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가격 좀 싸졌네"하고 아무 집이나 덜컥 샀다간 낭패

vi

Lv 103

22.07.09

view_cnt

719

전문가 6명이 조언하는 부동산시장 조정기 투자전략 원본보기 부동산 시장이 심상치 않다. 그동안 가격 급등에 대한 피로감으로 연초부터 주춤했던 서울 등 주요 지역 아파트 가격이 새 정부 출범 이후 좀 오르나 싶더니, 인플레이션과 대출금리 인상 우려 등으로 다시 밀리는 분위기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아파트값은 0.11% 하락했고, 서울(-0.19%)과 수도권(-0.4%) 등 주요 지역 역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작년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값이 6.65% 올랐던 것에 비하면 상황이 급반전했음을 알 수 있다. 문제는 가격이 조금씩 밀리는 현 상황에서 대출금리 급등이라는 악재가 더해지며 시장이 본격적인 하락 국면으로 돌아서는가 하는 점이다. 매일경제는 수많은 변수가 쏟아지며 한 치 앞을 보기 힘든 투자자들을 위해 6명의 부동산 전문가에게 시장 전망과 함께 어떤 투자전략을 가져가야 할지 물어봤다. ◆ 무주택자 '청약', 1주택자 '갈아타기' 기회 금리 인상으로 대출 부담은 늘고, 시장은 아직 본격적인 하락을 예상하기 힘든 시기에 실수요자와 투자자들은 어떤 전략을 짜야 할까. 전문가들은 일단 무주택자들은 가격이 좀 싸졌다고 아무 집이나 사지 말고, 핵심 지역의 청약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시장 혼란기일수록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그는 "분양가격이 저렴한 공공분양에 집중하고, 금리 인상으로 내년 하반기께에는 이자를 못 갚은 주택 경공매 물량이 나올 수 있으니 이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승철 유안타증권 수석 부동산컨설턴트는 "눈여겨보고 있는 지역의 전세가율이 높아지면 투자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승훈 리얼비전경제연구소장은 "핵심 지역 주택은 빨리 구입하고, 비핵심 지역이나 공급 초과 지역은 6개월~1년 정도 추이를 지켜보며 움직여도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1주택자에 대해서는 추가 구입으로 다주택자가 되는 것은 다주택자 규제 완화가 안 된 상황에서 시기상조지만, 상급지로 갈아타는 것은 대부분 추천하는 분위기다.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양도세 비과세 요건(실거주 2년)을 갖춘 1주택자라면 지금과 같은 조정기에 미래가치가 높은 상급지로 갈아탈 만하다"고 말했다. 가격이 상승하거나 하락하면 오히려 심리상 움직이기 힘든 만큼 지금처럼 시장가격이 약보합을 보일 때 움직일 만하다는 뜻이다. 임병철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금리 인상기에는 기본적으로 과도한 대출을 통한 투자는 금물"이라면서도 "이사를 원하는 지역의 급매물을 주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다주택자에 대해서는 향후 세금 부담 등을 감안해 하급지 주택부터 매도할 것을 권했다. 이승철 컨설턴트는 추가적인 투자를 원한다면 금리 인상기라 이자 부담이 있기는 하지만 서울 문래동 등 저평가 지역의 '꼬마빌딩'들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라고 추천했다. ◆ 서울 강남·한강변 관심, 대구 등은 지켜봐야 원본보기 하반기 투자 유망 지역에 대해 시장 전문가들은 혼란기일수록 소위 '잘나가는 지역'에 집중하라고 주문했다. 이승훈 소장은 "서울 강남권과 한강변 등 핵심 지역, 1기 신도시 및 수도권 재개발·재건축 지역이 유망하고, 개발 호재가 없는 구축 아파트는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승철 컨설턴트는 "노원구 상계동은 최근 하락하긴 했지만 젊은 세대들의 관심이 꾸준한 곳이며 전세 수요도 여전하다. 창동 역세권 개발 등 개발 호재 등을 감안하면 서민들이 관심을 가질 만하다"고 설명했다. 임병철 팀장은 "최근 수년간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 이슈와 '2030 영끌' 수요가 몰려 급등했던 지역들은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 GTX는 일부 노선을 제외하고 개통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젊은 층 수요가 몰린 곳들은 대출 부담으로 인해 급매물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고종완 원장은 "그동안 풍선효과로 올랐던 김포, 화성 등 수도권 외곽 지역들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정부 규제 완화 이슈가 있는 강남·용산 등 한강변 재건축 지역이 가장 매력적이고, 공공재개발 지역이나 사업성 등을 고려해 분당 시범단지 등 1기 신도시 통합 재건축 지역 등에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근 가격 하락률이 큰 대구나 세종 아파트는 주택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은 상황이라 가격 하락이 지속될 수 있어 섣부른 추격 매수는 삼가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 주목할 최대 변수는 '금리 인상' 하반기 부동산 시장에서 투자자들이 가장 주의 깊게 봐야 할 변수로는 6명의 전문가 중 5명이 대출금리 인상 추이를 꼽았다. 