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현대기아차 점유율 90% 육박…극단적 '부익부 빈익빈' 어쩌나?

Lv 1

21.03.02

view_cnt

801

국산차 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나날이 뚜렷해지고 있다. 현대기아차와 제네시스가 연일 판매 호조를 보이는 반면, 르노삼성과 쌍용차, 그리고 한국GM은 생존에 위협을 느낄만큼 심각한 모양새다. 올해 1월과 2월 국산차는 총 21만7626대가 판매됐다. 전년(18만1324대)대비 20% 증가한 수치다. 내수 시장의 소비심리는 위축됐지만, 작년 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앞서 두 달간 판매 실적을 살펴보면, 현대기아차(제네시스 포함)는 19만667대를 기록하며 87.6%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15만2612대)보다 24.9%나 급증했다. 4년 연속 판매 1위를 차지한 현대차 그랜저를 비롯해 기아차 카니발과 쏘렌토, 제네시스 G80 등이 각 브랜드 실적을 이끌었다. 특히, 제네시스 브랜드의 성장률이 돋보이는데, GV80과 GV70 등 새로운 SUV 라인업과 함께 신형 G80의 판매 호조를 바탕으로, 전년대비 203.9% 폭증한 성적을 달성했다. 현대기아차의 독주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그룹 첫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활용한 첫번째 전기차 아이오닉5의 사전계약 돌풍을 일으킨 데 이어 기아차 CV와 신형 스포티지, 신형 니로 등이 나란히 출격을 앞두고 있다. 한국GM은 올해 1~2월 1만1204대 판매하며 국산차 판매 5.1% 점유율을 기록했다. 작년 1~2월(1만79대, M/S 5.5%)보다 판매는 늘었지만 점유율은 줄어든 모양새다. 한국GM은 전 세계적으로 벌어진 차량용 반도체 품귀 현상으로 생산 차질을 빚고 있다. 현재 비인기 차종 위주로 생산 물량을 줄이며 타격을 최소화하고 있지만, 공급 차질이 장기화될 경우 주력 모델의 생산에도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와 더불어 기본급 협상을 앞둔 노조와의 갈등, 그리고 근로자 불법 파견 재판 등 악재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쌍용차는 1~2월 8321대 판매하며 3.8% 점유율을 달성했다. 작년 초(1만657대, M/S 5.8%)와 비교해 판매량 및 점유율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쌍용차는 극심한 유동성 위기에 시달리고 있다. 현재 회사는 자본 완전 잠식 상태로, 이달 31일까지 이를 해소하지 못할 경우 상장 폐지 기준에 해당된다. 더욱이 P 플랜(프리 패키지드 플랜)이 무산될 경우 쌍용차는 곧바로 법정 관리에 돌입하게 된다. 법원에서 자체 생존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경우 회사 청산 가능성도 있다. 더욱이 일부 협력사들의 부품 납품 거부로 인해 공장 가동이 수차례 중단됐다. 2월 한달 간 공장이 가동된 날은 1일과 2일, 그리고 16일 등 단 사흘뿐이다. 2월 말 기준 쌍용차는 재고 및 전시 차량까지 대부분 소진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금이 절실한 회사의 입장에서 판매마저 멈춘다면 현금흐름은 완전히 막히게 된다. 르노삼성은 7434대를 판매하며 전체 3.4% 점유율을 기록했다. 전년대비(7976대, M/S 4.3%) 판매량과 점유율 모두 하락세다. 지난해 르노삼성은 2004년 이후 16년 만에 최저 판매 및 수출을 기록했다. 글로벌 판매량은 11만6166대로, 2019년 대비 34.5%나 급감했다. 이는 2004년 8만5098대 다음으로 낮은 수치다. 올해는 그 기록을 또 다시 경신할 가능성이 크다. 판매 부진과 더불어 신차 포트폴리오 부재까지 겹쳤다. 지난해 기대주로 자리잡았던 XM3는 신차효과를 다했고, 이달 QM6 디젤 파워트레인 추가 외에 연내 신차 소식은 전무하다. 이와 관련해 자동차 업계 관계자들은 국산차 생태계 위협을 걱정하고 있다. 현대기아차의 지나친 쏠림 현상에 따른 다양성 부재와 고객 선택권의 제약, 그리고 르노삼성·쌍용차·한국GM 등과 엮인 수 많은 부품협력사의 생존 등을 우려하는 모습이다.
현대기아차 점유율 90% 육박…극단적 '부익부 빈익빈' 어쩌나?

현대기아차 점유율 90% 육박…극단적 '부익부 빈익빈' 어쩌나?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볼보, 두 번째 순수전기차 'C40 리차지' 공개…최첨단 '픽셀 헤드램프' 적용

