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HOT
자유주제

한국 고속도로만 유독 제한속도 100을 못넘는 이유

vi

Lv 103

22.03.15

view_cnt

1,489

도로 '설계속도'에 이유 있다 자동차 기술력이 발전했는데도 높아지지 않는 고속도로 제한 속도 제한 속도는 도로 설계 당시 정하는 설계속도와 관련 있어 짧은 직선 구간, 잦은 터널 등 국내 산악 지형도 영향 도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제한 속도 표지판과 포르쉐 911모델. 제로백이 3,2초다. /포르쉐 코리아 1886년 독일에서 첫 사륜차가 등장한 이후, 자동차는 1세기 넘는 시간 동안 발전을 거듭해왔습니다. 요즘 신차의 제로백(자동차가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이르는 시간)은 단 몇 초면 충분합니다. 반면 우리나라 고속도로 제한 속도는 여전히 100㎞/h ~ 110㎞/h에 머물러 있는데요. 자동차 성능이 개선된 만큼, 고속도로나 국도의 제한 속도 역시 높일 수는 없을까요? ◇제한 속도, 이것부터 알고 보자 자동차가 낼 수 있는 최대 속력인 ‘최고속도’는 두말할 필요 없이 빠르고 강력해졌습니다. 90년대까지만 해도 계기판에 표시된 최고속도는 대부분 180㎞/h에 불과했죠. 요즘엔 220㎞/h는 기본이고, 300㎞/h 넘게 달릴 수 있는 고성능 ‘하이퍼카’도 있습니다. 단순히 자동차 기술력의 발전만으로 제한 속도를 올리지 못하는 데에는 따로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설계속도’ 때문입니다. 설계속도란, 도로가 ‘최상의 상태’일 때 평범한 운전자가 안정적으로 낼 수 있는 속도를 뜻합니다. 여기서 최상의 상태는 양호한 날씨나 적은 차량 수 등 이상적인 도로의 조건이 갖춰진 것을 의미하죠. 모든 운전자가 매번 이상적인 도로를 달릴 수는 없습니다. 도로 위에서 정체가 발생할 수도 있고, 폭우로 도로가 미끄러울 수도 있죠. 이런 이유로 모든 나라의 제한 속도는 설계속도보다 20㎞/h 가량 낮게 정해집니다. 즉, 자동차의 기술력보다는 이미 시공된 도로의 상태에 따라 제한 속도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제한 속도 유독 낮은 이유 해외와 비교해도 우리나라의 제한 속도가 낮은 편인 것은 맞습니다. 유럽의 대부분 국가는 130㎞/h로 정해져 있거든요. 우리나라의 제한 속도가 유독 낮은 이유에는 우리나라 특유의 ‘산악 지형’을 꼽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산림 비율은 63%로 OECD 국가 중 네 번째로 높습니다. 이런 지형에서는 고속도로를 시공하는 것이 까다롭습니다. 직선 구간을 만들기 어렵고, 회전 구간에서 완만한 곡률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이죠. 이러한 산악 지형이 설계속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과거 ‘경부 고속도로’를 시공했을 당시 설계속도는 110㎞/h에 불과했습니다. 제한 속도는 이를 넘길 수 없는 거죠. ◇독일의 아우토반은 제한 속도 없다던데 독일의 고속도로 ‘아우토반’은 속도제한이 없는 ‘무제한 고속도로’로 알려져 있는데요.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실제로 아우토반에서 속도 제한 없이 달릴 수 있는 구간은 전체의 20%에 불과합니다. 이 구간도 130㎞/h까지 달리는 것을 권장하죠. 교통량과 노면의 상태가 제한 속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독일은 지정차로제를 잘 지키는 국가입니다. ‘화물차 3차선, 승용차 2차선, 추월 차선 1차선’ 법칙을 엄격히 준수하죠. 법적으로 속도 제한이 해제된 구간도 모든 차량이 전 차선에서 높은 속력으로 달리는 것이 아닙니다. 추월 차선인 1차선에서만 잠깐 속력을 올리는 것이죠. 우리나라도 신설 고속도로는 제한 속도를 올리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2025년 개통 예정인 서울-세종 고속도로는 설계속도를 140㎞/h까지 높이는 방안도 검토됐죠. 하지만 안전 운전을 위해 지정차로제를 지키는 시민의식 고양을 먼저 모색해야겠습니다.
communityImage
한국 고속도로만 유독 제한속도 100을 못넘는 이유