몇 달 전만 해도 새 정부 취임 이후 정부 정책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변한 전문가들이 많았지만, 그만큼 현재 시장 상황이 바뀐 것으로 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까지 새 정부가 내놓은 분양가상한제와 임대차시장 안정 대책 등으로 볼 때 새 정부가 부동산 정책을 급진적으로 변화시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견해를 보였다. 또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폭이 큰 만큼 한국 시장에서도 금리만큼 큰 변수는 없다는 데 동의하는 모습들이다. 이승철 컨설턴트는 "금리 인상은 수요자뿐 아니라 공급자에게도 중요한 이슈다. 금리가 올라가면 전반적인 공급원가가 올라가니 분양가격도 올라갈 수 있는 등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승훈 소장은 "금리 인상이 계속될지, 계속된다면 몇 회나 될지가 수요자들 심리와 움직임에 가장 큰 변화를 줄 것"이라며 "하반기 주택 공급량은 대략 예측이 가능하므로 큰 변수가 될 수 없고, 현 정부 정책 또한 획기적인 수준의 규제 완화책이 나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종완 원장 역시 "금리가 추가 인상된다면 수요는 감소할 수밖에 없고 기대 투자수익률 또한 떨어져 집값에 직격탄을 날릴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팀장은 "올 1~5월 서울 월 평균 아파트 거래량이 1000여 건에 불과해 최근 10년 평균의 6분의 1에 불과하다"며 "이후 거래량이 늘어날 때 점진적으로 증가한다면 가격이 단기 반등할 수 있으나 거래량이 갑자기 확대되면 지금 상황에서는 (매물이 쏟아지며) 가격이 본격적으로 하락할 수 있다"고 거래량 추이를 잘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하반기 주택시장 '본격 하락은 아직'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으로 인해 매수심리가 악화되고, 집값 고점에 대한 우려가 여전해 시장이 최근 약보합세에서 본격적으로 반등하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그렇다고 집값이 이제 완전히 하락 사이클로 접어들지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모습이다. 고준석 대표는 "금리 상승이 매매시장 거래를 위축시킬 수는 있지만 대출과 상관없는 곳(15억원 초과 아파트 매매 많은 지역)에서는 여전히 신고가가 나오는 상황이라 시장이 전반적으로 하락하지는 않을 것이고 지역별 매매시장 양극화 현상이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주택자들의 세금 문제와 시장 매수심리 불안 등을 감안하면 핵심 지역에만 더욱 집중하는 '똘똘한 한 채' 현상은 더 가속화되고 이들 지역 인기는 쉽게 사그라들기 힘들다는 의미다. 임병철 팀장 역시 "집값 상승 기대감 감소, 대출 부담 등으로 매수세가 살아나기는 어렵지만 서울 등 주요 지역 공급이 여전히 부족하고,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에 대한 세제 혜택에 따른 매수세 유입, 보유세 완화로 인한 매물 감소 전망 등을 감안하면 하반기 수도권 주택시장은 강보합세가 유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승철 컨설턴트는 "최근 상담 고객들이 '언제 살까요'를 물어보는 경우가 많다. 매수 시기를 노리는 이들이 많다는 뜻"이라며 "7월 말 임대차 3법 시행 2년을 맞아 전세 수요자들이 매매시장으로 나올 수 있는 점 등을 감안하면 매매시장 하락이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금리가 부담스러운 상황이지만 이럴 때는 생활비를 먼저 줄이지, 대출 부담 때문에 집을 매도해 매물이 늘어나며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다만 고종완 원장은 "금리 인상으로 시중 유동성이 줄어들면 집값 상승은 어렵다. 하반기가 결정적 전환점이 될 수 있다"며 "9월 이사철에 집값이 오르지 않고 약보합을 보이거나 전셋값이 오르지 않는다면 이후 시장이 하락 사이클로 접어들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전세시장에 대해서는 강보합 정도가 될 것이며 '전세의 반전세·월세화 현상 가속화'를 예상하는 전문가들이 많았다. 우병탁 팀장은 "가을 이사철까지는 전세가격 상승과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가속화될 우려가 있다"며 "6월 발표된 정부의 임대차시장 안정 대책(상생임대인제도 등)이 얼마만큼 작동하는가에 따라 일부 충격이 흡수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승훈 소장 역시 서울 등 공급 부족 지역 위주로 전셋값 상승을 예상했고, 고준석 대표도 '전세의 반전세·월세화 현상'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전셋값이 급등한 상황에서 임차인이 수억 원의 전셋값을 올려주기 쉽지 않고, 금리 상승 또한 전세 대출을 더욱 받기 어렵게 해 월세 전환이 가속화된다는 의미다.

