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쉐보레 스파크, 올해 단종 수순…"내년 CUV 생산 체계 전환"

Lv 1

22.02.03

view_cnt

1,249

쉐보레 스파크가 단종 수순을 밟는다. 당장 오는 하반기부터 북미 판매부터 중단될 전망이다.  2일(현지시간) 카앤드라이버 등 주요 미국 자동차 전문지들은 제너럴모터스(GM) 측 대변인의 코멘트를 인용해 이 같이 전하고, 북미에서 판매되고 있는 스파크와 스파크 액티브가 올 하반기 북미 시장에서 순차적으로 판매가 중단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들에 따르면, 스파크와 스파크 액티브는 오는 8월까지만 생산될 예정이다. 두 차량은 한국GM 창원공장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북미 시장에서 공급되는 물량 또한 한국GM이 전량 수출하고 있다.  스파크의 단종 사유는 판매 부진과 이에 따른 수익성 악화 때문이다. 2012년 북미 시장에 첫 진출한 이래 매년 10만대 이상 수출됐지만, 2020년 들어 수출 물량은 5만대 까지 떨어지며 반토막이 났다. 더욱이 현지 판매량도 3만대를 밑돌며 저조한 실적을 기록 중이다. 최근 경영 효율화에 집중하고 있는 GM의 행보에 비춰볼 때, 마진이 적은 경차 생산을 유지할 명분도 떨어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더욱이 GM의 이 같은 행보는 경차에만 국한되지도 않는다. 2019년부터 아베오, 크루즈, 말리부, 임팔라 등 세단 라인업들을 후속 생산 없이 단종시키겠다고 밝혔고, 중국을 제외한 동남아, 남미 현지 전략형 모델도 순차적으로 단종시키고 있다.  외신들은 이와 관련해 "쉐보레가 세단과 해치백 라인업을 줄여나가고 있는 건 더 이상 놀라운 일은 아니다"라면서도 "미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한 자동차라는 선택지 하나가 사라지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한국GM도 조만간 국내 시장에서 스파크 생산을 종료할 전망이다. 재고 등을 감안하면 내년까지 판매를 이어갈 수 있겠지만, 스파크는 내년부터 더이상 생산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 창원공장은 2023년부터 차세대 크로스오버 생산이 예정되어있다.  국내 완성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국GM이 경차 시장에서 빠지는 게 사실상 유력해진 만큼 내년부터 이 시장은 현대차와 기아의 독점 구도로 흘러갈 것"이라며 "수익성 측면에서는 차세대 크로스오버가 더 유리하겠지만 스파크라는 대표 차종이 사라진 점을 어떻게 불식해낼지가 관건"이라고 평가했다. 
쉐보레 스파크, 올해 단종 수순…"내년 CUV 생산 체계 전환"

쉐보레 스파크, 올해 단종 수순…"내년 CUV 생산 체계 전환"

사이트 방문

댓글

1

북곽선생

Lv 97
22.05.28

잘보고 갑니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디지털 전환' 한국타이어, 구글 출신 김성진 전무 영입

한국타이어가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인재 확보에 나섰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한국타이어)의 지주사인 한국앤컴퍼니는 최고디지털책임자로 김성진 전무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삼성그룹, SAP, GE 등을 거친 김 전무는 현대엘리베이터 디지털혁신본부장, 구글 클라우드 아시아태평양 제조산업 담당 디렉터를 역임하는 등 25년의 경력을 갖춘 디지털·IT 전문가다. 특

|22.02.0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731
22.02.03
자유주제

작년 팔린 신차 절반은 RV…차박·캠핑 인기에 수요↑

지난해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SUV를 포함한 레저용 차량(RV) 판매 비중이 처음으로 50%를 넘었다. 3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팔린 자동차 총 149만4070대 가운데 RV는 80만8639대(SUV까지 포함)로 집계됐다. 판매 비중은 54.1%였다. RV는 SUV와 밴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2016년 RV 판매 비중은 38.5

|22.02.0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734
22.02.03
자유주제

2월 국산차 판매조건 총정리…"빠른 출고 르노삼성, 무상 옵션 쌍용차"

