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닛산, 내연기관 개발 중단…쓰던 돈도 전기차 연구에 '영끌'

Lv 1

22.02.09

view_cnt

697

닛산이 신규 내연기관 연구개발 중단을 선언했다. 동맹 기업인 르노, 미쓰비시와 함께 전기차 분야 연구개발에 사활을 걸 방침이다. 8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주요 현지 언론들에 따르면, 닛산은 향후 주요 시장에서 판매되는 신차들을 위한 엔진 개발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기존 가솔린, 디젤 엔진 개발에 투입되던 비용과 인력은 모두 전기차 사업 분야로 이관시칠 계획이다.  흥미로운건 기존 내연기관 상품성 개선 등에 쓰던 고정비까지 모두 전기차 연구개발에 쏟아붓는다는 점이다. 현지 언론들은 닛산이 연간 5000억엔(한화 약 5조원)가량 고정 지출해왔던 연구비도 모두 전기차 개발비로 전환했다고 적었다. 이를 통해 2028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는 전고체 배터리 양산 시점도 더 앞당겨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는 최근 관련 예산을 3배 이상 증액하고, 본격적인 전기차 공동개발을 선언한 바 있다. 향후 5년간 전기차 부문에 200억유로(한화 27조원)를 추가 투입하고, 총 300억유로를 쓰겠다는 복안이다.  이들은 5개의 공동 플랫폼을 활용해 2030년까지 30종 이상의 전기차를 내놓을 계획이다. 현재 4개의 플랫폼이 이미 양산되고 있거나 개발 막바지 단계에 다다른 것으로 전해졌다. 첫번째 결과물은 르노 메간 E-테크와 닛산 아리야 등 2종으로, CMF EV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배터리 연구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2025년에는 미국과 유럽에 배터리 재활용 시설을 건설하고, 2028년부터 코발트가 함유되어있지 않은 배터리를 양산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이어 2030년까지 130GWh 규모 자체 배터리 생산 능력을 갖추겠다는 입장이다. 일본 자동차 업체들의 전동화 선언은 점차 가속화되는 추세다. 혼다가 일본 자동차 업계 최초로 2040년 완전 전동화를 선언했고, 토요타는 렉서스를 2030년 완전 전동화 브랜드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여기에 닛산까지 가세하며 일본도 전기차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드는 모양새다. 
닛산, 내연기관 개발 중단…쓰던 돈도 전기차 연구에 '영끌'

닛산, 내연기관 개발 중단…쓰던 돈도 전기차 연구에 '영끌'

사이트 방문

댓글

1

북곽선생

Lv 97
22.05.27

잘보고 갑니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토요타, 작년 순이익 24조원…2017년 이후 사상 최고 기록

토요타가 엔화 약세에 힘입어 2021년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4~12월 회계연도 기준). 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토요타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7.8% 증가한 2조3162억엔(약 24조원)으로 집계됐다(연결결산 기준). 이는 2조131억엔(20조8500억원)을 기록했던 종전 최고 기록(2017년)을 넘어선

|22.02.09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97
22.02.09
자유주제

반도체에 홍역 치르는 포드…F-150·브롱코 생산도 '조정'

포드가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인한 생산 차질에 홍역을 치르고 있는 모양새다. 7일(현지시간) 미국 CNN 등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포드는 이날부터 익스플로러와 링컨 에비에이터를 생산하고 있는 미국 시카고 공장과 F-150을 생산하고 있는 캔자스시티 공장 가동을 중단했으며, 브롱코를 생산하고 있는 미국 디어본 공장 교대근무를 축소하는 방식으로 가동률을 낮

|22.02.09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916
22.02.09
자유주제

바이든, 취임 1년만에 테슬라 첫 언급…갈등 풀었나?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이 공식 석상에서 테슬라를 언급했다. 취임 1년만이다.  그는 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진행한 연설을 통해 미국 내 제조업 기업들이 올해부터 2000억 달러(한화 240조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밝혔다며 그 대상이 제너럴모터스(GM), 포드와 함께 테슬라 라고 언급했다. 그는 특히 테슬라에 대해 "우리나라(미국) 최대의 전기차 제조

