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전승용 칼럼] 왜 수소차가 아니라 전기차를 만들까?

Lv 1

21.06.17

view_cnt

866

자동차 회사에서는 왜 전기차를 만들까요? 만성 적자에 시달리던 테슬라는 어떻게 흑자 회사가 됐을까요? 왜 수소차가 아니라 전기차일까요?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가 지난 5월 29일부터 6월 13일까지 개최한 고투제로(goTozero) 전시회에 1만명이 넘는 시민들 방문했다는 뉴스를 봤습니다. 저 역시 미디어 행사에 참여해 어떤 내용이 오고 갔는지, 어떤 전시가 이뤄졌는지 확인하고 왔는데요. 생각할만한 이야기가 꽤 있어서 여러분과 함께 나눠보려고 합니다. #1 우리에게는 시간이 없다. 1.5도에서 막자 이번 전시회의 큰 맥락은 이렇습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우리에게 남은 시간이 별로 없다. 온실가스의 주범인 탄소배출량을 억제해야 하는데, 운송 분야에서는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 대체해야 한다. 폭스바겐그룹은 이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할 것이다.  여기서 포인트는 ‘우리에게 남은 시간이 별로 없다’는 것입니다. 5월 초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알쓸범잡이라는 프로그램에 경희대 김상욱 교수가 나와서 한 이야기죠. 산업혁명 이후 지구 평균 온도가 1.1도 올랐다. 지구 온도 1도를 순전히 핵폭탄만으로 올리려면 200년 동안 1초에 핵폭탄을 4개씩 터트려 할 정도로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하다.  방송을 보면서 꽤 큰 충격을 받았는데요. 이와 비슷한 이야기를 고투제로에 참가한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이사도 하더라고요. 혹시 ‘티핑 포인트’란 말을 들어보셨나요? 더는 예측도, 조절도 안 되는 시점을 말한다고 하네요. 지구 온도에서 티핑 포인트는 산업혁명 기준으로 2도가 상승하는 건데요. 2도가 오르면 생태계가 돌이킬 수 없이 파괴돼 더이상 생명이 살 수 없는 곳이 되어버린다는 것이죠.  그나마 되돌릴 수 있는, 노력해서 멈추거나 다시 떨어질 수 있는 지점은 1.5도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최소한 1.5도에서 완전히 멈추자. 탄소 배출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 시대를 만들자는 거에요. 앞으로 남은건 0.4도로, 얼핏 여유가 있어 보이지만, 지구 온난화 속도가 워낙 빨라지고 있다 보니 실제 시간상으로는 얼마 안 남은 겁니다. 1도만 올라도 벌써 폭염 등 이상 기온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데, 1.5도, 2도는 상상이 안 갑니다. 진짜 재앙인 거죠.  파리기후협약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지난 2015년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세계 195개국이 ‘지구 평균온도 상승 폭을 2도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1.5도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협약을 맺은 건데요. 이후에는 지구 평균온도 상승 폭을 1.5도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0)인 탄소중립을 실현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목표가 세워졌습니다. 최근에는 2050년까지 여유가 없으니 더 빨리 탄소중립을 실현시키자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고요. #2 당장 전기차를 안 만들면 엄청난 벌금이... 모든 고민은 여기서 시작됩니다. 처음에 던졌던 화두, 자동차 회사에서는 왜 전기차를 만들까? 테슬라는 어떻게 흑자 회사가 됐을까? 왜 수소차가 아니라 전기차일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 역시 시간의 문제였습니다.  먼저 자동차 회사에서 전기차를 만드는 이유. 좋게 말하면 지속가능성, 나쁘게 말하면 돈 때문입니다. 수십년 넘게 내연기관차를 만들던 회사가 갑자기 전기차로 전환하려면 엄청난 시간과 돈과 노력이 들어갈 수밖에 없습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굳이 이렇게 빨리, 그리고 적극적으로 전기차로 전환할 이유는 없죠. 기업이 환경 보호를 위해 자발적으로 그럴리가요. 뭐, 테슬라처럼 자동차 산업에 새롭게 진출하는 게임체인저가 아니라면 사실상 불가능한 일입니다. 당장 전기차를 안 만들면 엄청난 벌금을 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세계 각 정부는 다양한 협약을 맺고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자동차도 마찬가지죠. 점점 더 까다로워지는 배출가스 규제를 하고, 이를 지키지 못할 경우에는 엄청난 벌금을 부과합니다. 상상을 초월합니다. 유럽의 경우 올해부터 신차의 대당 평균 CO2 95g/km 이상이 되면 1g을 초과할 때마다 95유로의 할증료를 내야 한다네요. 초과 g 곱하기 판매량 곱하기 95유로가 전체 벌금이 되는 겁니다. 이게 얼마나 많은지 상상이 되세요?  독일의 쥐트도이체차이퉁이 공개한 PA 컨설팅그룹의 예측을 보면 폭스바겐 5조8552억원, 스텔란티스 4조6637억원, 다임러 1조2961억원, 현대기아차 1조 361억원, BMW 9802억원 등을 내야 한다네요.  #3 탄소크레딧. 테슬라가 돈 벌면 배가 아프다 여기서 탄소크레딧, 탄소배출권이라는 개념이 등장합니다. 한마디로 각 자동차 회사에 신차 판매량에 따라 탄소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할당해주는 건데요. 이 권리는 거래가 가능합니다. 