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2015 폭스바겐그룹 디젤게이트

marin090

Lv 7

21.08.22

view_cnt

1,217

겟차 어플 가입하고 눈팅한지 1년쯤 됐습니다. 근데 저는 이해하지 못하는게 폭스바겐 그룹의 디젤 모델들을 구입하는 사람 입니다. 2000년대부터 2015년까지 '클린디젤' 이라고 소위 구라치다가 미국에게 21조원 정도 벌금 쳐 맞고. 글로벌 사기 기업이 됐는데, 왜 구입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배기기스 조작하는 개 쓰레기 기업 차량을 왜 사주는지 모르겠네요. 티록, 티구안 모두 유럽의 친환경 정책으로 인해 2~3년된 중고차들 재고떨이 한국에 파는데 왜 사나요? 아우디, 포르쉐. 포드, 도요타 모두 자사의 이익을 위해 배기가스 조작을 했던 기업입니다. 여기서 눈팅 하다보니 폭스바겐 그룹을 빠는 사람들이 많아서 정말 한마디 하고 싶었습니다. 굳이 조작하는 쓰레기 기업의 자동차를 사고 싶나요? 그래서 한국이 호구가 되는겁니다ㅋㅋ 워런티 5년에 훅해서 쓰레기 디젤게이트 재고떨이 차량 사는거죠. 실제로 현재 동남아는 유로3,4 기준으로 자동차를 수입합니다. 10~20년 전 환경 규제 기준이죠. 똑같이 폭스바겐 그룹도 한국에 수출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물론 외제차라면 환장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도 있구요. 한국 시장은 유럽에서 팔지 못하는 차량 떨이로 파는 곳인데 엄청 빨아주잖아요ㅋㅋ 정말 궁금합니다. 무식해서 그냥 단순히 독일차!! 울부짖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요. 무슨 이유로 폭스바겐 그룹의 디젤 자동차 구입하나요?

댓글

19

현기러버

Lv 11
21.08.22

어디 브랜드든 똑같은거죠 현대도 세타2엔진 내려앉을때 한국에서 문제없다고 속여서 잘팔아먹었잖아요 ㅎㅎ 그 수준으로 차만드는데도 점유율이 80% 가 넘어가니 어디브랜드 하나 콕집어 한국을 호구라 생각할까요 그냥 어디브랜드든 한국을 호구라고 생각할텐데요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탈퇴자

Lv 14
21.08.22

그래서 글 쓰신 분은 사기기업차 불매하고 어디 차를 사라고 하고 싶으신 겁니까?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장세진

Lv 105
21.08.22

자.. 일단 그 때 걸린건 폭바 맞습니다... 우리나라에선 법이 허술해서 대충 지나갔지만 미국같이 시장이 크고 징벌적 손해배상이 있는 곳에서는 막대한 배상금을 물었죠... 하지만 이후.. 독3사만 봐도 벤츠도 디젤 배기가스 왜곡이 걸렸고.. BMW는 자꾸 불이 났고.. 일본 브랜드(어디였더라 저도 가물가물..)에서도 폭바와 다를바 없는 디젤차 문제가 연이어 있었습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2

장세진

Lv 105
21.08.22

그 당시 그런식(실험실에서만 꼼수로 배기가스 줄이기)의 배기가스 조작은 자동차 회사 많은 곳에서 횡행되고 있던 방법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 나쁜 놈들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현실적으로 이 브랜드들 차를 다 안 살 수 있을까요??? 그 행실에 비해 터무니 없는 액수이긴 하도... 이미 각 나라에서 법에 따라 어느 정도의 배상은 다 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장세진

Lv 105
21.08.22

현재.. 차를 산다는게 그 브랜드에서 과거에 저질렀던 모든 잘못울 덮어주고 용서해서만은 아닐 것 같습니다... 제 개인 소견입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auto2063

Lv 91
21.08.22

—팩트 체크하나 하고 넘어 가겠습니다— 클린 디젤' 정책은 2009년 이명박 정부가 '녹색성장정책'의 하나로 도입한 겁니다. "일부 경유차가 휘발유차에 비해 탄소 배출량이 적은 데다 연료 효율이 높다"며 '친환경차'에 포함하고, 다양한 혜택으로 소비를 유도했습니다. 이런 정책에 힘입어 2011년 36%였던 국내 경유차 비율은 6년 만에 43%까지 뛰었습니다. 이 당시, 국내 자동차 2천2백만 대 가운데 950만 대가 경유차입니다. 이 중 10%인 95만대가 공해가 적은 클린디젤차로 각종 혜택을 받았습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5

auto2063

Lv 91
21.08.22

디젤 광풍을 몰고 왔고 수입차 및 국내 제조사들에게 디젤차를 위한 터전?을 제대로 깔아 준 셈입니다. 제조사들은 이를 십분 활용한 거죠. 문제는 제조사도 있지만 이를 관리 감독할 국토부가 그 역할을 제대로 못한 탓도 큽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auto2063

