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시승기] 캐딜락 CT5 "좋은데 안 팔리면 노력 부족!"

Lv 1

21.06.24

view_cnt

1,067

21세기 캐딜락은 과거를 탈피하기 위해 애써왔다. 본사를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뉴욕으로 옮기고, 파격적인 디자인과 역동적인 주행 감성을 적극 도입했다. 이를 통해 젋고 스포티한 성향의 프리미엄 브랜드로 거듭날 것을 공언해왔다. 사실 201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그 시도가 딱히 인상적이지 않았다. ELR·SRX 등 디자인은 어딘가 괴상했고, DTS·XTS·BLS 등 전륜구동 라인업은 약속과 달리 지루했다. CT5의 전신 CTS도 그랬다. 어딘가 부족한 주행 감각부터 촌스러운 인테리어, 어설픈 승차감까지 독일차와 비교해 무엇 하나 눈에 차지 않았다. 때문에 새로운 네이밍 시스템을 적용하고 디자인도 바꿨지만, CT5는 큰 기대가 들지 않았다. # 지금까지 캐딜락은 잊어주세요! CT5의 외형은 새로운 시대의 캐딜락을 담고 있다. 과거의 중후한 맛은 온데간데 없고, 과감하고 새로운 시도들로 가득하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브랜드의 미래방향성을 담은 콘셉트카 '에스칼라'를 연상시킨다. 이전 세로형 램프는 주간주행등만 남기고, 가로 배치 형태로 바뀌었다. 여기에 거대한 라디에이터 그릴과 하단부에 위치한 에어 인테이크는 공격적인 인상을 더한다. 측면부에서는 전형적인 스포츠 세단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헤드램프부터 리어램프까지 길게 뻗은 캐릭터 라인은 단단한 인상을 강조하고, 볼륨감 있는 펜더는 역동성을 불어넣었다. 도어 핸들에 조명을 넣어 나름의 기교를 부렸고, 독특한 형상의 윈도우 라인이 다채로움을 더한다. 후면부는 볼거리가 가득하다. 마냥 공격적인 전면부와 달리 고급스러움과 역동성이 공존한다. 툭 튀어나온 리어 스포일러와 공격적인 리어 디퓨저는 스포티한 인상을 주고, T자형으로 설계된 테일램프는 에스칼라의 세련된 이미지를 담았다. 램프를 따라 이어진 캐릭터 라인은 팽팽하게 당겨진 옷감처럼 묘한 긴장감을 전한다. 수평 기조로 디자인된 실내는 이전 모델보다 한층 넓은 느낌이다. 그 공간은 고급 소재로 가득 채워졌다. 스웨이드 소재로 감싼 스티어링 휠과 엣지있는 마그네슘 패들 시프트는 손에 착 감긴다. 여기에 야들야들한 천연 가죽시트 소재도 만족스럽다.  곳곳에 국내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사양들로 가득하다. 열선·통풍 시트에 마사지 기능도 있다. 10인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폰 커넥티비티 시스템부터 무선 충전, 오토 홀드, 보스 오디오 시스템 등도 기본이다. 어딘가 아쉬운 최신 독일차 옵션을 보면, 이쪽이 훨씬 더 낫다. 첨단 주행 보조 시스템도 풍부하다. HD 서라운드 비전 카메라, 전·후방 긴급 제동 시스템을 비롯해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탑재됐고, 기존 대비 300% 넓은 후방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카메라 미러가 추가 제공된다. 단점도 있다. 요즘은 흔한 차로 유지 보조 기능이 없다. 디지털 클러스터를 썼던 CTS와 달리, CT5는 아날로그 방식이다. 경쟁 차종보다 비좁은 2열도 불만이다. 180cm이 넘는 체격에 소유자라면, 머리는 천정에 닿을 것이며 무릎 및 레그룸은 주먹 한 개 정도 공간이 겨우 나온다. # 독일차 뺨치는 주행 감각 CT5는 최고출력 240마력, 최대토크 35.7kg.m의 2.0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과 10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된다. 기존 CTS와 비교하면 출력과 토크는 감소했지만, 최대토크의 발산 구간(1500~4000rpm)이 이전(3000~4500rpm)보다 더 풍부해졌다.  그럼에도 도심에서는 조금은 답답했다.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시내에서는 1500rpm을 넘어서기 전까지 약간의 인내가 필요하다. 결국 가속 페달을 조금 더 세게 밟을 수밖에 없다. 반면, 고속도로에서는 도심에서 느껴졌던 답답함을 모두 보상받는 느낌이다. 속도를 점차 높여나갈수록 여유가 넘친다. 고속 영역에서도 꾸준히 끊김없이 펀치력이 가해지는 느낌이 마치 자연흡기 엔진을 연상시킬 정도다. 고속 주행 안정성도 매우 인상적이다. 노면을 1/1000초 단위로 읽는 마그네틱 라이드 컨트롤(MRC) 덕분이다. 계기판을 보고 깜짝 놀랄 정도로 속도감에 둔해진다. 승차감은 적당히 단단한 편인데, 마냥 딱딱하기만 하던 CTS와 달리 적절한 타협점을 찾은 모양새다. 핸들링 성능도 의외다. 스티어링 휠 감각은 가볍지만, 전반적인 차체 거동은 독일차처럼 절도있다. 마치 네 바퀴가 동시에 조향되는 듯 차체 앞·뒤가 일체감 있게 움직인다.   토크컨버터 타입을 쓴 10단 자동변속기는 듀얼클러치 변속기만큼 기민하게 반응한다. 특별히 패들시프트를 조작할 필요가 없을 정도다. 스포츠모드를 체결한 상태에서는 코너 앞에서 브레이크만 밟아줘도 순식간에 기어 단수를 낮춘다. 마치 서킷처럼 언제든 다시 튀어나갈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 다 좋은데, 알아주는 이가 없다 CT5는 보여주기에 급급했던 CTS보다 한층 더 내실있는 변화를 택했다. 한층 스포티해진 외형과 그에 걸맞는 운전의 재미, 아낌없이 쓴 고급 소재, 한층 풍부한 편의사양이 그렇다. 스포티한 성향의 프리미엄 브랜드를 추구한다던 새로운 캐딜락의 지향점에 꼭 맞다.  가격 경쟁력도 독일차보다 한 수 위다. 시승 차량인 CT5 스포츠의 가격은 5921만원으로, 동급 2.0 터보 엔진을 탑재한 메르세데스-벤츠 E250(6450만~6890만원)이나 BMW 520i(6350만~6510만원)보다 저렴하다. 어딘가 옵션 한두개가 비어있는 요즘의 독일차에게 비수를 꽂을 가격 정책이다. 브랜드 인지도도 높고 차량 성능과 가격 경쟁력도 뛰어나다. 그런데 판매량은 바닥이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CT5는 2020년 출시 이후 지난달까지 불과 179대가 팔리는 데 그쳤다. 잘 알려진 브랜드가 합리적인 가격표를 내놓았는데도 알아주는 이가 없다는 건 캐딜락코리아의 노력 부족이 아닐까. 
[시승기] 캐딜락 CT5 "좋은데 안 팔리면 노력 부족!"

