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시승기] 포르쉐 911 GT3 "나쁜 남자에게 끌리는 이유"

Lv 1

21.09.28

view_cnt

915

포르쉐 911이 더욱더 강력해졌다. 출력이나 배기량을 높이는 대신 차를 가볍고 단단하게 만들어 한층 민첩하게 진화했다. 이는 8세대 911을 기반으로 탄생한 최초의 GT '911 GT3'를 말한다. 911 GT3는 탄생부터 모터스포츠팀과 함께 했다. 개발 단계부터 모터스포츠팀이 참여해 에어로다이내믹 성능은 물론, 각종 퍼포먼스를 위한 튜닝을 진행해 진정한 스포츠카로 거듭났다.  포르쉐가 순수 레이싱 기술을 듬뿍 담은 911 GT3를 독일 현지에서 직접 만나봤다. 외관부터 911과 많은 부분이 다르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부분은 '콧구멍'이다. 경량화를 위해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프런트 보닛에는 공기 흐름을 위한 에어 아웃렛이 뚫려있다. 그 아래쪽 범퍼에는 브레이크 냉각을 위한 대형 에어 인테이크가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한다. 뒤쪽에도 공기 흐름과 관련된 부품이 곳곳에 추가됐다. 우선 리어 윙은 지지대의 공기저항마저 줄이기 위해 백조의 목과 같은 스완넥 방식으로 체결됐고, 다운포스를 높이기 위해 대형 슬레이트가 포함된 리어 디퓨저가 장착됐다.  도어를 열면 완전히 다른 세상이다. 서킷에서나 볼 수 있는 레이스카 문을 잘못 연 것은 아닌지 의심하게 될 정도다. 사실 차량에 몸을 싣는 것부터 쉽지 않다. 높이를 극복하고 차량에 몸을 반쯤 욱여넣으면 버킷 시트라는 또 다른 장벽이 가로막는다. 시승한 911 GT3에는 옵션으로 제공되는 풀 버킷 시트가 적용됐다. 당연히 뼈대는 모두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됐으며, 좌우에서 단단히 몸을 잡고 있는 기분이다.  버킷 시트는 고정형이다. 앞·뒤 위치는 수동 레일로, 높낮이는 전동식으로 각각 조절할 수 있지만 등받이 각도만큼은 나사를 풀어 조절하고 다시 조여야 한다. 사이드 볼스터는 유럽인들의 체형에 맞춰 설계됐는지 숨 막히도록 조이지는 않는다. 등 뒤에는 차체 강성을 위한 롤케이지가 설치됐다. 그나마 가방이라도 던져놓을 수 있던 뒷좌석은 아예 사라지게 됐다. 롤케이지 사이사이를 피하면, 백팩 하나 정도는 겨우 놓을 만한 공간이 남아있다.  다행히 계기판까지 레이스카처럼 만들어 놓지는 않았다. 파이브 서클 계기판 가운데는 아날로그 RPM 게이지가 남아있고, 좌우로 타이어 압력과 중력 가속도, 스탑워치, 수온, 유압, 유온 등 주행 시 필요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표시해 두었다. 911의 조그마한 전자식 기어 노브를 대신해 부츠 타입의 커다란 기어봉이 적용됐다. 헤드 부분을 동그랗게 처리했고, 스티어링 휠과 마찬가지로 알칸타라 소재를 활용해 쥐는 맛은 좋지만, 상단의 잠금 해제 버튼이 옥에 티다. 온 사방을 카본으로 두른 차체에 전혀 어울리지 않은 유광 플라스틱 소재다. 보기에 아름답지 않고, 쥐었을 때 고급스럽지 않으며, 누를 때마다 삐걱이는 소음이 발생한다. 카본이나 메탈 소재로 마감했다면 훨씬 더 좋았겠다.  사실 이 차는 빠르게 달리는데 모든 역량을 쏟아붓고 있다. 이를 위해 거추장스러운 옵션도 모두 벗어던졌다.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나 차로 유지, 소프트 도어 클로징과 같은 고급 편의 사양은 무게만 늘리는 사치다. 수동으로 스티어링 휠 위치를 조절한 후 왼편에 있는 다이얼을 돌리면 등 뒤에서 잠들어있던 엔진이 요란하게 깨어난다. 가속 페달을 밟으면 차량이 울컥거리며 움직이기 시작한다. 모래나 작은 돌조각이 타이어를 타고 차체에 부딪히는 소리가 롤케이지를 타고 실내에 울려 퍼진다. 911 GT3는 4.0L 자연흡기 6기통 박서 엔진과 7단 포르쉐 듀얼 클러치 변속기(PDK)가 맞물린다. 최고출력 510마력을 발휘하는 이 엔진은 내구 레이스에서 검증받은 911 GT3 R의 구동계를 기반으로 제작된 고회전 엔진이다. 출시 전까지만 해도 911 GT3마저 자연흡기를 버리고 터보 엔진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는 루머가 돌았지만, 다행히 자연흡기 엔진이 채택됐다. 911이 터보 엔진을 품으며 잃어버린 감성이 아쉬웠던 사람들은 환호할 만한 소식이다. 이렇게 강력한 출력은 오로지 뒷바퀴가 받아낸다. 타이어는 미쉐린의 최상위급 제품인 '파일럿 스포츠 컵2'가 적용됐다. 