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2021결산] '제네시스만 웃었다!'..국내 완성차 시장, 두 자릿수 감소

vi

Lv 103

22.01.03

view_cnt

1,023

국내 완성차 업계는 2020년에 이어 2021년도 어려움이 이어졌다. 코로나19 여파로 소비심리가 얼어붙었고, 글로벌 반도체 수급 불안으로 인한 생산 차질마저 겹쳤다. 그 덕분에 몇몇 인기 차종은 계약 후 고객 인도까지 1년 이상 소요되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각 브랜드가 발표하는 월간 판매 실적은 사실상 '월간 생산 실적'이라 놀림 받을 정도로 신차 출고 및 인도가 늦어지고 있다. 2021년 한 해 국내 완성차 업계는 총 140만2361대를 판매하며, 2020년 157만7807대 대비 11.1% 감소세를 보였다. 현대차를 필두로, 르노삼성과 쌍용차, 한국GM은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이며 극심한 부진에 빠졌다. 반면, 제네시스 브랜드가 비약적인 성장세를 달성했고, 기아 역시 SUV를 중심으로 선방했다는 평가다. #'아슬아슬한 1위' 현대차 현대차는 지난해 55만9424대(대형트럭 및 버스 제외)를 판매하며 국내 완성차 1위 자리를 지켰다. 다만, 지난 2020년(65만2401대)과 비교하면 14.3%나 감소했다. 특히, 2위 기아와의 차이가 3만대에 불과해 1위 자리도 꽤 아슬아슬했다. 국산차 판매 1위는 포터가 차지했다. 포터는 9만2218대(전년대비 -3.1%) 판매되며 정상에 올랐다. 그랜저(8만9084대)는 2위로 자존심은 겨우 지켰지만, 예년만 못한 모양새다. 2020년 14만5463대로 넘볼 수 없는 1위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하면 초라한 성적표(-38.8%)다. 출시 이후 돌풍을 일으켰던 아반떼(7만1036대, -19.0%) 역시 신차 효과가 흐릿해졌다. 현대차에서 가장 가파른 하락세를 보인 차종은 코나다. 코나는 1만2244대에 그치며 3만1902대를 기록했던 2020년 대비 61.6%나 폭락했다. 코나는 재작년 말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극심한 부진을 겪었다. 소형 SUV 시장이 쪼그라들었고, 바뀐 디자인에 대한 호불호 논란도 있다. 여기에 구형 코나 일렉트릭이 연쇄 화재 사태를 겪으며 이미지 훼손이 심각했고, 결국 페이스리프트된 일렉트릭 모델은 국내 출시되지 않았다. 그나마 신차 효과를 제대로 받은 신형 투싼이 4만8376대(+33.8%)로 성적을 이끌었다. 여기에 새로 투입된 스타리아(2만6240대)와 아이오닉5(2만2671대), 캐스퍼(1만806대) 등이 좋은 반응을 얻으며 실적을 방어했다. 내년 전망은 밝은 편이다. 지난해 부진했던 그랜저가 풀체인지 모델로 돌아온다. 또한, 브랜드 두 번째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6 등 신차와 스테디셀러인 팰리세이드의 페이스리프트도 예정됐다. #기아 "1위도 노려볼 만하다!" 2021년 기아는 53만2430대(버스 제외)를 판매하며 2위 자리를 유지했다. 코로나19 및 반도체 수급 불안으로 인한 위기에도 불구하고 '큰형' 현대차를 턱밑까지 따라잡았다. 지난해 기아 실적은 카니발(7만3503대, +14.5%)과 쏘렌토(6만9934대, -15%)가 이끌었다. 특히, 카니발은 2020년 중순 출시 이후 식지 않는 인기를 유지했다. 쏘렌토도 출시 2년차를 맞으며 신차 효과가 일부 사라졌지만 경쟁자인 싼타페(4만1600대)를 여전히 압도하는 모습이다. 