2월이 밝았지만, 여전히 이어지는 반도체 공급 불안으로 인해 국내 완성차 업계는 몸을 사리고 있다. 체감되는 할인 대신 르노삼성은 빠른 출고를, 쌍용차는 옵션 무상 장착 서비스를 내세웠다. 한국GM은 일부 비인기 차종에 대해 제한적인 할인을, 기아는 재고 할인을 내걸었다. 그러나 출고 적체 현상이 심한 현대차는 몇 달째 재고 할인조차 없는 모양새다. #

|22.02.0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788
22.02.03
자유주제

테슬라, 또 직장 내 소수자 차별 논란…도마 위 오른 도덕성

테슬라가 또 다시 직장 내 차별 논란에 휩싸였다. 고령 근로자 및 인종 차별문제를 넘어 이번에는 성소수자 혐오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케일런 바커 라는 이름의 여성은 최근 테슬라를 상대로 캘리포니아 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그는 2021년 2월 테슬라 계약직으로 고용됐으나, 그해 10월 감독자에

|22.02.0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86
22.02.03
자유주제

다임러트럭코리아, 서비스 총괄 장성윤 상무 선임…"20년 경력 전문가"

다임러트럭코리아가 신임 고객 서비스 부문 총괄에 장성윤 상무를 선임했다. 장성윤 상무는 지난 20여년간 수입 상용 및 승용차 분야에서 상품 기획, 인증, 서비스 기획, 고객 서비스 등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쌓아온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장 상무는 2007년부터 2008년까지는 다임러크라이슬러의 상용 및 승용 신모델 상품 기획 및 인증 업무를 담당했다.

|22.02.0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90
22.02.03
자유주제

지난해 경유차 12만대 줄었다…"사상 첫 감소세"

친환경차 점유율이 크게 늘어나는 사이 경유차가 사상 처음 감소세를 나타냈다. 2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1년 자동차 등록대수'에 따르면, 작년 말 까지 집계된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는 2491만여대로 나타났다. 2020년(2436만6000여대) 대비 2.2% 증가한 수치이며, 단순 계산상 우리나라 인구 2.07명당 1대씩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

|22.02.0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14
22.02.03
자유주제

[스파이샷] 롤스로이스 스펙터, "위장막으로도 가려지지 않는 품격"

롤스로이스 스펙터가 지난달 유럽의 한 공공도로에서 주행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날 포착된 차량은 롤스로이스가 내년 4분기 출시를 예고한 순수 전기차다. 롤스로이스의 100% 알루미늄 플랫폼 럭셔리 아키텍쳐를 바탕으로 2도어 쿠페 형태를 갖출 전망이며, 다양한 신기술이 망라될 것으로 알려졌다.  외형은 전형적인 2도어 롤스로이스의 형태

|22.02.0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1,130
22.02.03
자유주제

"96년만에 다임러 뗀다"…벤츠그룹으로 사명 변경

다임러AG가 메르세데스-벤츠그룹AG로 새롭게 출발한다. 1일(현지시간) 독일 현지 보도에 따르면 다임러AG는 이날 그룹명을 '메르세데스-벤츠그룹 AG'로 변경했다. 지난 1926년 다임러와 벤츠가 합병해 다임러-벤츠AG가 발족한 이후 그룹 명칭에서 다임러가 없어진 것은 96년 만이다. 그룹 구조도 재편된다. 벤츠 승용차 부문과 AMG, EQ, 마이바흐,

|22.02.0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1,088
22.02.03
자유주제

"아이오닉6 생산 준비 끝!" 현대차 아산공장 재가동

현대차가 올해 하반기 순수전기차 아이오닉6 출시를 위해 아산공장을 새단장했다. 현대차는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전기차 생산을 위한 설비 공사가 완료되어 아산공장 가동을 재개한다"라고 밝혔다. 생산 중단이 결정된지 한달만이다. 쏘나타와 그랜저 등 주력 세단을 생산하는 아산공장은 연간 3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번 공

|22.02.0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935
22.02.03
자유주제

중고차 플랫폼, 점유율은 '엔카' 만족도는 'K카'…'헤이딜러'는 다크호스

중고차 플랫폼 이용 조사 결과, 인지도 및 점유율에서 '엔카닷컴'이, 만족도에서 'K카'가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처분 플랫폼에서는 '헤이딜러'가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컨슈머인사이트는 26일, 중고차를 구입 또는 처분한 소비자(구입 1008명, 처분 1275명)를 대상으로 진행한 이용 경험 설문 결과를 발표했다. 소비자 인지도가 가장 높은 곳은 엔카닷컴

|22.01.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0
22.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