한국 고속도로만 유독 제한속도 100을 못넘는 이유

사이트 방문

댓글

21

장세진

Lv 105
22.03.15

지정차로제만 잘 지켜지면... 지금도 일부구간 무제한에... 전체 130도 아무 문제 없어 보여요... 최소한 제가 다녀본 경부 중부 영동 제2영동 정도는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2

장세진

Lv 105
22.03.15

일부구간이라도 속도 무제한 구간이 생긴다면.... 동아시아 인근의 국제적인 자동차 명소가 될 수 있을 텐데요~~ 조금 한적한 구간만이라도... 구간 중간에 서해안 고속도로 행담도 휴게소처럼 양방향에서 들어갈 수 있고 주차장 넓직한 휴게소 큼직하게 만들어놓으면 지역 명소가 되서 차 좋아하는 사람들이 시간만 있으면 엄청 몰려들텐데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vi

Lv 103
작성자
22.03.15

그렇군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하데스992s

Lv 90
22.03.15

좀 높이자요 어휴 음주운전 정속주행 졸음운전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3.15

ㅎㅎㅎ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auto2063

Lv 91
22.03.15

음주운전에 무관용으로 중형으로 다스려야 합니다😡 이것부터 최우선시 되어야 겠습니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3.15

맞습니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하데스992s

Lv 90
22.03.15

윤석열 형님한테 올려달라구 해야겠네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3.15

ㅋㅋㅋ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아히라바루

Lv 18
22.03.15

서해안고속도로 초창기에 총알택시들 미친듯이 달리고 서해대교에서 사고나고 하던거 생각해보면 좀 무섭기도하죠 지금은 그때보다 차 성능도 올라오고 고성능차도 더 대중화되어서.. 제한울 너무 많이풀어준다면 진짜 난리날거같아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3.15

위법이 합법이 되는 순간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소니7

Lv 90
22.03.15

바꼈으면..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3.16

살짝이라도 ㅋ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영하이

Lv 49
22.03.15

고속도로는 상한 속도는 올리고 지정차로 음주 단속 강화 하는 게 오히려 사고가 적어질 가망성이 있음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1

하데스992s

Lv 90
22.03.15

진짜 고속도로가 아니고 저속도로임^^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짐승기

Lv 32
22.03.15

추월차선만 잘지켜도...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3.16

그쵸 안전주행은 1호선좀 비워두면 좋은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울트라맨8

Lv 116
22.03.15

안전을 위해 ㅡㅡ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3.16

😭👍👍👍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네두

Lv 29
22.03.16

경부고속도로나 예전에 지어진 고속도로만 110으로 좀 낮지 최근에 만들어진 고속도로는 설계속도 120-130은 전부 된다고 하던데ㅎㅎ 너무 일반화가 심한 기사네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네두

Lv 29
22.03.16

지정차로제 엄격히 교육단속하고 제한속도 높여야합니다 필요없는 고속도로 정체가 너무 많이 발생해요.. 오늘 아침 출근 길도 1차로 정속때문에 고구마 백만개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HOT
자유주제

"너도나도 찬성" 윤석열, 법인 슈퍼카 연두색 번호판 실현될까?

"너도나도 찬성" 법인 슈퍼카 연두색 번호판 현실화 될까? 윤석열 당선인이 후보 시절 공약한 "법인명의 차량 번호판 색상 구분"이 전 국민들의 공통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수억을 호가하는 수입 유명 슈퍼카의 경우 실제 개인 업무용도가 아닌 법인명의로 구매하여 탈세 등의 꼼수를 부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2021년 한국 수입자동차협회 자료에 따르

thumbnail
vi|22.03.15
like-count3
commnet-count29
view-count2,055
22.03.15
HOT
자유주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V 투입 예고.."진짜 끝판왕이 온다"

캐딜락 요즘 공격적이네요... 에스컬레이드-V는 T5-V 블랙윙에 탑재된 6.2리터 V8 슈퍼차저 엔진과 10단 자동변속기를 공유하며, 677마력 수준의 출력을 예상한다고 합니다 ㄷㄷ 이 외에도 커스텀 론치 컨트롤, 퍼포먼스 데이터 리코더 등 CT5-V 블랙윙에 탑재된 고성능 기술을 접목하고, 마그네틱 라이드 컨트롤(MRC), 에어서스펜션, 사륜구동 시

thumbnail
울트라맨8|22.03.15
like-count4
commnet-count19
view-count2,352
22.03.15
자유주제

