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이렇게 금리 높은데 집을 어떻게 사요"…2030 영끌 빚투 끝났나?

vi

Lv 103

22.07.06

view_cnt

665

최근 부동산 큰손으로 떠오른 20·30대의 매수세가 꺾이고 있다. '영끌'과 '빚투'로 매매시장을 주도했던 청년층이지만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이자 부담이 커지자 내 집 마련 계획을 수정하는 모습이다. 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7917건으로 이 가운데 30대 이하 매수 비중은 3063건(38.7%)을 기록했다. 30대 이하의 서울 아파트 거래 비중은 2020년 상반기 34.6%→2020년 하반기 40.2%→2021년 상반기 41.4%→2021년 하반기 42.0%로 꾸준히 증가했다. 지난해 주택가격이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내면서 벼락 거지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느낀 20·30대의 공황 구매가 이어진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2020년 하반기가 절정기였다. 당시 20·30대는 서울 아파트 4만5486가구(40.2%)와 경기 아파트도 13만5735가구(33.4%)를 사들였다. 하지만 올해 들어 분위기가 달라졌다. 인플레이션 수준과 대출금리가 높아지고 집값 고점 인식이 심화하면서 매수 비중이 축소되고 있다. 30대 이하의 전국 아파트 매수 비중은 올해 들어 지난 5월까지 평균 29.0%를 기록했다. 2020년 상반기(27.1%) 이후 처음으로 반기 기준 30% 미만으로 내려왔다. 같은 기간 다세대·연립·단독주택 등을 포함한 전체 주택 매수 비중도 30.2%로 지난해 하반기(32.5%)보다 낮아졌다. 집값 하락 조짐도 고민이다. 지난 2년간 20·30대가 아파트를 가장 많이 매입한 지역인 서울 노원구(1만4283건)의 경우 올해 매매가격이 0.59%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전체 누적 하락률(-0.19%)을 상회한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의 구매 수요가 다시 확대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가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를 대상으로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80%까지 풀어 주기로 했지만, 주택매매 활성화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장래소득인정액을 최대로 잡아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아래 늘어나는 대출금은 1억원 안팎이다. 경제환경과 고금리에 주택담보대출을 실행하는 것도 쉽지 않다. 금융권에서는 한국은행이 올해 말까지 기준금리를 2.50%까지 올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은 금리가 0.25%포인트 오르면 차주 1인당 상환해야 하는 이자가 16만4000원 불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직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근로자 가구 평균 가처분소득 대비 서울 아파트 월 상환액 비율은 금리가 연 4%일 때 평균 45%였지만 금리가 연 7%까지 치솟으면 평균 62%로 급증한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해 영끌족들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지역·세대·소득수준 간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빚을 끌어모아 매수에 나서기보다 공공임대나 공공분양주택 등을 거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고 조언했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80대가 몰던 차량 돌진…점심 먹던 식당 날벼락

점심을 먹고 있는데 갑자기 승용차가 식당 안으로 들어온다면 어떨까요? 두 번째 사건 사고 영상으로 함께 보시죠. 택시 한 대가 지나갑니다. 그런데 곧바로 회색 승용차가 돌진을 합니다. 이 승용차 그대로 음식점을 들이 받았는데요. 자, 사고의 충격으로 앞바퀴에서는 곧바로 연기가 피어오르기 시작합니다. 잠시 뒤 또 한 번 기둥을 들이 받습니다. CCTV 속에는

vi|22.07.06
like-count2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7.06
자유주제

코스피, 1년 8개월 만에 2,300선 무너져...환율, 장중 1,310원 돌파

고물가·경기 침체 우려 속 증시 하락세 코스피, 1년 8개월 만에 2,300 아래로 하락 '10만 전자' 바라보던 삼성전자 56,400원 마감 환율 장중 1,311원…13년 만에 1,310원 돌파 [앵커] 고금리, 고환율, 고물가 등 우울한 소식이 이어지는 가운데 코스피가 1년 8개월 만에 2,300선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환율은 장중 1,310원을 돌

vi|22.07.06
like-count2
commnet-count0
view-count862
22.07.06
자유주제

'이익률 5%' K-배터리…'무조건 투자' 끝났다

<앵커> 잘 나가던 K 배터리 산업에 때 아닌 위기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전 세계 시장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다는 소식에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투자를 재검토한다는 내용까지 전해지면서 분위기가 뒤숭숭합니다. 때마침 배터리 3사 주식도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데요. 산업부 김민수 기자와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전망은 여전히 좋은데 분위기는 왜 이런가요?