Lv 91
21.08.22

그리고 우리는 소비자이지 않습니까! 누구나 특정 브랜드 좋아요 하는 사람도 있고 싫어요 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지요 우리끼리 상대를 지적하기 보다는 정확한 정보를 주고 소통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문제는 제조사에 있는 거 아니겠습니까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탈퇴자

Lv 14
21.08.22

당신 어제부터 아프간부터 총기가 어쩌구 미국선동 할때부터 의심스러웠어. 거짓정치선동 그만해. 경고야.

댓글 이미지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반짝구

Lv 28
21.08.22

정치얘기를 좋아하진 않지만 디젤을 친환경으로 해준건 이명박이 맞는데요? 선동은 아니죠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탈퇴자

Lv 14
21.08.22

도입 노무현, 친환경지정 이명박 이렇게 적으면 거짓은 아니죠? 도입부터 권장까지 이명박이 했다고 하니 거짓이죠. 저도 정치얘기 겟차에서 안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Em04

Lv 36
21.08.22

현기차 : 국내 소비자 한테 하는거 보면.. 르쌍쉐 : 회사 철수설등 불안불안 폭스바겐 : 디젤게이트 및 떨이 도요타등 일본차 : 반일 그외 푸조 등 : as등 불편함 프리미엄 말고 일반 차에서 뭘 사야 되는지요? 몇천만원짜리 물건을 사면서 보통은 다양한 고민을 하고 사게 됩니다~~ 폭바를 사는 사람도 마찬가지일꺼라 생각합니다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울트라맨8

Lv 116
21.08.22

무슨차가 좋은차인가요 그럼?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코스모폴리탄

Lv 28
21.08.22

비판 및 평가는 OK 강요는 No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클러치

Lv 19
21.08.22

배려가 너무 부족한 글 같네요. 글의 취지는 공감하나 이미 편협한 생각을 가지고 의견을 개진하시니 설득력이 없네요.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머우디

Lv 30
21.08.22

아 그러세요. 그럼 잘못을 저지른 회사들은 이제 평생 안사면 되겠네요. 벤츠도 디젤 조작걸리고 bmw는 화재사건때 묻으려다 과징금 맞고 아우디 폭바는 디젤게이트 걸리고 일제는 쪽바리차라 타는놈이 매국노에 현기는 원가절감만 해대는 다 나쁜놈들인데 "무식한" 대중들은 그것도 모르고 폭바만 까네요 그죠? 일반화 그만해대시고 걸어다니세요 그럼. 다 나쁜놈들 찬데 왜 타고 다닙니까?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소니7

Lv 90
21.08.22

그냥 님이 폭스바겐을 싫어하시는건가요? ㅋㅋ

댓글 좋아요

2

대댓글

0

아엠게쥐티

Lv 82
21.08.22

솔직히 폭바가 그렇게 좋은차는....ㅠㅠ 친구놈이 파사트뽑았다고해서 엔진룸열어봤는데 충격이...무슨 실리콘을 그렇게 쏴서 방수하는차가 있나 싶을정도로 ㅜ실내도 마감이 너무 별로였고 대신기본기나 주행시 성능은 가격대비 좋긴했어요 ㅎ울나라에 디젤재고털이만 하는게 좀 좋지않게 보여지더라구요 저는 ㅎㅎ 가솔린좀 가져와라 폭바야~~~ㅠㅠ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자유주제

LG에너지솔루션 화재

코나ev를 시작해서 최근 쉐보레 볼트ev에 들어간 LG에너지솔루션에 베터리 화재에 대한 이슈가 많이 있습니다. LG뿐만 아니라 자칭 내수포함 세계1위인 CATL도 화재가 나는데 왜 LG만 이슈가 될까요? 역시 한국 사람들은 국산 브랜드를 까야 제맛일까요? 금일 네이버 뉴스를 보다가 LG만 이슈 되는 것을 보고 글을 작성합니다. 쉐보레 볼트 ev 겨우

thumbnail
marin090|21.08.22
like-count0
commnet-count8
view-count1,168
21.08.22
자유주제

530e 같은 차는 전기밥 안주면 연비가 구린가요..?