이 타이어는 끈끈한 접지력을 바탕으로 맑은 날에는 트랙과 고속도로, 그리고 와인딩 로드를 구분하지 않고 최상의 성능을 발휘한다. 다만 시승한 바로 그 날은 간헐적으로 비가 내렸고, 설상가상으로 늦여름임에도 쌀쌀했다. 때문에 가속 페달을 조금이라도 거칠게 밟으면 여지없이 뒷바퀴가 헛도는 것이 느껴진다. 물론 첨단 전자 장비가 곧바로 개입해 자세가 흐트러지지는 않지만 간담이 서늘해졌다.  주행 모드는 노멀, 스포츠, 트랙까지 단 세 가지뿐이다. 에코 모드가 없는 것은 당연하겠지만, 이번 세대 911에 추가됐던 웻(Wet) 모드가 삭제된 점은 독특하다. 비 오는 날 이 차를 몰고 나오지 말라는 무언의 경고처럼 느껴진다.  신형 911 GT3는 911 역사상 최초로 앞쪽에 더블 위시본 타입의 서스펜션이 적용됐다. 이는 생각 외로 큰 차이를 만들어낸다. 운전대를 돌리는 대로 예민하게 앞머리가 돌아나가는 게 느껴질 정도다. 후륜 조향까지 더해지니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차체 조작이 부담스럽지 않다.  여기에 거대한 뒷날개와 디퓨저로 기존 모델 대비 150% 강한 다운포스까지 형성되니 꽤 빠른 속도로 코너를 돌아나가는 데도 안정적이다.  자연흡기 엔진이지만, 48kg·m라는 강력한 토크를 바탕으로 기어비는 극도로 초반에 몰려있다. 35km/h밖에 되지 않는 속도에서 이미 최고 단수를 체결할 수 있을 정도다. 강제로 변속하지 않는다면 약 80km/h 이후 속도는 모두 7단 기어가 맡는다. 911 GT3의 진가를 확인하기 위해 아우토반의 속도 무제한 구간으로 향했다. 다행히 비도 그치고 구름 사이로 햇빛까지 비치기 시작했다. 망설일 이유가 없다. 가속 페달을 끝까지 밟기 전 스포츠 모드를 체결하고 왼쪽 패들시프터를 두 번 눌러 다운시프팅했다. 온몸이 떨릴 정도로 서스펜션이 단단해지고, 스티어링 휠도 급격하게 무거워진다. 그리고 7단 PDK는 말 그대로 '미친 반응 속도'를 보여준다. 패들시프터를 누르면 손을 떼기도 전 이미 변속이 끝나는 느낌이다. 마우스를 더블클릭하듯 빠르게 두 번 눌러도 재빠르게 기어를 두 단 내려준다. 소심하게 튀는 팝콘 소리는 우렁찬 엔진음에 금세 묻힌다.  가속 페달을 끝까지 밟았다. 우렁찬 엔진음과 함께 RPM은 끝없이 치솟고 몸은 시트에 강하게 파묻힌다. 강력한 엔진과 재빠른 변속기의 조합으로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단 3.4초 만에 가속을 마친다. 200km/h까지는 11초가 채 걸리지 않는다. 끝없이 올라갈 것 같던 속도는 약 320km/h에서 제한된다. 최대토크는 6100RPM에서, 최고출력은 8400RPM에서 발휘되지만 바늘은 한참을 더 돌아간 9000RPM에서 멈춘다. 자연흡기를 고수한 덕에 얻을 수 있는 고회전 영역의 쾌감이다. 여기에 엔진의 힘까지 받쳐주니 100km/h를 넘어도 200km/h를 넘어도 꾸준히 뒤에서 밀어주는 맛이 일품이다. 웅장한 소리에 귀가 즐거워 더 높은 단수의 변속기는 전혀 생각나지 않는다. 합법적으로 빠르게 달릴 수 있는 독일 아우토반을 911 GT3로 달리는 경험은 색다르다. 압도적인 비주얼에 새빨간 색상, 우렁찬 소리까지 더해지니 앞차는 일찌감치 방향지시등을 켜고 하위 차선으로 비켜준다.  빠르게 달리다 보니 생각보다 패들시프터에 손이 가지 않는다. 한 손으로 커다란 기어봉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이 훨씬 재밌다. 동그랗고 커다란 모양에 실내 인테리어를 해친다고 생각했지만, 달리는 도중 잡기에 편리하고 오히려 안정감까지 생긴다.  9000RPM과 소리에 취해 반쯤 무아지경으로 달리다 보니 문득 주유가 걱정이다. 계기판에 표시되는 주행가능거리는 2~3초마다 1km씩 빠르게 줄어든다. 기본 연료 탱크가 64L에 불과한 만큼 90L 연료 탱크 옵션은 차량 무게를 늘릴지라도 꼭 적용해야겠다. 911 GT3는 불친절하다. 실내는 비좁고 불편하며 든든한 최신 운전자 보조 사양도 없다. 롤케이지가 설치되며 뒷좌석이 사라져 가방 하나를 놓기에도 쉽지 않고, 저속에서 울컥거림도 심하다. 또한, LSD의 탓인지 저속 코너링 시 어디에 걸린 듯 드드득 하는 느낌도 꽤나 거슬린다. 최고출력도 911 터보S의 662마력보다 낮고, 국내 출시를 앞두고 공개한 가격도 2억2000만원부터 시작한다. 이런저런 옵션을 넣다 보면 3억원을 훌쩍 넘을 것은 자명하다. 그런데도 자꾸 생각나는 이유는 뭘까. 가볍게 시내를 달릴 때도 서스펜션을 스포츠 모드로 설정하고 싶고, 가변 배기도 켜고 싶은 충동이 든다. 고속도로에서는 자꾸만 9000RPM을 보고싶고, 기어를 오르락내리락 하며 7단 PDK의 반응속도에 감탄하고 싶다. 여성들이 '나쁜 남자'에게 끌리는 이유가 바로 이런걸까.
[시승기] 포르쉐 911 GT3 "나쁜 남자에게 끌리는 이유"

