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가장 유용한 옵션 '열선시트·사각지대 경보·주차 센서'…가장 불필요한 기능은?

Lv 1

21.10.21

view_cnt

812

미국 소비자들이 가장 유용하게 사용하는 기능은 '열선 시트'인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자동차 컨설팅업체 오토퍼시픽이 최근 신차를 구매한 소비자 및 예비구매자 14만여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오토퍼시픽은 최근 신차에 제공되는 기능 100여가지 중 가장 유용했거나 불필요한 기능을 물었다. 설문 결과, 열선 시트가 응답자 66%의 선택을 받으며 가장 유용한 옵션으로 뽑혔다. 이어 사각지대 경보 시스템(60%), 전·후방 주차센서(55%), 사륜구동 시스템(54%), 차선이탈경고(54%), 애플 카플레이 및 안드로이드 오토(53%), 앞좌석 전동시트(52%), LED 헤드램프(52%), 통풍시트(50%), 운전석 메모리 시트(49%) 등이 탑10에 이름을 올랐다. 미국 현지 외신들은 "사각지대 알림이나 주차 센서 등 운전자 보조 장치는 유용하면서도 사용하기 편리하기 때문에 많은 운전자들이 선호하는 사양"이라며, "애플 카플레이와 안드로이드 오토의 경우 대부분 차량에서 기본 사양인 점을 고려하면 6위라는 높은 순위가 흥미롭다"고 평가했다. 주목할 만한 부분은 하위 옵션이다. 소비자 선택을 받지 못한 옵션은 자동차 제조사들이 자랑하는 첨단 고급 옵션이 주를 이뤘다. 구체적으로 증강현실 HUD(14%),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3%), 차량 내 쇼핑·결제 시스템(12%), 생체 측정 시스템(9%), 제스처 컨트롤(9%) 등이다. 사고 상황 등에 통신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컨시어지 서비스와 운전대를 잡을 필요가 없는 완전 자율 기능도 7%에 불과했다. 외신들은 "일부 소비자들은 가상 사운드 시스템이나 제스처 컨트롤은 오히려 방해 요소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더군다나 일부 옵션의 경우 차량 가격을 크게 인상시키는 요인인 만큼, 제조사들은 설문 결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오토퍼시픽은 "일부 하위 항목의 경우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낮아 선택을 받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가장 유용한 옵션 '열선시트·사각지대 경보·주차 센서'…가장 불필요한 기능은?

가장 유용한 옵션 '열선시트·사각지대 경보·주차 센서'…가장 불필요한 기능은?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기아, '클레이 코트의 황제' 나달에게 EV6 전달

기아가 21일(현지시간) 스페인 마요르카에 위치한 라파 나달 아카데미에서 세계적인 테니스 스타이자 기아 글로벌 홍보대사 라파엘 나달에게 EV6를 전달했다. 지난 2004년부터 기아와 동행하고 있는 라파엘 나달은 세계 4대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총 20번의 우승 트로피를 거머쥔 글로벌 스타다. 기아는 EV6의 유럽 출시에 발맞춰 라파엘 나달에게 EV6 G

|21.10.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0
21.10.22
자유주제

[전승용 칼럼] 쏘나타·K5 위협하던 SM6·말리부, 풀체인지 밖에 답이 없나?

한 달에 5~6000대씩 팔리던 차가 지금은 2~300대로 줄었습니다. 미치고 환장할 노릇이겠죠. 어떤 차냐고요? 바로 SM6와 말리부 이야기입니다. 이들은 왜 이렇게 됐을까요? 다시 살아날 방법은 없을까요?  올해 현대기아차의 국산차 점유율은 대략 88%에 달합니다. 엄청난 숫자죠. 그런데 5년 전인 2016년에는 이보다 13%가량 낮은 75%였습니다.

|21.10.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47
21.10.22
자유주제

에디슨모터스 "쌍용차 회생에 산업은행 7000~8000억원 대출 필요"

쌍용차 인수를 목전에 둔 에디슨모터스 강영권 회장이 22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산업은행의 7000~8000억원 대출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이번 기자간담회에는 에디슨모터스를 비롯해 쎄미시스코, 키스톤PE, KCGI, TG투자 등 컨소시엄이 참여했으며, 쌍용차 인수·합병 현황과 향후 추진 계획 등을 밝혔다.  강영권 회장은 "산업은행에서 에디슨모

|21.10.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7
21.10.22
자유주제

[시승기] 911 GT3·718 GT4·카이엔 GT…포르쉐, 자신을 넘어서다!