제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여태 잘못이해하고 있었던 것 같아요. 새롭게 이해한 내용을 읊어보자면: 530e같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평소엔 산타페 하이브리드처럼 그냥 평범한 하이브리드지만 배터리가 좀 더 커서 플러그인 충전을 통해 전기로만으로도 다닐 수 있는 그런 시스템인거죠? 그럼 만약 전기밥 안준다고 한들 평소엔 그냥 여타 하이브리드 차종(마치 렉서스

겟차120666|21.08.22
like-count2
commnet-count10
view-count2,447
21.08.22
자유주제

풀체인지c클/glc쿠페/레인지로버이보크

30대초반 미혼 여자입니다. 결혼하고 아기낳고서도 쭉 오래탈 차로 이번에 바꾸려고하는데 풀체인지 c클은 내부도 너무 맘에 들구 glc쿠페는 suv 익스테리어가 제일 맘에 들구 이보크는 요번 신형 예쁘게 잘 나왔더라구요 금액적인부분은 빼구 실용성이나 여자가 오래타기에 좋은 차로 고민중인데 어느 한쪽으로 확 기울지 않아서 조언부탁드려요!

찌야빠야|21.08.22
like-count2
commnet-count8
view-count1,000
21.08.22
자유주제

캐딜락 CT4 고민입니다

스펙은 높은데 미션이 성능 다 갉아먹는다는 정보를 받아서, 디자인은 정말 맘에 드는데 다들 의견이 어떻게 되시나요?

nnnnoel|21.08.22
like-count1
commnet-count9
view-count1,118
21.08.22
HOT
자유주제

벤츠 e클래스 2022년식부터 이 옵션이 기본 적용????

2022 벤츠 e클래스부터 에어 서스펜션이 기본 적용된다고 합니다!! 아 물론 e250을 제외한 트림의 10월 물량만 적용되구요, e250 아방가르드부터 모든 트림에 통풍시트가 기본 적용된다고 합니다. 다만 증강현실 네비게이션과 핸즈프리 액세스 기능이 삭제된다고 합니다.또한 일부 모델을 제외하고 블랙 색상을 제외한 브라운/베이지 시트에 유료 옵션 가격이

thumbnail
볼보리|21.08.21
like-count0
commnet-count9
view-count2,075
21.08.21
자유주제

6700조 예산의 나라—매일 50명씩 …

올초 바이든 정부 예산 규모를 보니까 6700조 편성해서 2차 세계대전 후 최대로 확장 재정 정책을 펼치네요. (우리도 돈 더 써야지 싶네요) 중국 4000조 일본 1000조 영국 1300조 독일 이탈리아 비슷하고 스페인 브라질 캐나다 호주 등이 우리나라와 비슷한 500조 넘는 국가 들입니다. (위의 예산은 대략적인 규모입니다) 미국은 이렇게 돈 써대

thumbnail
auto2063|21.08.21
like-count0
commnet-count9
view-count1,508
21.08.21
자유주제

문콕방지 가드

주차장에서 다른차량에 문콕방지가드 되어있는거 보고 저도 바로 주문해서 설치했는데 마음 편하고 좋네요 문콕 당할때마다 속상했거든요 ㅠㅠ 새차 구매 하시거나 차 많이 사랑하시는분들은 이거 설치 고민해보세요 ~~ 설치도 그냥 걸면 끝이고 차량번호도 각인해서 나오니 좋더라구요 ~~

thumbnail
상큼봄이|21.08.21
like-count0
commnet-count16
view-count1,852
21.08.21
자유주제

더뉴카니발vs올뉴카니발

결혼 2년차에 돌지난 딸하나 있습니다 신혼특공으로 청약을 넣으려고 알아보니 차량가액이 3496만원? 넘어가면 안되더라구여.. 패밀리카로 쓰려는데 저둘중 어떤게 좋을지... 아니면 저금액대 다른차 추천도 감사합니다 약 2~3년 정도 타다가 처분할려고 계획중입니다 인생 선배님들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푸리링|21.08.21
like-count0
commnet-count6
view-count1,062
21.08.21
HOT
자유주제

아우디 A6 색상 고민

아우디 A6 구매 하려고 하는데.. 흰둥이랑 검둥이 중에 너무 고민 됩니다 지금타는 차도 제네시스 DH 검은색이라 와이프는 너무 비슷하다고... 저도 첨엔 무조건 흰색 이였는데 검둥이 뒷태가 너무 예쁘네요.. 여러분들은 어떠실런지??

당뚜아이|21.08.21
like-count0
commnet-count44
view-count2,672
21.08.21
자유주제

[펌] (문과?가 그린)백신의 원리.gif

뭔가 슬프네요.... 분명히 문과가 그렸을 거예요.....^^;;;;;

장세진|21.08.21
like-count1
commnet-count5
view-count1,208
21.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