여기에 풀체인지 모델로 돌아온 스포티지가 3만9762대로 전년대비 115.8%나 급증하며 힘을 보탰다. 다만, 니로(1만8504대, -12.9%)는 풀체인지를 기다리는 고객이 늘어나며 판매량이 줄었고 셀토스(1만8425대, -19.0%)도 페이스리프트가 가까워지며 예년만 못했다. K5(5만9499대, -29.6%)는 신차효과가 사라졌고, 단종설에 시달리는 스팅어(3167대, -10.2%)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이외 K9(6205대, -20.8%)은 페이스리프트마저 소용이 없었다. 모닝(3만530대, -21.2%)과 레이(3만5956대, +26.0%)는 희비가 엇갈렸다. 특히, 레이는 별다른 상품성 개선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아웃도어 열풍에 힘입어 보기 드문 '역주행'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다. 시장에 강력한 경쟁자인 캐스퍼가 나타났지만, 레이의 인기는 한동안 식지 않을 전망이다. #제네시스 "유일한 성장세 나야나" 2021년 제네시스는 13만8756대를 판매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과 반도체 수급 불안으로 인한 신차 공급 지연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유일하게 성장세를 달성했다. 제네시스가 첫 연 10만대를 돌파한 2020년(10만8384대)과 비교해도 28.0%나 늘었다. 페이스리프트 모델 투입 이후 디자인 호불호 논란을 겪은 G70(7429대, -6.1%)과 풀체인지 모델 투입 직전인 G90(5089대, 49.2%↓), 더 이상 신차 효과를 누리지 못하는 GV80(2만4591대, -28.1%) 등이 부진했지만, 새로 투입된 GV70(4만994대)이 날개 돋친 듯 판매되며 브랜드 실적을 견인했다. 여기에 브랜드 볼륨 모델인 G80(5만9463대, +5.9%)이 꾸준한 모습을 보이며 힘을 보탰다. 올해 전망도 밝다. 브랜드 첫 전용 전기차 GV60(1190대)이 출시 세 달 만에 1000대를 돌파하며 꾸준히 판매량을 늘리고 있다. 여기에 세 번째 전기차 GV70 전동화 모델과 지난해 말 출시 후 본격적인 출고를 앞둔 브랜드 플래그십 G90까지 줄 서고 있다. #'XM3, 하이브리드가 답?' 르노삼성 르노삼성은 지난해 브랜드 판매 4위에 올랐다. 하지만, 이는 실력이 아닌 다른 회사의 부진 덕이다. 10만대에 육박했던 지난 2020년(9만5939대)과 비교하면 36.3%나 급감한 6만1096대에 그쳤다. 르노삼성은 조에(774대, +303.1%)를 제외한 전 차종의 판매가 감소했다. 시장 유일 LPG 모델을 내세운 QM6(3만7747대, 전년대비 -19.4%)가 나름대로 고군분투했지만 역부족이었다. 그러나 더 뼈아픈 점은 야심작 XM3의 부진이다. XM3는 2020년 3만4091대에서 2021년 1만6535대로 51.5%나 급감하며 반토막 났다. 지난해 르노삼성은 XM3의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디자인과 상품성을 일부 개선한 연식변경 모델까지 내놓았지만, 대세를 뒤집지 못했다. 소형SUV 시장 부동의 1위 셀토스와 어깨를 나란히 하기도 했으나 이제는 쌍용차 티볼리와 경쟁하는 신세다. 한때 쏘나타와 K5를 위협했던 SM6는 3198대(전년대비 -62.5%)에 그치며 무게감이 아예 사라졌고, 르노 엠블럼을 단 수입 모델(트위지, 조에, 캡처, 마스터)은 네 차종을 합쳐도 3600여대에 불과하다. 