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국토부, 전동킥보드 사고 피해보상안 마련…연말 본격 시행

Lv 1

21.11.04

view_cnt

791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수단(PM)을 타다가 사고가 났을 경우, 보행자도 보상받을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 PM 운전자의 면허증 소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능력도 한층 강화된다.  국토교통부는 경찰청 등 관계기관 및 PM 민·관 협의체 내 참여업체들과 협의를 갖고, 전동 킥보드 공유 업체들의 보험 표준안 및 운전 자격 검증 시스템을 마련했다고 4일 밝혔다. 그간 PM 공유업체는 각기 다른 보험 상품을 가입·운영해왔다. 이로 인해 업체별 보험상품의 보상 금액과 범위가 달라 사고 발생 시 이용업체에 따라 적정 수준의 보상이 어려웠다. 특히, 이용자 과실로 인한 사고의 경우 보행자 등 제3자에 대한 배상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번에 마련된 보험표준안은 공유 PM으로 인한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입은 보행자 등 제3자에 대한 배상책임을 기본으로 한다. 고장 등 기기 과실로 인한 사고뿐만 아니라 이용자 부주의 등 이용자 과실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배상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대인 4000만원 이하, 대물 1000만원 이하 피해 금액에 대해서는 보상을 받을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의무보험 도입 이전에 선제적으로 이용자 과실로 인한 사고까지 보상범위에 포함한 것"이라며 "공유 PM 사고 피해자의 입장에서 사고 원인과 관계없이 우선적으로 보상받을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PM 민·관 협의체 내에 포함된 업체 중 13개 업체가 보험표준안에 우선 참여한다. 다른 업체들도 업체별 보험갱신 시기에 맞춰 내년 중 상품 가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일부 업체는 이미 보험표준안을 충족하는 보험 상품에 가입 중이다. 국토부는 운전면허 자동 검증 시스템도 도입하기로 했다. 공유 PM 이용자의 운전면허 확인 절차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정부는 각 업체들에 도로교통공단 API를 제공하고, 업체들은 시스템과 연동 과정을 거쳐 내년 1분기 중 면허 정보 조회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국토부 안석환 종합교통정책관은 "보험표준안 및 이용자 면허 확인 방안이 마련됨에 따라 앞으로 공유 PM 이용자와 보행자가 한층 더 안전한 환경에서 PM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법률의 조속한 제정을 위해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국토부, 전동킥보드 사고 피해보상안 마련…연말 본격 시행

국토부, 전동킥보드 사고 피해보상안 마련…연말 본격 시행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현대차그룹, 소방청 훈련용 차량 지원…친환경차 사고 선제 대응

현대차그룹은 4일 소방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소방대원 교육 및 훈련 역량 향상을 위한 차량 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자동차 화재 진압 대응과 인명구조 역량 강화가 주 목적이다. 그룹은 이를 위해 현대차·기아 연구소가 보유한 시험 차량을 소방청에 지원해 교육 및 훈련에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향후 3년간 전국 소방학교,

|21.11.0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0
21.11.04
자유주제

미니, 엔진과 이별 준비…마지막 내연기관 신차 개발

미니가 차세대 3도어 해치백 모델의 프로토타입 이미지를 3일(영국 현지시간) 공개했다. 4세대로 거듭날 2023년형 해치백은 내연기관 엔진을 탑재한 마지막 모델이 될 전망이다. 회사는 "이르면 2027년, 브랜드 신차 판매 50% 이상이 순수전기차로 구성될 것"이라고 말하며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내연기관 판매 중단을 예고했다. 위장막으로 모든 부분을

|21.11.0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7
21.11.04
자유주제

[MG수첩] 디젤차 잡는 요소수 대란, "SCR 못 꺼요!"