[시승기] 포르쉐 911 GT3 "나쁜 남자에게 끌리는 이유"

사이트 방문
포르쉐 911 22년식

GT3

2억 3,340만원
911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제네시스 엑스, 국내 첫 공개…서울·부산·제주 순회

브랜드의 디자인 방향성을 담은 콘셉트카 제네시스 엑스(GENESIS X)를 국내에서도 만나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디뮤지엄에서 제네시스 엑스 로드쇼를 열고, 오는 16일부터 24일까지 제네시스 엑스 실차 전시를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서울 전시 이후에는 제주 구좌읍에 위치한 공백(10/29~11/7), 부

|21.10.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39
21.10.14
자유주제

CNH인더스트리얼, 상용차 사업부 분사…내년 이베코그룹으로 독립

CNH인더스트리얼이 산하 상용차 사업부를 독립 법인으로 분사시킨다. CNH인더스트리얼은 피아트의 상용차 사업을 총괄하던 피아트인더스트리얼과 농업·건설기계 및 중장비를 생산하는 CNH글로벌의 합병을 통해 탄생했다. 이번 결정에 따라 과거 피아트인더스트리얼의 상용차 사업부가 다시 이베코그룹으로 독립을 하게 됐다. 2022년 1분기 출범이 예고된 이베코그룹은

|21.10.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2
21.10.14
자유주제

[인터뷰] MAN그룹 스테판 슈츠 "우리 품질을 다시 한번 증명하겠다"

만트럭버스코리아가 유로6 A·B·C 엔진에 대한 본격적인 리콜을 개시했다. 이번 리콜은 지난 9월부터 2년간 4408대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고객의 차량 운휴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올인원(all-in-one)' 방식으로 진행된다. 리콜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평택 PDI 센터로 향했다. 새로운 리콜 전용 센터는 기존 외부 특장 업체가 있던 곳에 위치해

|21.10.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80
21.10.14
자유주제

[전승용 칼럼] '국민차'의 몰락, 쏘나타는 어쩌다 K5에 밀렸나?