르노삼성은 올해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카드로 XM3 하이브리드 출시를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XM3(수출명 르노 뉴 아르카나)는 '2022 스페인 올해의 차'에 선정되는 등 유럽 시장에서 흥행하고 있다. 특히, 1.6L 가솔린 엔진과 전기 모터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모델이 절반에 육박하는 만큼 국내 투입 시 좋은 반응이 기대된다. #쌍용차 "지우고 싶은 2021년" 2021년은 쌍용차에게 유달리 아픈 해였다. 다른 브랜드와 마찬가지로 코로나19 및 반도체 대란에 직격탄을 맞았고, 협력사의 부품 납품 거부로 인해 한 달간 공장을 멈춰 세웠다. 여기에 경영실적 부진과 인수 협상까지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시장 내 유일한 국산 픽업트럭인 렉스턴 스포츠(칸 포함)는 전년대비 35.9% 감소한 5만6363대에 그쳤지만, 여전히 쌍용차의 실적을 이끄는 대표 모델이다. 2위 티볼리와의 차이는 약 1만대에 달한다. 티볼리(1만6535대, -29.5%) 역시 판매량이 줄었지만, 침체된 소형SUV 시장 분위기 등을 고려하면 선방했다. 티볼리는 소형SUV 시장에서 1위 셀토스(4만90대), 2위 트레일블레이저(1만8286대)에 이어 르노삼성 XM3(1만6535대)와 공동 3위다. 그러나 코란도(8468대, -55.8%)와 렉스턴(5547대, -54.5%)의 부진은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코란도는 2019년(1만7413대)과 2020년(1만9166대)의 2년 연속 상승 기록을 마감하며 1만대 아래로 주저앉았다. 렉스턴도 페이스리프트 모델 출시 이후 연초에 반짝 힘을 냈지만, 이후 월 500대선도 지키지 못하며 무너졌다. 문제는 내년 전망도 밝지 않다는 점이다. 첫 전기차 코란도 이모션과 중형 SUV J100(프로젝트명) 등 오랜만에 신차 2종이 출격을 기다리고 있지만, 회사가 위기다. 인수 우선협상대상자인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은 계약서에 최종 서명을 하기도 전에 잇따른 돌출 발언 및 자금 동원력 논란 등으로 삐걱이고 있다. #'올해는 괜찮을까?' 한국GM 지난해 한국GM은 전년대비 34.6% 줄어든 5만4292대로, 국내 완성차 브랜드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쉐보레 스파크(1만7975대, -37.9%)는 지난해 9월 출시된 캐스퍼를 제외하면 경차 시장 꼴찌로 전락했다. 이어 말리부(3107대, -52.6%)는 아예 연 5000대 밑으로 떨어졌다. 기대작 트레일블레이저(1만8286대, -12.5%)가 그나마 선방했지만, 가성비와 실용성을 내세운 경쟁 모델에 치였다. 그나마 판매 대수 기록에 도움이 되던 경상용차 다마스(1989대)와 라보(1487대)가 단종됐고, 수입 RV 3총사(이쿼녹스, 트래버스, 콜로라도)도 신통치 않다. 한국GM에게 치명타는 볼트EV 페이스리프트와 볼트EUV를 출시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볼트EV와 EUV는 사실상 지난해 투입하는 유일한 신차였으나 화재 가능성으로 인한 배터리 리콜로 사전계약 도중 출시가 전면 백지화됐다. 개선된 배터리팩이 차츰 공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충분한 물량이 확보되지 않아 판매 재개 시점은 올해 상반기로 밀려났다.
[2021결산] '제네시스만 웃었다!'..국내 완성차 시장, 두 자릿수 감소