[시승기] 캐딜락 CT5 "좋은데 안 팔리면 노력 부족!"

사이트 방문
캐딜락 CT5 21년식
5,428 ~ 5,921만원
CT5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포르쉐, 카이엔 터보 GT 공개…세계에서 가장 빠른 SUV

포르쉐가 30일, 자사의 최상위 SUV인 '카이엔 터보 GT'를 공개했다. 최근 독일 뉘르부르크링 서킷을 7분38초925 만에 주파하며 양산형 SUV 중 가장 빠른 기록을 세운 모델이다. 신차는 640마력을 발휘하는 4.0리터 V8 엔진과 전용 고성능 파츠를 대거 적용해 스포츠카 이상의 성능을 발휘한다. 4인승 쿠페 전용으로 제공되는 카이엔 터보 GT는 

|21.06.3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19
21.06.30
자유주제

메르세데스-벤츠 EQA, 최대 주행 거리 306km 확정!

 오는 7월 국내 출시를 앞둔 메르세데스-벤츠 EQA의 공인 주행 거리가 공개됐다.30일 한국에너지공단 자료에 따르면, 메르세데스-벤츠 EQA 250 모델의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는 306km로 인증을 받았다. 앞서 출시된 벤츠 EQC(308.7km)와 비슷하고, 유사한 가격대의 현대차 아이오닉5(319~429km)보다 소폭 짧은 거리다.올해 1월 온라인을

|21.06.3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2
21.06.30
자유주제

[스파이샷] '공개 임박' AMG SL, "S클래스 닮았네!"