볼보가 2일(유럽 현지시각) 차세대 순수전기차 'C40 리차지'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볼보 콤팩트 모듈형 플랫폼 CMA를 기반으로 제작된 신차는 순수전기차로만 출시되는 전기차 전용 모델이다. 신차는 SUV의 다양한 공간 활용성과 낮고 세련된 외관이 결합됐다. 헤드램프에는 최첨단 픽셀 기술이 도입됐으며, 뒷면은 루프 하부라인과 이어지는 독창적인 디자인

|21.03.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3
21.03.03
자유주제

[2월 수입차 TOP50] E클래스 추격하는 5시리즈, 그리고 성큼 다가선 A6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2월 수입차 신규등록대수는 전년대비 25.1% 급증한 2만1699대를 기록했다. 설 연휴로 인한 영업일 축소에도 불구하고 급등세를 보였다. 다만, 2월 실적은 지난해의 기저효과란 분석이 우세하다. 작년 2월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각 전시장 운영이 축소되고 방문객도 감소했다. 또한, 1월 종료된 개별소비세 인하

|21.03.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00
21.03.03
자유주제

[시승기] 기아차 K5 하이브리드, "결혼이 하고 싶어졌다"

주변에서 결혼과 출산 소식이 잇따라 들려온다. 서킷과 와인딩 명소를 찾던 친구들은 이제 차를 볼 때 공간과 연비를 따지기 시작했다. 어딘가 부러우면서도 씁쓸하다. 신혼부부 혹은 예비 부모 사이에서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은 기아차 K5 하이브리드다. 한눈에 이목을 끄는 디자인부터 뛰어난 연비와 넉넉한 실내 공간까지 관심이 높을 만하다. 실제로 차를 구매한 이

|21.03.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28
21.03.02
자유주제

기아차 K8 실내 공개…25인치 크기 ‘커브드 디스플레이’ 최초 적용

기아차가 4일 K8의 실내 이미지를 공개했다. 퍼스트 클래스 공항 라운지에서 영감을 받아 실내를 구성한 K8은 편안함과 고급스러움이 느껴지는 실내 공간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K8에는 기아차가 처음 시도하는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다. 12.3인치 커브드 디스플레이 두 개로 구성된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계기반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21.03.0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596
21.03.04
자유주제

[주간F1] 애스턴마틴·알피느 새 출발…'새 술은 새 부대에'

포뮬러원(F1) 레이싱포인트와 르노가 2021시즌 애스턴마틴과 알피느로 각각 새롭게 출발한다. 애스턴마틴은 4일(영국 현지시간) 미국 IT기업 코크니전트를 타이틀 스폰서로 확정짓고, 애스턴마틴 코크니전트 팀의 공식 출범을 발표했다. 레이싱포인트 소유주인 로렌스 스트롤은 지난해 애스턴마틴을 인수하며 팀명 변경을 예고한 바 있다.  드라이버 라인업도 개편됐

|21.03.0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249
21.03.04
자유주제

화재 위험' 코나EV, 결국 전량 리콜…불나는 원인은 '중국산 LG 배터리'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전 LG화학)이 연쇄 화재 사태로 논란을 겪은 '코나 일렉트릭'에 대해 배터리 전량 교체라는 초강수를 뒀다. 국토교통부는 24일 "LG에너지솔루션 중국 남경공장에서 초기 생산된 고전압 배터리 중 일부에서 음(-)극 탭이 접히는 제조불량으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이 확인됐다"면서 고전압배터리시스템을 모두 교체하는 리콜에 돌입한다고

|21.02.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92
21.02.24
자유주제

롤스로이스, 20대 한정 '팬텀 템퍼스 컬렉션' 공개…우주의 기운을 담아

롤스로이스가 24일(유럽 현지시간) 전 세계 오직 20대만 한정 생산하는 '팬텀 템퍼스 컬렉션'을 공개했다. 신차는 시간과 우주, 그리고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에게서 영감을 받아 제작됐다. 차량 내·외부는 시간을 의미하는 다양한 상징적 요소들로 꾸며졌는데, 특히 롤스로이스의 상징 중 하나인 센터페시아 시계는 의도적으로 삭제됐다. 롤스로이스는 "팬텀 템퍼스의

|21.02.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00
21.02.24
자유주제

하늘길 노리는 현대차, 민간 항공우주 전문가 ‘벤 다이어친’ 영입

현대차그룹이 24일 벤 다이어친(Ben Diachun)을 도심항공모빌리티(UAM)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다이어친 CTO는 항공우주 기술 개발 분야에서 20여년의 경험을 쌓은 인물이다. 최초의 민간 유인 우주선 스페이스쉽원을 비롯해 개인용 전기 항공기 블랙플라이 등 16종의 항공기 설계에 참여했다. 최근까지는 미국의 항공우주 스타

|21.02.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64
21.02.24
자유주제

현대차, 코나EV 등 전세계 8만2000대 리콜…'배터리 교체 비용만 1조원'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전 LG화학)이 연쇄 화재 사태로 논란을 겪은 코나 일렉트릭의 전 세계 판매량에 대해 배터리를 무상 교체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24일 국내외 애널리스트 및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이번 리콜 관련 품질 비용 및 반영 사유에 대해 설명하는 컨퍼런스콜을 열었다. 현대차는 "LG에너지솔루션의 중국 남경공장에서 생산된 일부 배터리셀의 제

|21.02.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2
21.02.24
자유주제

불 났지만 원인은 몰라' 석연찮은 코나EV 리콜…여전한 화재 가능성

지난해 연쇄화재 사태로 논란을 빚은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의 리콜 조치에 의혹이 높아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불명확한 발표 때문이다. 국토교통부가 2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에서는 코나 일렉트릭의 화재 원인에 대해 명확한 최종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화재 가능성이 발견된 불량 배터리에서 정작 불이 붙지 않았기 때문

|21.02.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97
21.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