요소수 품귀 현상으로 디젤차 운전자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당장 화물차 운행에 지장이 생기고, 조만간 물류 대란이 시작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주유소 등 일부 소매 시장에서는 사재기 현상이 벌어지며 요소수 가격이 치솟고 있다.  문제는 마땅한 해결책이 없다는 것이다. 때문에 요소수 생산 업계에선 '12월 위기설'이 나온다. 한시적으로 SCR(요소수

|21.11.0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5
21.11.04
자유주제

[스파이샷] 3세대 미니 컨트리맨, 전기차도 나온다!

위장막을 쓴 3세대 미니 컨트리맨 시험주행차량이 지난 3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의 한 도로에서 포착됐다. 이날 목격된 프로토타입은 BMW X1, 액티브투어러 등과 아키텍쳐를 공유하는 모델이다. 전륜구동 기반 FAAR 플랫폼을 적용해 한층 커진 차체를 적용하고, 엔진 라인업도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 알려졌다.  파워트레인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21.11.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91
21.11.05
자유주제

요소수 대란, 진짜 위기는 이제 시작 "급하다고 불량품 쓰면 차 망가져"

중국발 요소수 대란으로 디젤차 운전자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차량 운행에 필수인 요소수의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데, 그것조차 물량이 없어 웃돈을 줘도 구할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매달 수십~수백리터의 요소수가 필요한 대형 상용차 운전자들은 생계를 위협받고 있다며 정부의 조속한 해결을 요구하고 나섰다. 구체적으로 어느정도의 차질이 생겼는지 밝

|21.11.0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9
21.11.04
자유주제

요소수 사태, 청와대까지 나섰다…"대응 TF 즉각 가동"

청와대가 5일 요소수 수급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청와대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지시에 따라 청와대 비서관실이 공동 참여하는 TF 즉각 운영에 돌입한다"며 "경제와 외교가 종합된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국내 산업계와 물류업계 등과도 협력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21.11.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3
21.11.05
자유주제

요소수 매점매석, 적발되면 '3년 이하 징역, 1억원 이하 벌금'

요소수 대란이 더욱 확산되는 가운데, 정부가 요소수 및 원료에 대한 매점매석 단속에 나섰다.  정부는 8일 "요소 수급 급변으로 요소수 및 그 원료인 요소 등에 대한 폭리 목적의 매점 및 판매 기피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매점매석 행위 금지 등에 관한 고시"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오늘 0시부터 시행된 고시에 따라 요소 및 요소수를 지난해 월평균 판매량보다

|21.11.0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6
21.11.08
자유주제

[이완 칼럼] 벤츠 실내 디자인, BMW·아우디 제치고 압도적 1위 '왜?'

자동차는 사람마다 구매 기준이 다릅니다. 어떤 이는 성능에 초점을 둘 것이고, 어떤 사람은 첨단 장치, 또 어떤 사람은 안전성이나 경제성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물론 디자인도 중요합니다. 사실 마음에 드는 자동차 스타일은 구매력, 그러니까 자동차 구입 비용을 늘려서라도 차를 사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때 젊은 고객으로부터 외면받았던 벤츠는 이

|21.11.0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16
21.11.08
자유주제

[주간F1] 레드불, 메르세데스 제치고 더블 챔피언십 도전? 페르스타펜 '무결점' 우승

레드불 레이싱 팀이 메르세데스와의 격차를 줄이며 더블 챔피언십에 도전한다. 7일(현지시간) 열린 2021시즌 포뮬러 원(F1) 월드챔피언십 18라운드 멕시코시티 그랑프리(GP)에서 레드불 레이싱 소속 맥스 페르스타펜이 가장 먼저 체커기를 받으며 시즌 9승을 챙겼다. 팀 메이트인 세르히오 페레스도 3위로 마무리하며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40점을 획득, 누적

|21.11.0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5
21.11.08
자유주제

정부, 군용 요소수 '20만 리터' 민간 활용 검토…호주 수입의 10배

정부가 요소수 대란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내놨다.  정부는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를 개최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한 이번 회의에는 외교부·산업부 장관과 국무조정실장, 특허청장,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환경부 차관, 국정원장, 국가안보실 2차장, 경제수석, 경제보좌관 등 관련 부처 관계자들이 총출동했

|21.11.0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1
21.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