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안전벨트 경고 안 울리는 테슬라 등 수입차 3만8246대 리콜

Lv 1

22.02.18

view_cnt

1,207

국토교통부가 17일 테슬라, 아우디, 할리데이비슨 등 수입차 3만8246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되어 리콜한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인해 모델3와 모델Y 등 총 3만3337대를 리콜한다. 우선, 모델3(2019년 7월~2022년 1월 생산) 2만4222대와 모델Y(2020년 12월~2021년 10월) 8905대 등 총 3만3127대는 미디어 제어장치 소프트웨어 결함이 드러났다. 해당 차량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연구원의 조사 결과, 소프트웨어 오류로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운행해도 안전벨트 경고음이 울리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 모델3(2021년 1월~2022년 1월) 119대와 모델Y(2020년 12월~2021년 10월) 91대 등 210대에서는 성에 제거 제어장치 소프트웨어의 문제가 적발됐다. 해당 차량은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앞유리 성에가 정상적으로 제거되지 않았다. 국토부는 이번 결함이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기 때문에 우선 리콜을 진행하고 추후 시정률을 감안해 과징금을 부과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는 수입·판매한 아우디 A3(2014년 7월~2020년 5월) 4310대와 A3 스포트백 e-트론(2015년 7월~9월) 35대, S3(2014년 9월~2016년 3월) 147대 등 총 4492대에서 조수석 승객 감지 장치 결함이 발견됐다. 해당 차량은 조수석 승객 감지 장치 배선 연결부에 접촉 불량이 발생해 사고가 발생해도 조수석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는 결함이 확인됐다.  범한자동차에서 수입·판매한 황해자동차 E-스카이 버스(2020년 6월~2021년 10월) 등 4개 차종 69대는 차량 전·후면에 자동차 안전기준에서 정하고 있지 않은 등화장치를 설치해 이를 제거하하는 리콜을 한다. 국토부는 추후 시정률을 감안해 과징금을 부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기흥모터스에서 수입·판매한 할리데이비슨 팬아메리카 등 이륜차 348대(2021년 3월~2021년 8월)는 계기판 결함으로 인해 리콜한다.  해당 차량은 계기판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해 영하의 온도에서 시동을 걸 경우 계기판 화면이 보이지 않는다. 이는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국토부 관계자는 추후 과징금을 부과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안전벨트 경고 안 울리는 테슬라 등 수입차 3만8246대 리콜

안전벨트 경고 안 울리는 테슬라 등 수입차 3만8246대 리콜

사이트 방문
아우디 A3 20년식
3,967 ~ 3,967만원
테슬라 모델 Y 22년식
5,999 ~ 9,473만원
모델 Y
테슬라 모델 3 22년식
6,434 ~ 8,818만원
모델 3
아우디 S3 15년식

S3

6,350만원
S3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전기 SUV부터 전기 트럭까지" 군산형 일자리 닻 올렸다

캐스퍼 흥행을 이뤄낸 광주형 일자리를 뛰어넘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가 탄생할까. 군산시가 17일 '군산형 일자리' 총괄 브리핑을 진행했다. 이날 발표에서는 참여기업 명신의 해외위탁생산 계약현황과 향후 진행 계획이 언급되는 등 사업 추진사항 전반이 공유됐다.  군산시 관계자는 "새로운 도약을 넘어 확실한 변화를 보여줄 것"이라며 "2022년에는 상생형 지역

|22.02.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4
22.02.18
자유주제

인텔, 차량용 반도체 파운드리 진출…"삼성전자·TSMC 잡는다"

인텔이 차량용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사업에 진출한다. 회사는 17일(미국 현지시간) '인텔 인베스터데이 2022'를 통해 차량용 반도체 파운드리 전담조직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고성능 개방형 자동 컴퓨팅 플랫폼과 최첨단 공정을 개발하고, 자신들이 보유한 반도체 지적재산권 등을 활용할 방침이다. 인텔에 따르면, 그간 완성차 생산 비용에서 프

|22.02.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2
22.02.18
자유주제

르노, '수소 엔진' 탑재한 콘셉트카 티저 공개…"이름도 비밀"