쏘나타가 2년 반 만에 15만대 가까이 팔렸데요. 이게 좋은 걸까요? 안 좋은 걸까요?  최근 한 기사를 쓴웃음이 나왔습니다. '역시 쏘나타, 변하니 반응했다…신형 출시 2년반 만에 15만대 눈앞'이라는 기사였는데요. 내용을 다 본건 아니지만, 쏘나타가 언제부터 저런 차가 됐나.. 생각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구나.. 란 생각이 들더라고요. 예전에 '21세

|21.10.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98
21.10.14
자유주제

[스파이샷] 차세대 혼다 시빅 타입 R "주유소에서 딱 걸렸다!"

차세대 혼다 시빅 타입 R이 지난 12일(현지시간) 독일 뉘르부르크링 서킷 외곽지역의 한 주유소에서 포착됐다. 이날 목격된 시험주행차량은 11세대 시빅 기반 고성능 모델이다. 한층 개선된 플랫폼을 바탕으로 주행 성능을 대폭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2.0리터 터보 엔진의 최고출력은 기존 타입 R(306마력)보다 더 강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촬영된 차

|21.10.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11
21.10.14
자유주제

포르쉐코리아, 첫 CUV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출시…1억3800만원부터

포르쉐코리아가 브랜드 최초의 CUV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를 14일 공식 출시했다. 신차는 순수 전기차 타이칸을 기반으로 오프로드 주행 성능을 겸비한 왜건형 모델이다. 47mm 더 늘어난 뒷좌석 헤드룸, 넓은 리어 테일게이트를 통해 1200리터에 달하는 화물 적재 공간도 갖췄다. 모든 크로스 투리스모는 사륜구동 및 어댑티브 에어 서스펜션이 기본 탑재

|21.10.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200
21.10.14
자유주제

[9월 수입차 TOP50] 반도체 가뭄 속 'GLC·X3' 럭셔리 SUV 약진

지난 9월 수입차 판매가 대부분 감소한 가운데, 럭셔리 SUV 라인업의 약진이 돋보였다. 5일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신차등록기준)가 따르면, 9월 수입차 신규등록대수는 전년대비 7.1% 감소한 2만2568대를 기록했다. 수입차 시장이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인 것은 지난해 7월 이후 무려 14개월 만이다. 차량용 반도체 부족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전 세

|21.10.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7
21.10.05
자유주제

혼다, "우리도 달·화성 간다!"…UAM·로봇·로켓 등 청사진 제시

혼다가 새로운 미래 브랜드 청사진을 제시했다. 모터사이클과 자동차를 넘어 항공 및 우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방침이다. 혼다는 온라인을 통해 중장기 경영 전략 발표회를 열고, 회사 사업 영역을 우주까지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에는 전기 수직이착륙 항공기(eVTOL), 저궤도 위성 발사체, 우주 개척을 위한 순환 재생 에너지 시스템 사업 등이 포함됐

|21.10.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2
21.10.05
자유주제

아틀란, 애플 카플레이 지원 업데이트…"큰 화면으로 편리하게"

전자지도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맵퍼스가 자사 내비게이션 앱 아틀란이 애플 카플레이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그간 아틀란은 애플 카플레이를 지원하지 않아 아이폰을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폰 거치대를 따로 구비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이번 업데이트로 애플 카플레이를 지원하게 되면서 목적지 검색, 최근 장소, 즐겨찾기, 경로 안내 등의 기능을 차량 내 인포

|21.10.0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86
21.10.06
자유주제

GM의 파격 선언 "2025년부터 100% 재생 에너지로 자동차 만든다"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오는 2025년부터 미국 사업장 내 모든 전력을 100% 재생 에너지로 공급한다. 이는 앞서 GM의 발표보다 5년 앞당겨진 계획으로, 지난 2016년에 설정한 초기 목표보다는 25년 빠르다. 앞서 GM 매리 바라 CEO는 기후 변화에 취약한 현재 및 미래의 직원들, 고객 및 지역 사회를 포용할 수 있는 완전한 전동화 미래를 실현

|21.10.0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4
21.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