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AD] 현대차-제주, 친환경차 생태계 구축 위한 상호 협력 MOU

Lv 1

21.07.09

view_cnt

698

현대차와 제주도가 제주형 친환경차 생태계를 구축한다. 현대자동차와 제주특별자치도는 6일(화) ‘친환경 생태계 구축을 위한 상호 협력 MOU’를 체결했다. 이날 제주도청 서울본부에서 열린 MOU 체결식에는 현대차 장재훈 사장, 제주도 원희룡 지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MOU로 현대차와 제주도는 친환경차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친환경차 보급과 인프라 구축 확대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제주도 내 초고속 충전기 설치 등 이용 편의 제고를 통한 전기차 타기 좋은 환경 조성 ▲국내 최초 그린수소 기반의 충전 인프라 구축 및 승용/상용 수소전기차 보급 통한 수소 생태계 구축 등에 협력한다. 또한 ▲친환경차 분야 연관산업 발전 및 육성 ▲친환경차 홍보 활동 및 보급 활성화를 위한 상호 정기 협의체 운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 노력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친환경차 중심의 렌터카 이용률이 높은 대표적인 지역으로 이를 처음 접하는 관광객도 많아 친환경차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는 평가도 적지 않다. 현대차는 전기차 활용도 및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5월 제주도 전용 전기차 웹사이트인 ‘탐라는 전기차’를 오픈했으며, 전기차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탐라는 전기차’는 ▲전기차 소개/활용/뉴스 등 콘텐츠 ▲전기차 충전소 위치/충전 가능 상태 조회 ▲고장 충전기 공유 ▲찾아가는 충전 서비스 등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향후 현대차는 국내 최초로 제주도에서 풍력 발전의 잉여 전력으로 생산되는 그린수소를 활용한 이동형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승용 및 상용 수소전기차 보급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현대차 장재훈 사장은 “이번 MOU가 친환경차 생태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확산시키는 발판이 되길 기대한다”며, “향후에도 현대차는 제주도와 함께 친환경차 보급 활성화를 통한 다양한 연관 산업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현대자동차]
[AD] 현대차-제주, 친환경차 생태계 구축 위한 상호 협력 MOU

[AD] 현대차-제주, 친환경차 생태계 구축 위한 상호 협력 MOU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닷지, 고성능 전기차 브랜드로 전환…"2024년 전기 머슬카 양산!"

스텔란티스 산하 닷지가 고성능 전기차 브랜드로 전환한다. 닷지는 7일(현지시간) 온라인으로 개최된 '스텔란티스 EV데이'에서 오는 2024년 세계 최초의 순수 전기 머슬카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이날 닷지 팀 쿠니스키 CEO는 "우리는 단순한 전기차가 아닌 800마력 이상의 아메리칸 e머슬카를 만드는 브랜드로 거듭날 것"이라며 "전기모터가 닷지를 더 빠

|21.07.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4
21.07.09
자유주제

[시승기] BMW M 나이트, 무더위를 날려라!

"야간에 달리는 서킷은 어떤 느낌일까?" BMW코리아가 M 마니아들을 위해 아주 특별한 이벤트 'BMW M 나이트'를 마련했다. 이번 행사는 BMW 드라이빙 센터가 개장된지 7년 만에 처음으로 진행되는 야간 프로그램이다. 어두운 밤 하늘 아래 조명이 켜진 트랙을 바라보고 있으니 나이트 레이스에 출전하는 듯한 기분이다. 이날 행사는 고속 운전을 즐기는 '

|21.07.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37
21.07.02
자유주제

코로나 끝나면 꼭 가야 할 자동차 여행지-미국편①[황욱익의 로드 트립]