적게 배출하는 회사는 많이 배출하는 회사에 탄소배출권을 팔 수 있다는 겁니다. 반대로 많이 배출하는 회사는 적게 배출하는 회사에 사야 하는 거고요.  테슬라가 작년에 최초로 흑자 전환을 이뤄낸 것, 바로 이 탄소배출권 덕분입니다. 테슬라는 전기차만 만들기 때문에 탄소배출권을 사용할 일이 없고, 이걸 팔아서 막대한 돈을 번 것이죠. 2020년 테슬라의 순이익은 약 7억2000만달러, 8000억원이었는데요. 탄소배출권을 팔아서 낸 수익이 무려 16억달러, 1조8000억원이라고 합니다. 탄소배출권을 못 팔았으면 또 1조원에 달하는 적자를 봤다는 것이죠. 참고로 테슬라에게 가장 많은 탄소배출권을 산 회사는 피아트 크라이슬러와 푸조시트로엥이 합쳐진 스텔란티스로 알려졌습니다.  그래서 기존 자동차 회사들이 죽어라 전기차를 만드는 겁니다. 점점 까다로워지는 탄소배출 기준을 맞추려면 하이브리드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로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죠. 지금 당장 전기차를 안 만들면 내연기관 팔아서 번 돈의 대부분을 벌금으로 내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입니다.  #4 폭스바겐그룹은 왜 전기차에 올인하나 폭스바겐그룹은 지금 상태라면 유럽에서만 5조8552억원에 달하는 벌금을 내야 할지도 모릅니다. 그 어떤 회사보다 전기차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디젤게이트로 떨어진 자존심을 '친환경 전기차'로 극복해야 하는 것이죠. 일단 폭스바겐그룹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자동차를 파는 회사입니다. 아우디폭스바겐에 따르면 전세계 CO2 배출량의 14%는 운송 부문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물론, 이는 자동차뿐 아니라 철도, 항공, 해양 등이 포함된 숫자입니다.  그렇다면 12개의 산하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 폭스바겐그룹의 자동차가 배출하는 CO2는 얼마나 될까요? 약 3억6000만톤, 전세계 배출량의 2%라고 합니다. 세부적으로는 상용차가 1%, 승용차가 1%고요. 혹시 에게.. 고작 2%라고 생각하신 분 있으신가요? 2%면 영국 전체에서 배출한 것과 동일한 수준입니다. 영국은 세계 10위의 CO2 배출국이고요. 엄청난 숫자입니다. 그래서 더 탄소중립을 향해 발빠르게 움직여야 하는 것이죠.  폭스바겐그룹은 크게 3단계로 CO2 배출량을 줄인다는 계획입니다. 공급단계에서는 15%, 주행단계에서는 79%, 재활용 등 기타 부분에서는 6%.. 이렇게요.  공급단계에서의 15%는 저탄소 생산공정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친환경 공장을 늘려 2025년에는 2010년 대비 탄소배출량을 45% 줄인다는 목표입니다. 79%에 달하는 주행단계는 전기차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습니다. 2025년까지 350억유로, 약 48조원을 투자해서 2030년까지 70종의 순수전기차를 출시할 예정이라네요. 마지막 남은 6%는 재활용 부분입니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르네 코네베아그 사장은 배터리를 90% 이상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더이상 완충이 불가능한 배터리는 다른 용도의 저장용 배터리로 사용하고, 재사용이 불가능할 정도의 배터리는 분해해서 원료를 추출해 새로운 배터리를 만드는데 사용할 것이라네요. #5 왜 수소차가 아니라 전기차? 그렇다면 왜 수소차가 아니라 전기차일까요? 앞서 말한 것처럼 세계 각 정부는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내연기관차들을 모두 친환경차로 대체해야 합니다. 제한된 시간에 한정된 자원을 어떻게 사용하냐가 중요하죠. 현재로서는 수소차보다 전기차의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이는게 사실입니다. 기술적 관점에서 만들기도 쉽고, 경제적 관점에서 가격도 저렴하고, 인프라 관점에서 충전 시설 확충에도 수월합니다. 무엇보다 많은 소비자가 전기차를 사고 있죠. 전기차와 충전기가 점점 더 많이 쌓이고 있다는 겁니다.  자동차는 핸드폰처럼 한꺼번에 쉽게 바꿀 수 있는게 아닙니다. 수소차든 전기차든 내연기관에서 180도 전환하려면 수십년의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지금처럼 압도적으로 많은 전기차가 나오고, 소비자들이 그 전기차를 산다면, 그리고 그런 시간이 길면 길어질수록 우리 사회의 자원은 수소차가 아니라 전기차 방향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습니다. 전기차와 수소차는 가솔린과 LPG처럼 사용 환경이 전혀 달라 중복 투자가 어렵잖아요. 전기차가 늘어나면 급속 충전소뿐 아니라 완속 충전기도 집마다 쫙 깔릴텐데… 물론 전기차도 풀어야 할 숙제가 있습니다. 석탄과 석유가 아니라 풍력, 수력, 태양광 등 친환경으로 만들어진 전기로 달려야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계속 노력하고 해답을 내놔야겠죠.  수소화 사회를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고 생각하는 1인으로서도, 50년 100년 뒤에는 또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지금은 그리고 당분간은 전기차 시대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겠구나..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소차의 입지는 더 좁아지고요. 물론 이것은 승용차에 한정된 이야기고요. 대형 상용차나 철도, 항공, 해양 선박 등은 또 다른 이야기입니다. 해당 분야에서는 수소차가 더 가능성이 높을 수도 있겠고요. 많은 분들이 말하는 것처럼 투트랙으로 갈 가능성도 여전히 있습니다. 
[전승용 칼럼] 왜 수소차가 아니라 전기차를 만들까?