GV70 & bmw X1 & 하이브리드

제대로된 차는 첫구매입니다 주말이면 아이데리고 움직이다보니 사용량도 무시할수가없어서 고민입니다 연비만 생각해야할지 처음에는 GV70 이나 X1 가솔린 생각했는데 연비가.. 많이 떨어지긴하더라구요 차알못이라 조언 부탁드립니다 GV70 가솔린 / 그랜저하이브리드 / bmw x1 하이브리드 suv 도 봤는데 1년이상 버틸수있을지ㅎㅎㅎㅎ

chloe77|22.03.15
like-count1
commnet-count9
view-count1,349
22.03.15
자유주제

Aston Martin—DBX 707 “내가 제일 빠르다”

애스턴 마틴 DBX 707을 Car&Driver에서 자세히 소개한 터라 축약해서 옮겨 봅니다. 697마력을 미터법 707 된다고 해서 이름에 707이 붙어 있습니다. 가장 빠른 SUV… 얼마전 나온 카이엔 터보 😍GT보다 제원상 더 빠르긴 한 듯요 심장은 4.0리터 AMG V-8 을 달고 있습니다 엔진 튜닝은 미미한 가운데 볼베어링( 회전축과 축의 지

thumbnail
auto2063|22.03.15
like-count1
commnet-count18
view-count1,073
22.03.15
자유주제

"다음차는 전기차 살래" 전기차 선호도 설문조사서 95%가 구매의사 밝혀

xEV TREND KOREA 2022[M 오토데일리 차진재 기자] 친환경 전기차 전시회 ‘xEV TREND KOREA 2022’ 사무국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기차 구매 의향을 묻는 질문에 95%가 구매의사를 밝힌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설문조사는 2018년부터 5회째 진행한 전기차 선호도 조사로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전기차

thumbnail
vi|22.03.15
like-count2
commnet-count12
view-count1,035
22.03.15
자유주제

메르세데스-벤츠, 3세대 CLS 부분변경 국내 출시.. 주목할 특징은?

메르세데스-벤츠가 3세대 CLS 부분변경 모델, ‘더 뉴 메르세데스-벤츠 CLS’를 국내 공식 출시했다. 4-도어 쿠페라는 컨셉트로 세련된 라인과 감각적인 실루엣을 갖춘 CLS는 지난 2004년 1세대 출시 이후 현재까지 전 세계 45만 대 이상 판매된 모델이다. 특히, CLS는 국내 고객들에게 특별히 많은 사랑을 받은 모델로, 한국은 중국 다음으로 전

thumbnail
vi|22.03.15
like-count2
commnet-count8
view-count1,113
22.03.15
자유주제

포드, 칩 부족에 '익스플로러' 후방 온도 조절장치 뺀다

포드가 반도체 칩 부족 문제로 일부 사양이 누락된 차량을 딜러숍에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오토블로그 등 외신에 따르면 포드는 F-150 차량을 ‘오토-스톱/스타트’ 기능이 없는 상태로 출하했던 행보를 확대, 2022년형 익스플로러는 후방 온도 조절 장치가 없는 상태로 공급을 결정했다. 지역 매체는 해당 기능이 현재로서는 대부분 편의성과 관련된 사양들로 상

vi|22.03.15
like-count2
commnet-count10
view-count1,090
22.03.15
자유주제

G81 M3 투어링 레알 공개 !!

BMW G81 M3 투어링 뒷모습을 레알로 공개했네요. 기존 3투어링의 M버전이라서 크게 특별한건 없지만 .. 실제로 보니 M투어링은 어떨지 기대가 됩니다. 한가지 특이한건 .. 트렁크 스포일러가 세단 M것과 유사합니다.

thumbnail
동탄 현마허|22.03.15
like-count0
commnet-count12
view-count1,170
22.03.15
자유주제

머스크 "푸틴, 한판 붙자" 결투 신청..러시아 "애송이

이걸 멋지다고 해야할지.....

GoFoward|22.03.15
like-count0
commnet-count6
view-count1,115
22.03.15
자유주제

미니SE 리뷰..

여기저기 미니SE 리뷰가 올라오니... 이놈의 미니병이 또 도지려고 하네요....ㅋ 이번 버전은 주행가능거리 때문에 주저했지만.... 다음 페리나 풀첸되면서 주행가능거리가 250km만 넘어줘도 미니이기 때문에 충분히 납득될 것 같아요~~ 저는 다음 전기차로 이걸로 가도 될듯요~~♡

장세진|22.03.15
like-count0
commnet-count8
view-count937
22.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