메르세데스-AMG SL이 이달 25일(유럽 현지시간) 다임러AG 연구개발 및 테스트센터 인근에서 포착됐다. 신차는 기존 SL은 물론, S클래스 쿠페 및 카브리올레까지 대체하는 통합 후속 차종이다. 메르세데스-벤츠의 고성능 사업부인 AMG가 개발을 주도한 만큼 최신 퍼포먼스 기술이 망라될 것으로 알려졌다.이날 목격된 시험주행차량은 차체 형상 대부분을 드러냈다

|21.06.2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1
21.06.29
자유주제

정부, 친환경차 보급 박차…'K-배터리' 국가 전략 기술로 육성

정부가 친환경차 보급을 위해 취득세 및 개별소비세 감면 기한을 연장하고 렌터카와 물류, 운송 등 대기업에게 친환경차 구매 목표를 부여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28일 확대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2021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확정·발표했다. 이날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정부에서는 전기·수소차 1등 생산국가 도약 기반을 위한 지침을 마련했다.우선 연내 전기차

|21.06.3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0
21.06.30
자유주제

현대차 노조, 2021 임단협 결렬 선언…"더 이상 협상 무의미하다"

현대차 노동조합이 2021 임금 및 단체협약(이하 임단협)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이와 함께 노조는 오는 7일 조합원 대상 파업 찬반투표도 진행할 예정이다.앞서 사측은 올해 기본급 5만원 인상, 경영성과급 100%+300만원 지급, 품질 향상 격려금 200만원 지급, 주간 연속 2교대 포인트 10만원 등을 제시했다.노조는 30일 소식지를 통해 "사측이 파국

|21.06.3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3
21.06.30
자유주제

가장 매력적인 전기차 TOP5…"기아 EV6는 테슬라 모델3를 잡을 수 있을까?"

환경부는 올해부터 6000만원이 넘는 전기차에 대해 구매보조금을 제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6000만원 미만 차량은 보조금 전액을 지원하고, 6000만~9000만원은 50%를, 9000만원 이상 전기차에는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이를 의식한 일부 브랜드는 급히 가격을 조정하며 소비자 관심을 유도하는 모양새다.보조금을 온전히 받을 수 있는 6000만원 미

|21.06.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3
21.06.28
자유주제

기아, 새 엠블럼 단 2022년형 쏘렌토 출시…디젤 그래비티 트림 추가

기아가 2022년식 쏘렌토를 출시하고 1일부터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했다.2022년형 쏘렌토는 신규 엠블럼을 적용하고, 주요 고객층이 선호하는 사양을 기본 적용했다.신차는 그간 선택사양으로 운영해 온 LED 실내등(맵 램프, 룸 램프, 러기지 램프)을 전 트림에 탑재하고 주력 트림인 노블레스 트림과 최상위 시그니처 트림에 프리미엄 스티어링 휠, 전방 충돌방지

|21.07.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13
21.07.01
자유주제

"1년 만에 나왔다!" 현대차 싼타페 하이브리드 사전계약 개시

현대차가 1일부터 싼타페 하이브리드 사전계약을 접수받는다. 작년 6월 말 2.2 디젤 모델 공개 이후 1년 만에 출시된 하이브리드 모델은 180마력의 1.6L 가솔린 터보 엔진과 44.2kW 전기 모터의 조합으로, 최고출력 230마력과 최대토크 35.7kgf·m의 성능을 발휘한다.신차는 저속에서 엔진 개입 없이 구동 모터로만 주행하는 EV 모드를 통해 한층

|21.07.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8
21.07.01
자유주제

아우디, 역동성·실용성 겸비한 SQ5 TFSI 국내 출시

아우디코리아가 오는 6일 고성능 프리미엄 SUV 'SQ5 TFSI'를 출시한다.SQ5는 파워풀한 퍼포먼스의 매력과 넉넉하고 안락한 실용성을 겸비했다. 신차는 팔각형 싱글 프레임 그릴에서 이어지는 날카로운 라인에 고성능 S의 요소를 더해 강렬한 존재감을 발산한다.라디에이터 그릴과 차량 뒷면에 SQ5 배지를 적용하고, 앞·뒤 범퍼와 그릴, 루프레일 및 윈도우

|21.07.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0
21.07.01
자유주제

[이달의 신차] K9부터 마이바흐까지…'플래그십의 품격 있는 변화'

6월에는 상품성을 강화한 새로운 플래그십 라인업이 눈에 띄었다. 기아가 K9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내놨고, 메르세데스-벤츠는 신형 S클래스 기반으로 제작한 마이바흐를 선보였다. 아우디는 Q8의 하이 퍼포먼스 버전을, 재규어와 푸조는 F-페이스와 5008 부분변경 모델을 각각 출시했다. 이와 별개로 아우디 S5와 랜드로버 디스커버리 부분변경 모델도 수입차 시장

|21.06.2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1
21.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