[전승용 칼럼] 왜 수소차가 아니라 전기차를 만들까?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포르쉐 카이엔, 뉘르부르크링서 가장 빠른 SUV 등극…"종전 기록 4초 단축"

포르쉐 카이엔이 독일 뉘르부르크링 서킷에서 가장 빠른 SUV에 등극했다.  포르쉐는 이달 14일(현지시간) 뉘르부르크링 서킷 노르트슐라이페 구간 20.832km에서 카이엔 고성능 모델이 7분38.925초의 랩타임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9년 아우디 RS Q8이 수립한 기록 7분42초보다 4초 이상 빠른 기록이며, 이전 카이엔 터보 S의 기록

|21.06.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2
21.06.17
자유주제

[시승기] '모범생의 메이크오버' 토요타 뉴 캠리

사람들은 예상을 벗어난 반전에 더 크게 자극을 받고 반응한다. 그간 단정하고 조용한 모범생이었던 토요타 캠리도 이번에는 제법 멋을 부리고 등장했다. 꾸밀 줄 모르던 모범생의 메이크오버는 과연 어떤 결과를 낳게 될까. # 아빠차가 아닌 오빠차! 신형 캠리의 외관 디자인은 XSE와 XLE 두 가지로 나뉜다. 이번에 시승한 모델은 한층 스포티한 인상을 갖춘

|21.06.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403
21.06.09
자유주제

[시승기] 마세라티 기블리 S Q4 '본질이 주는 가치'