|22.02.09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96
22.02.09
자유주제

[스파이샷] 차세대 레인지로버 스포츠, BMW 트윈터보 엔진 품는다

지난 7일(현지시간) 영국 모처에서 차세대 레인지로버 스포츠 시험주행 차량이 적재되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날 촬영된 차량은 5세대 레인지로버를 바탕으로 한 풀 체인지 모델이다. 차세대 아키텍쳐 MLA-플렉스 플랫폼을 적용해 차체 무게는 덜어내고, 강성은 더욱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차세대 파워트레인과 첨단 신기술을 집약하고, 새로운 디자인 언

|22.02.09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741
22.02.09
자유주제

DS, 815마력의 전기차 'E-텐스 퍼포먼스' 공개…프랑스 기술의 정점

DS가 최첨단 전동화 기술력을 집약한 전기차 'E-텐스 퍼포먼스' 콘셉트카를 공개했다. DS는 2014년 브랜드 출범 이래 전동화를 핵심 전략으로 삼아왔다. 이번 콘셉트카를 통해 향후 양산할 전동화 모델의 디자인과 섀시, 배터리 기술의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DS E-텐스 퍼포먼스의 외관은 'DS 디자인 스튜디오 파리'에서 완성했다. 800개 L

|22.02.10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1,124
22.02.10
자유주제

테슬라 자율주행, 완전히 안 멈춰서 위험해…미국서 5만4000대 리콜

테슬라가 미국 내 풀 셀프 드라이빙(FSD) 베타 버전을 탑재한 차량 5만3822대를 리콜한다고 AP통신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FSD 소프트웨어가 정지 신호에서 완전히 멈추지 않고, 속도만 살짝 줄인 뒤 그대로 주행하는 '롤링 스톱'을 허용했기 때문이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일단 정지해야 하는 교차로에서 테슬라 차량이 멈추지

|22.02.0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664
22.02.03
자유주제

코로나19도 못막은 빨간 말…페라리, 사상 최대 실적 달성

페라리가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 전 세계 완성차 업체가 코로나19 펜데믹과 반도체 수급난 등으로 몸살을 겪는 가운데, 페라리는 코로나19 발생 이전보다 높은 매출을 냈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페라리는 이날 지난해 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해 순수익이 8억3300만 유로(약 1조1300억원)로 2020년 대비 36.8% 증가했

|22.02.0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22
22.02.03
자유주제

폭스바겐, 티구안 올스페이스 가솔린 인증…"올 여름 출격"

디젤이 주력인 폭스바겐의 국내 판매 라인업에도 일부 변화가 일어날 전망이다.  3일 환경부에 따르면,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는 지난달 25일 티구안 올스페이스 가솔린의 배출 및 소음 인증 절차를 완료 받았다. 2세대 티구안 기반의 가솔린 모델이 국내에 소개되는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 판매 차량은 2.0리터 TSI 엔진을 기반으로 한다. 터보차저가 적용된

|22.02.0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08
22.02.03
자유주제

제네시스 G80, 아반떼·쏘나타·그랜저보다 많이 팔렸다

지난달 제네시스 G80이 전통적 베스트셀러인 아반떼, 쏘나타, 그랜저보다도 많이 팔린 것으로 집계됐다. 3일 현대차가 발표한 1월 판매실적 데이터에 따르면, 현대차는 전년대비 25.8% 감소한 3만5625대, 제네시스 브랜드는 8.0% 줄어든 1만580대를 각각 기록했다.  G80은 지난달 5501대 판매돼 현대차·제네시스를 통틀어 가장 많이 팔린 차

|22.02.03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999
22.02.03
자유주제

재규어, 독자 플랫폼으로 최고급 EV 만든다…"2030년 완전 전동화"

재규어가 독자 개발한 전용 플랫폼 기반 전기차 출시 계획을 언급했다. 기존 경쟁자를 넘어 최고급 브랜드와 경쟁하겠다는 의지다. 재규어는 2일(현지시간) 온라인을 통해 진행된 인베스터데이를 통해 이 같이 밝히고, 향후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하겠다고 밝혔다. 자체 플랫폼을 적용하기로 한 것에 대한 구체적인 사유는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22.02.03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788
22.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