르노가 '수소 엔진'을 탑재한 콘셉트카 티저를 깜짝 공개했다. 18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게시한 한 장의 콘셉트카 이미지는 이름 조차도 공개되지 않았다. 신차는 촉매를 활용하는 수소 연료전지 대신 수소를 직접 연소하는 '수소 엔진' 탑재를 예고했다. 이에 대해 르노는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르노그룹의 약속을 해석한 것"이라며 "지속 가능하고 안전하며

|22.02.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1
22.02.18
자유주제

코로나 끝나면 꼭 가야 할 자동차 여행지-미국편⑰ [황욱익의 로드 트립]

땅덩어리가 크지만 미국의 자동차 문화가 가장 발달한 곳은 해안가 중심의 서부 지역과 디트로이트 인근이 대표적이다. 이 역시도 차이가 큰 편인데 동부 지역 자동차 문화는 대중적이고 미국차 중심이 색채가 짙고, 서부 지역은 비교적 다양한 문화가 뒤섞여 있다. 중부와 남부, 북부도 나름의 자동차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그 규모가 생각보다 크지 않고 박물관이나 서킷

|22.02.14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913
22.02.14
자유주제

"제발 이것 좀 바꿔!" 유권자가 뽑은 대선 자동차 공약 1위는?

제 20대 대통령 선거가 한달도 남지 않았다. 각 후보들이 공약을 쏟아내며 자신을 알려나가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 분야에서도 이목을 모으는 정책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친환경차 분야부터 교통안전 문제까지 그 분야도 다양하다.  모터그래프 독자들은 어떤 정책에 많은 지지를 보냈을까. 주요 대선 후보들의 공약을 두고 1월 28일부터

|22.02.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6
22.02.17
자유주제

[이완 칼럼] 독일인이 분노한 교통사고 '심신미약 운전자 어쩌나?'

2019년 9월, 독일 수도 베를린의 한 횡단보도 앞. 보행자 신호를 기다리고 있던 사람들 쪽으로 검은색 SUV 한 대가 시속 100km로 질주했습니다. 의식을 잃은 40대 남성이 운전하던 이 자동차는 결국 그대로 사람들을 덮쳤고 20대 남성 두 명과 60대 여성, 그리고 세 살 짜리 아이가 그 자리에서 목숨을 잃고 말았습니다.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지워

|22.02.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9
22.02.21
자유주제

포터·봉고 등 소형 화물차도 충돌시험 강화…비상제동장치 전차종 확대

앞으로 3.5톤 이하 소형 화물차에 대한 충돌시험이 강화된다. 사고예방을 위한 비상자동제동장치(AEBS) 의무도 초소형차(경차보다도 작은)를 제외한 모든 차종으로 확대된다. 국토교통부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을 입법 예고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화물차 등 사업용 차량의 안전도를 강화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

|22.02.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59
22.02.21
자유주제

LG유플러스, "빅데이터·AI로 자율주행차 고장 잡는다"

LG유플러스가 국내 자율주행 솔루션 기업 에이스랩과 자율주행차량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차세대 기술을 개발한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클라우드에서 자율주행 차량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으로 판단해 정상 작동여부를 알려주는 시스템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이르면 고장 자율차량을 긴급 회수하거나 위험 지역

|22.02.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82
22.02.21
자유주제

스쿠데리아 페라리

스쿠데리아 페라리가 2022시즌 포뮬러 원(F1) 월드챔피언십에 참가할 새로운 경주차 'F1-75'를 공개했다. F1-75는 페라리 창립 75주년을 기념해 붙여진 이름이다. 페라리 스타일센터가 새롭게 개발한 레드 컬러가 적용됐다. 이와 더불어 페라리 F1 경주차의 오랜 특징인 이탈리아 국기 컬러도 함께 반영했다. 페라리 엔지니어 SF-75에는 스쿠데리

|22.02.21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1,159
22.02.21
자유주제

서울시 "비수도권 5등급차, 9월까지 폐차·DPF 설치하면 과태료 취소"

서울시가 비수도권 소재 5등급 노후차량 구제책을 발표했다. 오는 9월 30일까지 매연저감장치(DPF)를 부착하는 등 저공해 조치를 완료하면 과태료를 취소하고 이미 납부한 벌금도 환급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지난 2003년부터 조기 폐차 또는 매연저감장치(DPF) 부착을 지원하는 등 5등급 차량 49만7000여대에 대한 저공해조치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비수

|22.02.21
like-count0
commnet-count2
view-count1,248
2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