사막의 모래 폭풍'을 의미하는 기블리는 마세라티 엔트리 모델이자, 르반떼와 함께 브랜드 판매량을 견인하는 볼륨 차종이다. 기블리는 지난 2013년 국내 출시 당시 '강남 쏘나타' 반열에 오를 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구가하며 국내 소비자들에게 마세라티 브랜드를 제대로 각인하는 데 일조했다. 그러나 8년이 지난 지금, 대부분의 경쟁 모델들이 풀 체인지를 거쳤음

|21.06.0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400
21.06.08
자유주제

벤츠코리아, 시동 꺼지는 E클래스 5900대 무상수리…마일드 하이브리드 결함!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최근 시동 꺼짐 문제로 논란을 겪은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해 무상수리를 진행한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16일 E클래스(E350 4매틱, 2020년 3월~2021년 5월 생산) 5956대를 대상으로 무상수리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해당 차량은 48V 온보드 전기 시스템의 배터리 컨트롤 유닛 소프트웨어가 사양에 맞지 않아 차량

|21.06.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6
21.06.18
자유주제

디젤 멈춰! 친환경 1톤 상용차가 뜬다…전기차냐 LPG냐 그것이 문제로다

국내 소형 상용차 시장에서 친환경 모델의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다마스와 라보가 단종됐지만 이를 대신할 LPG 상용차가 늘어났고, 도심 운행에 최적화된 전기 상용차가 출시된 덕분이다. 2018년 95%에 육박했던 디젤 비중은 올해(1~5월) 74.8%로 20.2%p 줄었다.   # LPG 보조금, 최대 1020만원!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20

|21.06.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19
21.06.16
자유주제

[시승기] 페라리 포르토피노 M "이쯤되면 막내의 반란!"

페라리의 엔트리 모델 포르토피노 M을 시승할 기회가 생겼다. 고성능 컨버터블을 몰고 서킷부터 공도까지 다양한 코스가 포함된 기회다. 설레는 마음을 안고 시승 장소로 출발했다. 그런데 날씨가 도와주지 않는다. 아침부터 잔뜩 흐린 하늘은 시승 장소에 도착하자마자 빗방울까지 조금씩 떨어지기 시작한다.  궂은 날씨에 시승한 적은 많지만, 600마력 넘는 컨버터블

|21.06.1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41
21.06.15
자유주제

[주간F1] "전략의 승리" 레드불, 7R 더블 포디움…팀·드라이버 선두 질주

레드불 레이싱 팀이 2014년 이후 6년 만에 3연속 그랑프리(GP) 우승을 차지했다.  레드불 소속 맥스 페르스타펜이 20일(현지시간) 열린 2021시즌 포뮬러 원(F1) 7라운드 프랑스 그랑프리에서 1시간27분25초770의 기록으로 폴투윈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경기는 우승 후보 간 타이어 교체 전략에서 뚜렷한 차이를 드러냈다. 메르세데스-AMG는

|21.06.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0
21.06.21
자유주제

[이완 칼럼] 아우디, 엔진에 작별을 고하다 “A4로 시작해 Q8로 끝”

지난 17일, 독일 유력지 쥐트도이체차이퉁은 아우디가 2026년부터 가솔린과 디젤 엔진이 달린 새로운 모델을 내놓지 않을 것이라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마르쿠스 뒤스만 아우디 회장이 직원들에게 발표한 내용이 외부로 유출이 된 것으로, 여전히 아우디는 이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지만 주간지 슈피겔은 쥐트도이체차이퉁이 전한 소식이 사실임을 아우디 관

|21.06.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3
21.06.21
자유주제

랜드로버, 부분변경 거친 '뉴 디스커버리' 국내 출시…8680만원부터

랜드로버코리아가 프리미엄 7인승 패밀리 SUV '뉴 디스커버리'를 출시하고 본격 판매를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뉴 디스커버리는 최첨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피비 프로를 탑재하고 디자인과 편의 사양까지 업그레이드하며 상품성을 강화했다. 외관은 리어램프와 앞·뒤 범퍼 하단, 에어 인테이크, 그릴, 휠, 사이드 벤트 등에 새로운 디자인을 적용해 강인하면서

|21.06.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21
21.06.21
자유주제

재규어코리아, 럭셔리 퍼포먼스 SUV '뉴 F-페이스' 출시…가격 7350만원부터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가 퍼포먼스 럭셔리 SUV F-페이스의 부분 변경 모델 '뉴 F-페이스'를 10일 국내에 공식 출시한다. 한층 진보한 모습으로 탄생한 뉴 F-페이스는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가 최근 선언한 4P 전략에 따라 새롭게 구성됐다.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 기술이 적용된 신형 인제니움 디젤 엔진과 브랜드 첨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피비 프로'가 

|21.06.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84
21.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