[2021결산] '제네시스만 웃었다!'..국내 완성차 시장, 두 자릿수 감소

사이트 방문

댓글

3

소니7

Lv 90
22.01.04

다들 잘팔리네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1.04

그러게용 사실 없어서 못팔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울트라맨8

Lv 116
22.01.05

헐;;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구매 취소해도 수수료 안 돌려줘..테슬라 제재 착수

공정거래위원회가 온라인 차량 구매를 취소한 소비자에게 주문 수수료를 돌려주지 않은 전기차 업체 테슬라에 대한 제재에 착수했습니다.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최근 테슬라 측에 전자상거래법 위반 혐의로 제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담은 심사보고서를 발송했습니다. 테슬라는 온라인으로 전기차를 사려고 할 때 10만 원의 주문 수수료를 받는데, 주문을 취소해

vi|22.01.03
like-count2
commnet-count8
view-count1,578
22.01.03
자유주제

프로모션과 할인

안녕하세요 이번에 차량 계약걸고 대기중인데요 혹시 bmw프로모션과 별개로 딜러가 더 할인을 해줄수가 있나요?? 요새는 차가 없어서 못판다는데.. 수입차 첫구매라 궁금해서 여쭤봅니다:D

the4.5|22.01.03
like-count0
commnet-count5
view-count1,885
22.01.03
자유주제

랜드로버 디펜더 반자동 소프트톱 컨버터블

랜드로버 디펜더의 컨버터블 버전 렌더링이 공개됐다. 현대적인 럭셔리 SUV로 탈바꿈한 디펜더는 변형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차량이다. 하지만 컨버터블 모델은 나오지 않고 있는데, 이번에 코치빌더 ‘헤리티지 커스텀스(Heritage Customs)’에서 컨버터블 렌더링을 제작한 것이다. 이미지 크게 보기 컨버터블은 디펜더 90의 숏 휠베이스 모델을 기반으로

thumbnail
vi|22.01.03
like-count4
commnet-count3
view-count1,366
22.01.03
자유주제

1년 앞으로 다가온 테슬라 '모델 2' 3000만 원대 공격적인 가격 예상

지난 분기 30만8600대의 기록적 판매를 달성하며 2021년 한 해 동안 93만6172대의 차량을 인도해 전년 대비 87% 증가한 실적을 기록한 테슬라가 내년 저가형 해치백 출시를 통해 순수전기차 보급을 더욱 확대할 전망이다. 3일 외신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 2020년 '모델 3' 아랫급에 새롭게 자리할 소형 해치백 출시를 3년 뒤로 예

thumbnail
vi|22.01.03
like-count2
commnet-count2
view-count1,321
22.01.03
자유주제

트라제XG 부활? 극비리 개발 중인 현대 "스타게이저"

짐차 승차감만 아니면 무자게 끌리네요 ㅎㅎ

thumbnail
울트라맨8|22.01.03
like-count4
commnet-count8
view-count1,193
22.01.03
자유주제

벤츠 E250 계약전에 고려사항 알려주시면 감사 드리겠습니다

부모님께서 e250 익스클루시브 모델을 구매하고자 하시는데, 딜러 몇분 비교해보고 집 (한남동)과 서비스센터가 가까운 kcc 아니면 한성으로 계약을 하고자 합니다. 딜러분들 개인적으로 해주는 할인과 회사 할인을 제외하고 딜러분들께 요청할 사항이 어떤게 있을까요? 딜러분들 대부분이 아래 정도 얘기해주시더라구요 - 도어라이트 - 엔진오일평생무료쿠폰 - 사은

수페로|22.01.03
like-count1
commnet-count8
view-count1,510
22.01.03
HOT
자유주제

(펌)운전 고수도 힘들다는 구간

영등포에서 여의도 가는길 ㅋ 저는 자주 다녀서 익숙 한데 저도 처음엔 엄청 헷갈렸다는요 ㅋ

thumbnail
요요기|22.01.03
like-count9
commnet-count19
view-count5,068
22.01.03
자유주제

20대 첫차고민

집안 대출 갚다보니 어느새 20대 중후반이 되었는데 얼마전에 대출금 다갚고 이제서야 차를 사볼까 합니다. 달에 300정도 벌고 있는 시점에 무슨 차를 살지 고민중이여서 중고든 새차든 상관없이 회원님들 추천을 한번 받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우훗|22.01.03
like-count0
commnet-count13
view-count1,194
22.01.03
자유주제

320i msp po-1

22년 형 320 m 퍼포먼스패키지에 원래 하만카돈이없나요? 기본형에 하만이없고 퍼포먼스 패키지엔 하만카돈들어가있는거아닌가요?.. 겟체정보에선 퍼포먼스패키지에 하만이없내요

봉봉아부지|22.01.03
like-count0
commnet-count4
view-count1,510
22.01.03
자유주제

GV80 2.5 오너분들!

안녕하세요 이번에 GV80 2.5 구매 고민 중입니다. 헌데 유지비가 좀 걱정이 되는대요. 차는 거의 주말밖에 안타긴 합니다. 해서 오너분들의 체감 유지비가 궁금합니다. 기름값+보험비 등 실제 유지비가 얼마나 드나요?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

차맛스타|22.01.03
like-count0
commnet-count9
view-count1,255
22.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