처음 계획은 여러 번 다녀 본 유럽이나 일본을 생각했었다. 그러나 미국 자동차여행의 환경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깨달은 건 LA 공항을 나온 순간이었다. 생각보다 시행착오도 많았지만 미국, 특히 서부는 자동차 여행을 즐기기에 최적의 환경을 가지고 있는 곳이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늘 따뜻하고 건조한 기후, 다양한 민족이 모여 사는 다채로움, 다양한 먹거리 

|21.07.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417
21.07.09
자유주제

기아, 카니발 하이리무진 4인승 출시...가격 8683만원

기아가 4세대 카니발 하이리무진 4인승 모델을 12일 출시했다. 4인승 모델은 카니발 하이리무진의 여유로운 공간을 바탕으로, 2열 탑승객을 위한 차별화된 사양과 고급감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4인승은 스마트스트림 3.5 가솔린 엔진 단일 모델로 운영된다. 여기에 서스펜션 스프링 강성 및 쇽업소바 감쇠력을 최적화해 차별화된 승차감을 제공한다. 4인승

|21.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9
21.07.12
자유주제

[시승기] '작지만 큰 기쁨' 뉴 미니 쿠퍼 S 컨버터블

미니 브랜드는 지난 2005년 국내 진출 이후 16년간 10만대에 가까운 판매량을 올리며 꾸준한 인기를 입증해왔다. 특히, 2019년 처음으로 연 판매 1만대를 돌파했고, 코로나19 팬데믹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지난해 10% 이상 성장세를 기록하는 등 2년 연속 '1만대 클럽'에 성공했다. 이 같은 인기 비결은 바로 대체제가 없는 미니만의 특별한 개성에

|21.07.0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3
21.07.08
자유주제

[스파이샷] 뉘르부르크링에 등장한 포르쉐 911 하이브리드?

포르쉐 911 프로토타입 모델이 지난달 독일 뉘르부르크링 서킷에서 목격됐다. 시험주행차량은 다소 평범한 외형과 달리, 전기모터를 품고 있는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580마력을 발휘하는 911 터보의 파워트레인에 400V급 고출력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적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보도에 따르면 시스템 합산 최고출력은 600마력 후반대에 이를 전망이다 모터그

|21.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9
21.07.12
자유주제

쌍용차 '사즉생' 각오…공장 팔고, 순환 무급휴직 돌입

쌍용차가 본격적인 자력 구제 방안을 추진한다. 전 직원을 대상으로 순환 휴직을 시행하고, 공장 부지 매각까지 결정했다. 쌍용차는 이달 9일 평택시와 공장 이전 및 신공장 건설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42년간 사용해온 공장 부지 매각 절차에 돌입했다. 양측은 이날 실무 협의단을 구성해 부지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이전 부지 물색에 나섰다.  회사는

|21.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9
21.07.12
자유주제

메르세데스-벤츠 EQA, 저온 주행거리는 204km…보조금 618만원 책정

고객 인도가 시작된 메르세데스-벤츠 EQA의 저온 주행가능거리와 국고보조금이 공개됐다. 12일 한국환경공단 저공해차 통합 누리집에 따르면, 메르세데스-벤츠 EQA 250의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는 302.8km로 확정됐다. 앞서 한국에너지공단이 공개한 주행거리(306km)보다는 소폭 짧은 수준이다. 한 가지 눈에 띄는 점은 저온 주행가능거리가 204.2k

|21.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18
21.07.12
자유주제

폭스바겐·BMW, 디젤 기술 담합 1조원대 과징금…다임러, 내부고발로 면피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폭스바겐그룹과 BMW그룹, 그리고 다임러AG의 디젤차 배출가스 기술 담합을 적발하고, 1조원대 과징금을 부과했다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EU 집행위원회에 따르면, 해당 업체들은 선택적 촉매 환원장치(SCR) 개발을 앞두고 정기적인 기술 회의를 거쳤다. 담합 행위는 2009년 6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5년에 걸쳐 이뤄졌

|21.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4
21.07.12
자유주제

쉐보레 볼트 EV, 미국서 리콜 후 또 화재!

쉐보레 볼트 EV에서 또 다시 화재가 발생했다. 이번 사고는 이달 1일(현지 시간) 미국 버몬트 주(州)에서 발생했다. 사고 차량은 지난해와 올해 두 차례에 걸쳐 소프트웨어 리콜을 받은 모델로, 충전 중 화재가 일었다. 당국은 이번 화재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 탓으로 보고 있다. GM은 공식 입장을 통해 "이번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

|21.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37
21.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