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국제유가 두 배 오를 수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우려로 전쟁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국제유가가 150 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은 21일(현지시간) 이 같은 가능성을 담은 리포트를 내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의 지정학적 긴장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회복세를 보이던 세계 경제에 단기적인 취약성을 더한다"라고 평가했다. 로이터,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들도 관련 소식을 비중있게 다뤘다. JP모건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군사적 충돌을 겪을 경우, 국제유가가 현재 수준(배럴당 75 달러, 브렌트유 기준)에서 150 달러까지 빠르게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처럼 두 배 이상의 급등세를 기록하는 건 전 세계 석유 공급량이 약 2% 가량 줄어들 때와 비슷한 규모다. JP모건은 "이 영향으로 글로벌 GDP가 1.6% 감소하고,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세계 경제 성장률이 현재 4.1%에서 0.9%로 3/4 이상 감소시키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 자유주제
올해부터 전기차 안전 강화…"검사 때 고전압 배터리도 점검"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차가 115만대를 넘어선 가운데, 이들 차량의 자동차 검사 기준이 강화된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올해 자동차 검사에서 전기차의 배터리 안전성을 상세 점검하기로 했다고 24일 밝
0
0
854
- 자유주제
르노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S링크보다 7배 빠르다"
르노가 21일(현지시간)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내장한 오픈R 디스플레이를 공개했다. 이는 향후 르노의 주요 신차들에 적용될 차세대 스크린이다. 컨티넨탈과 LG의 협업을 통해 제작된 모델로
0
0
1,632
- 자유주제
본격 행보 나선 소니, 전기차 파트너 찾아 동분서주
지난 CES를 통해 전기차 시장 진출을 선언한 소니가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했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소니는 올 봄 소니모빌리티 설립을 앞두고 전기차 프로젝트
0
0
966
- 자유주제
LG전자가 빚어낸 자율주행차는? "다음달 10일 실물 공개"
LG전자가 미래 자율주행차 콘셉트카 'LG 옴니팟'의 실물을 공개한다. LG전자는 다음달 10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카카오모빌리티가 주최하는 테크 컨퍼런스에서 'LG 옴니팟(OMNIPOD)' 실물을
0
0
984
- 자유주제
[스파이샷] 차세대 메르세데스-AMG GT, "풀 체인지 맞아?"
지난 21일(현지시간) 스칸디나비아반도 북극권에서 차세대 메르세데스-AMG GT가 포착됐다. 이날 촬영된 모델은 지난 2014년 공개된 1세대 AMG GT의 풀 체인지 모델이다. 무려 9년만에 2
0
0
1,013
- 자유주제
기아 니로, 단 4일 만에 연 판매 목표 70% 달성
기아가 니로의 공식 출시일(25일)을 앞두고 이미 연간 판매목표치에 근접한 실적을 나타낸 것으로 파악됐다. 기아에 따르면, 사전계약 첫날인 18일부터 21일까지 사전계약 누적 대수는 총 1만760
0
0
773
- 자유주제
서울시, 택시 카드 수수료 지원…"단거리 기피 해소·비용 절감"
택시요금 카드 수수료 지원 혜택이 연장된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택시업계를 지원하기 위해서다. 서울시는 이 같은 계획을 담은 택시 요금 카드 결제 수수료 지원 기간을 내년 말까지 연장한다고
0
0
760
- 자유주제
시흥 광역버스 환승 정류장 스마트하게 탈바꿈…편의·안전성 높였다
시흥영업소 광역버스 환승 정류장이 새롭게 태어났다. 이에 따라 시민들의 교통 편의와 안전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는 시흥영업소 광역버스 환승 정류장이 25일부터 새
0
0
962
- 자유주제
람보르기니, 순수 내연기관과 작별…"다음은 하이브리드"
람보르기니가 순수 내연기관 자동차와 작별한다. 향후 전 라인업은 전동화될 전망이다. 람보르기니는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모기업(폭스바겐 그룹)의 전동화 전략에 따라 브랜드 전 라인
0
0
1,001
- 자유주제
전기차·수소차 못 팔면 1대당 60만원 벌금…2029년에는 300만원
올해부터 전기차와 수소차 등의 무공해차 판매가 의무화된다. 전체 판매량에서 무공해차가 일정 비율을 넘어야 하는 방식으로, 달성하지 못할 경우 대당 60만원의 기여금을 내야 한다. 기여금은 점차 증가
0
0
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