vi|22.07.06
like-count2
commnet-count0
view-count899
22.07.06
자유주제

"더 떨어진다"…'장투'도 등 돌린 코인판

<앵커> 비트코인이 미국 증시 영향으로 반등에 성공했지만 불안감은 여전합니다. 장기 투자자들도 등을 돌리고 있어서 추가 하락 가능성마저 제기됩니다. 이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17년 첫 번째 상승 시기에 비트코인은 2만 달러에 근접했다가, 두 달이 지나서 3분의 1 토막이 났습니다. 1년이 지난 시점에는 82% 떨어졌습니다. 지난해

vi|22.07.06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56
22.07.06
자유주제

"인플레보다 더 무섭다"…커지는 'R의 공포' [증시프리즘]

<앵커> 증시 프리즘 시간입니다. 박해린 증권부 기자 나왔습니다. 박 기자, 어제 반등하며 기대감을 키웠던 증시가 하루 만에 고꾸라져 결국 2300선이 붕괴됐습니다. 어떻게 해석해야 합니까? <기자> R의 공포라고 하죠.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불거진 겁니다. 치솟던 국제 유가가 현지시간 5일 배럴당 100달러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경기

vi|22.07.06
like-count2
commnet-count0
view-count1,195
22.07.06
자유주제

'하락장은 인생 처음'…대학생 개미 81%는 '3년차'

대학생 주식투자자 대부분은 투자 기간이 3년 미만으로 10명 중 7명은 해외주식에 투자하고, 18.2%는 빚을 내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투자증권이 지난달 대학생 모의투자대회에 참가한 대학·대학원생 4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결과 투자기간 3년 이하인 응답자가 전체의 81.4%에 달했다. 설문에 참여한 대학생의 평균연령은 24.6세로, 시기

vi|22.07.06
like-count2
commnet-count0
view-count644
22.07.06
자유주제

'가양역 실종' 20대女 유서 추정 발견…"내 죽음 슬퍼하지 않았으면"

김씨 자택서 신변비관 글 발견…2쪽 분량 경찰, 가양대교 인근 드론팀 투입해 수색 "범죄 의심 정황 없어…모든 가능성 염두" [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서울 지하철 9호선 가양역 인근에서 실종된 20대 여성의 신변비관 글이 발견돼 극단적 선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경찰은 김씨를 찾기 위해 통신 내역과 CCTV 등을 확인하고, 지난달 28일부터 한강 수변

vi|22.07.06
like-count2
commnet-count0
view-count663
22.07.06
자유주제

中시안·베이징, 스텔스보다 강한 BA.5 변이 첫 발견 '비상'(종합)

'삼성전자' 공장 있는 시안, 일주일 통제 안후이성 확진자 장쑤성 등 주변으로 번져 상하이에서도 집단 감염…11개구 전수검사 중국 ‘제로코로나’ 고집에도 감염자 급증 [베이징=이데일리 신정은 특파원]중국 산시성 시안시에 이어 수도 베이징에서도 ‘스텔스 오미크론’보다 강력한 ‘BA.5’ 변이가 발견돼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중국이 방역을 완화하자 마자

vi|22.07.06
like-count2
commnet-count0
view-count664
22.07.06
자유주제

850i 가격 나왔네요

가성비 모델 m850i 가격이 나왔네요. 언론에 1억 4천대라고 흘려서 1억 4천 후반이겠지 했는데 그란쿠페는 1억 3천 후반이라는 착한 가격에 나왔습니다. 840 이 할인이 크기는 하지만 공식 출시가가 1억 3천 중반이라 둘이 500만원도 차이가 안 나네요. (할인 감안하면 1500 정도 차이네요) 알기로는 미국 시장 가격이랑 비슷해서 가격 경쟁력은

wong|22.07.06
like-count2
commnet-count7
view-count1,887
22.07.06
HOT
자유주제

(펌)친구네 부모님차 몰다가 살짝 박았는데....

ㅋㅋ살짝이 아니네요🤣

thumbnail
요요기|22.07.06
like-count7
commnet-count4
view-count2,355
22.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