포르쉐코리아의 기세가 무섭다. 올해 1~9월 집계된 판매량은 전년대비 14.2% 증가한 7211대로, 이미 지난해 연간 판매량(7779대)을 넘어 역대 최고 실적이 확실시 되고 있다. 회사는 이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신차 공세를 펼치고 나섰다. 올 하반기 포르쉐의 핵심은 하이 퍼포먼스 라인업 GT다. 주력 차종인 카이엔을 기반으로 한 카이엔 터보 GT를

|21.10.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20
21.10.22
자유주제

현대모비스, 게걸음부터 제자리 회전까지 'e-코너 모듈' 개발!

현대모비스가 90도 회전 주차는 물론, 제자리 회전까지 가능한 차세대 자동차 바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현대모비스는 자동차 조향·제동·현가·구동 시스템을 한 곳에 모은 'e-코너 모듈'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e-코너 모듈은 스티어링 휠부터 바퀴까지 기계 축으로 연결되던 기존 자동차 패러다임을 전환한 신기술이다. 앞서 모비스는 2018년 CES에

|21.10.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4
21.10.22
자유주제

코로나 끝나면 꼭 가야 할 자동차 여행지-미국편⑨[황욱익의 로드 트립]

카지노의 도시 리노를 떠나 다음 목적지로 설정한 곳은 남쪽으로 약 40km 떨어진 도시 버지니아 시티다.  원래 계획은 리노를 떠나 곧장 남부 캘리포니아의 어바인으로 돌아갈 예정이었다. 자동차 관련 시설이 많고, 자동차 마니아의 천국이라 불리는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다양한 일정이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함께 동행했던 류장헌 작가가 버지니아 시티와

|21.10.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4
21.10.22
자유주제

포르쉐코리아, '서킷의 제왕' 911 GT3 출시…2억2000만원부터

포르쉐코리아가 브랜드 대표 스포츠카 911의 서킷 특화 모델인 '911 GT3'를 공식 출시했다. 신형 911 GT3는 포르쉐 모터스포츠 사업부와 함께 개발한 고성능 스포츠카다. 더블 위시본 프론트 서스펜션, 스완 넥 리어 윙, 911 RSR에서 영감을 받은 디퓨저 등 다양한 고성능 기술을 폭넓게 적용해 레이스 트랙과 일상을 아우른다.  신차의 파워트레

|21.10.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71
21.10.14
자유주제

[포토] 포르쉐 911 GT3, "압도적인 존재감의 스완넥 리어윙"

포르쉐코리아가 14일 신형 911 GT3를 출시했다. 포르쉐 모터스포츠 부서와 함께 개발한 신형 911 GT3에는 더블 위시본 프론트 서스펜션과 스완 넥 리어 윙, GT 레이스카 911 RSR에서 영감을 받은 디퓨저 등 레이싱 기술이 폭넓게 적용됐다. 신차의 파워트레인은 최대 9000rpm까지 회전하는 4.0리터 6기통 자연흡기 박서 엔진을 기반으로 한다

|21.10.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25
21.10.14
자유주제

[포토] 포르쉐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전기왜건 끝판왕!"

포르쉐코리아가 브랜드 최초 CUV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를 14일 공식 출시했다. 신차는 오프로드 주행 성능을 겸비한 타이칸의 왜건형 모델로, 뒷좌석 헤드룸은 47mm 늘어났고, 적재 공간은 1200리터에 달한다. 국내 시장에 출시되는 모델은 엔트리 트림인 타이칸 4 크로스 투리스모를 비롯해 4S, 터보 등 3종이다. 세 차량 모두 93.4kWh 퍼포

|21.10.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4
21.10.14
자유주제

현대차 북미 사장 "차량용 반도체 자체 개발 필요하다"

현대차 내부에서 차량용 반도체 개발 필요성이 제기됐다. 1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현대차 호세 무뇨스 글로벌최고운영책임자(COO) 겸 북미권역본부장은 이날 외신 기자들과 만나 독자적인 반도체 개발과 반도체 제조사들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지난 8∼9월은 가장 힘든 달이었지만 반도체 부족에 따른 최악의 상황은 지났

|21.10.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9
2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