 미래는 맞다고 봅니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초크미

Lv 110
21.07.22

에릭킴님 따봉~? 테슬라 일론머스크도 이 부분때문에 재생에너지 사용에 더 열을 올리고 있지 않나 싶네요. 물론 다른 it기업들도 서버돌리는 것 같은 방대한 전력이 필요한 사업엔 재생에너지를 미리 어마어마한 양을 사놓는다고 하더라구요. 물론 환경규제 때문에 패널티 먹는게 싫어서겠지만^^; 어쨌거나,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쪽으로 다들 노력하고 있으니, 결국엔 에릭킴님 글처럼 전기차던 내연기관이던 대체방안들이 나와서 다양한 방식이 공존하는 세상이 한동안은 유지되지않을까 싶네요.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소니7

Lv 90
21.07.22

좋은글 좋네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Medispel

Lv 50
21.07.22

잘 읽었습니다. 30년 이내에는 내연기관의 몰락은 오지 않을 겁니다. 트랜드가 돌고 도는 것일 뿐 가솔린의 몰락은 없었고 디젤의 몰락도 없었으며 나아가 내연기관의 몰락 또한 오지 않을 겁니다. 100년 전까지만 해도 전기차 천하였지만 이후 100년간은 내연기관 천하였습니다. 내연기관은 계속 발전하고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도 같이 발전하면서 내연기관과 전기차는 공존할겁니다.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Medispel

Lv 50
21.07.22

전기차와 내연기관의 역사를 다룬 기사입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네두

Lv 29
21.07.22

개별 엔진이 가솔린을 때서 그걸 구동력으로 사용하는 것과 화력발전을 통해 대량 전력을 발전시키는 것과 그 효율이 달라서요 물론 그렇게 따지면 전기차도 분명 환경오염에 일정부분 기여하는 바는 있으나 내연기관보단 덜 오염시키는 것은 확실합니다. 또 그리고 휘발유를 사용하기 위해선 정유공장에서 정제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그 과정에서 나오는 환경오염도 만만치 않아요~ 내연기관이 줄어들면 화석연료 사용이 줄기에 정유공장도 덜 가동되고 여러 차원에서 확실히 친환경적인 것은 맞습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아엠게쥐티

Lv 82
21.07.22

전기가 내연기관보단 친환경적인건 맞는거같습니다 ㅎ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미국 현대차 공장 근무태도와 테슬라 상하이공장의 자동화 요모조모(모카)

모카에서 아주 까는듯 안까는듯 잘 까주네요 ㅋㅋ 결국...인간이 뭘 해도 오류덩어리일 뿐. 테슬라 텍사스 공장 말고, 최근에 지어진 중국 상하이 공장의 품질은 정말 좋다고 하네요. 저도 전 공정 자동화가 결국엔 품질을 잡을 열쇠라고 봅니다. 노하우고 뭐고...65세 까지 정년 연장해서 뭘 어쩌겠다는건지...;

thumbnail
초크미|21.07.22
like-count0
commnet-count4
view-count1,186
21.07.22
HOT
자유주제

주행중 옆에 가기 싫은 차가 있네요?

요거 떨어지면 어떻하죠??? 저의 눈을 의심 했네요?

thumbnail
요요기|21.07.22
like-count3
commnet-count16
view-count2,918
21.07.22
자유주제

예상외로 비싼차 많은 동네

거리뷰로 대림동 둘러봤는데 비싼차 너무 많아서 깜놀했습니다

thumbnail
탈퇴자|21.07.22
like-count1
commnet-count8
view-count2,024
21.07.22
자유주제

티구안 PHEV출시할까???

폭바가 지난해말 글로벌 시장에는 티구안 PHEV를 공개했었군요.. 근데 우리나라는 PHEV는 고사하고 가솔린도 없는.. 인증도 디젤만 되어있구요.. 페리모델 출시하며 PHEV출시할 가능성은 없으려나요... 독일내 가격이 6천만원에 육박하고 국내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지원금도 폐지라... 안들어올것 같긴한데요... 폭바야 디젤 떨이좀 고만해라ㅠㅠ가솔린

울트라맨8|21.07.22
like-count4
commnet-count11
view-count1,151
21.07.22
HOT
자유주제

수입차보다 100만 원 더 비싼 국산차 세금…왜?

국산 차는 제조장 반출 시, 즉 '공장도 가격'이 과세표준이고 수입차는 '수입 신고가격'이라고 합니다 6천만 원 차량이면 국산차가 102만 원 비싸 다고 하네요? 국산 차 업체에 수입차처럼 판매 이윤 등을 뗀 '제조원가'를 제출할 수 있냐고 물었지만 "불가하다"고 답변을 들었다고 밝혔다고 합니다?

thumbnail
요요기|21.07.22
like-count2
commnet-count12
view-count2,000
21.07.22
HOT
자유주제

브랜드별 겟차 조회수 Top3 정리?

울 겟차 회원님은 어떤차를 가장 많이 검색하시는지 함 봤어요. 주요 브랜드만 정리해보면 BMW 1. 5시리즈 2. 6GT 3. 3시리즈 역시 5시리즈가 1위! 근데 6GT가 2위네요? 오호..겟차팸카의 위력. 메르세데스-벤츠 1. E클 2. GLB 3. EQA GLB가 말이 많아도 인기는 많군요. EQA는 반짝인듯하고.. 아우디 1. A6 2. Q5

thumbnail
초크미|21.07.22
like-count5
commnet-count21
view-count3,314
21.07.22
자유주제

상반기 최고인기중고차는???

엔카 기준 상반기 최다 조회 국산차는 그랜져IG, 수입차는 E클래스가 최고 조회를 기록했네요! 5시리즈는 F바디 5시리즈가 2위, G바디 5시리즈가 3위를 기록했네요 흥미로운 것은 요즘 SUV돌풍이라하지만 중고차는 세단이 강세를 보였고,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검색 비율은 4.8%에 지나지않았다고 하네요~ 내연기관 아직 죽지않았네요 ㅎㅎ

thumbnail
울트라맨8|21.07.22
like-count4
commnet-count8
view-count1,266
21.07.22
자유주제

330e ,구입예정자입니다

제가 땀이많아서.. 질질 새거든요 혹시 업체 통풍시공하면 나중에 센터수리에 지장이 갈수있나요???

플러그용인|21.07.22
like-count1
commnet-count4
view-count950
21.07.22
자유주제

A6 45 TFSI vs. 40 TDI 색상 및 상품성 개선

6천만원 예산에 맞는 A6 콰트로 모델 중에서 TFSI냐 디젤이냐를 고민하고 있어요, 단점이나 문제점은 없는지 찾아보는 중입니다. 45 TFSI 상품성 개선을 신청하면 얼마나 걸릴까요? 아우디 디젤을 선택하셨던 분들이 연비이외 가솔린 차량을 선택하지 않았던 경험을 듣고 싶어요, 그리고 불루나 실버 색상은 비추인가요? 중고 매각시 가격이 떨어지는 이

천산|21.07.22
like-count0
commnet-count10
view-count1,150
21.07.22
자유주제

현대차, 파격 임금인상…생산직 올해 연봉 1억 넘는다

볼트 너트 잘 조여서 억대연봉 가즈아~

남방돌고래|21.07.22
like-count0
commnet-count14
view-count1,254
21.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