댓글

4

GoFoward

Lv 102
22.07.09

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7.09

폭락만 안하길요 ㅎㅎ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울트라맨8

Lv 116
22.07.09

음 아직은 좀관망..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7.09

우리집도 자꾸 내려가유 ㅋㅋ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꺾이지 않은 폭염...주말 찜통더위, 다음 주 폭우

앵커] 중부지방에는 간간이 비가 내렸지만, 무더위 기세가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오늘과 내일 날씨가 더 더워지겠고, 다음 주에는 국지성 호우가 잦을 것으로 보입니다. 김진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중북부지방에 호우가 예보됐지만, 실제는 예보와 크게 달랐습니다. 최고 80mm의 비가 내릴 것이란 서울은 강우량이 1.7mm에 그쳤습니다. [이창재

vi|22.07.09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1,021
22.07.09
자유주제

"되살아나는 코로나 악몽"…수혜주는 '기지개

증시프리즘 시간입니다. 국내 증시 진단을 위해 증권부 박찬휘 기자와 이야기 나눠봅니다. 박 기자, 국내 증시가 하반기 힘을 내주고 있습니다. 양 지수가 이틀 내리 큰 폭으로 올랐는데요. 외국인 투자자가 지수를 이끌었다고요? <기자> 네. 우리 증시가 하반기 들어 힘을 내고 있습니다. 이달 코스피, 코스닥 지수는 각각 2%, 5% 올랐습니다. 외

vi|22.07.09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1,393
22.07.09
자유주제

첫 삽도 못 뜨는 용인 반도체 단지…착공식 돌연 '연기'

국내 최초, 세계 최대 규모로 조성되는 용인 반도체 산업단지가 첫 삽도 뜨지 못 하고 있습니다. 조성계획이 발표 된지 3년이 넘었지만 다음주로 예정됐던 착공식 마저 납득하기 어려운 이유로 연기됐습니다. 정재홍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 일대 약 415만㎡로 조성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만 축구장 581개와 맞먹는

vi|22.07.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89
22.07.09
자유주제

폭염에 물가에 주가에 코로나에 "덥다 더워"

사진으로 돌아보는 한 주…노컷뉴스 사진기자가 기록한 역사의 현장 폭염에 한강수영장 북적 전국 곳곳에 폭염경보가 확대된 3일 서울 여의도 한강수영장을 찾은 시민들이 물놀이를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경찰국 설치 반대 삭발투쟁 전국경찰직장협의회 민관기 충북 청주흥덕경찰서 직협회장 등 각 4개 경찰서 직협회장들이 4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행

vi|22.07.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7
22.07.09
자유주제

86년만에 재현된 日총리 암살의 역사…아베 전 총리 피격

101대 기시다 후미오 총리까지 64명 중 총 7명이 암살 마지막 암살은 지난 1936년…86년만에 되풀이된 비극 [이데일리 김영환 전재욱 기자] 일본 참의원 선거를 이틀 앞둔 8일 아베 신조 전 총리에 대한 피격은 일본 정치 역사상 7번째 전·현직 총리를 향해 가해진 암살이다. 아베 전 총리 이전에 행해진 암살은 지난 1936년으로 무려 86년만에 야만적

vi|22.07.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64
22.07.09
자유주제

[영상] 아베 피격 순간, ‘짙은 연기’ 낸 사제 총기

SNS에 아베 전 총리 피격 영상 등록 범인 사제 총기 사용 정황 조잡한 외관에 총격 당시 짙은 연기 [이데일리 장영락 기자]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동기가 밝혀지지 않은 총격으로 사망했다. 총격 당시 현장에서 촬영된 영상들이 SNS에 퍼지고 있는 가운데 짙은 연기와 탁한 총성 등으로 미루어 범인이 사제총기를 사용한 정황이 뚜렷해지고 있다. 아베 전

vi|22.07.09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80
22.07.09
자유주제

바이든 "충격·분노"…아베 사망에 각국 지도자들 애도

바이든 "아베, 미일 동맹의 투사였다" 대립각 세웠던 푸틴도 유가족에 위로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깊은 슬픔을 표한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총격으로 인해 결국 목숨을 잃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세계 각국 지도자들은 일제히 애도를 표했다. 일본과 대립각을 세웠던 나라들까지 조의를 전했다.

vi|22.07.09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57
22.07.09
자유주제

"위안부는 근거없는 중상”, 아베의 생전 망언들

생전 망언 일삼은 '우익' 아베 신조 전 총리 총격 사망 정부·정가는 애도 표시 일반 시민들 사이에선 추모 분위기 읽기 힘들어 [이데일리 장영락 기자] 8일(현지시간)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동기가 밝혀지지 않은 총격으로 사망했다. 집권 자민당 최대 파벌 수장으로 국내에도 이름을 알린 정치인의 충격적인 사망 소식이 알려졌으나 그의 생전 행보 탓에 추모

vi|22.07.09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72
22.07.09
HOT
자유주제

bmw 차중에서 연비 좋은 차좀 추천해주세요.

현재 제네시스 gv70 타고 있는데 매일 100키로 정도 운행중입니다. 한달 주유비만 60만원 이상이네요. 톨비까지 하면 거진 70만원이 나가는데 이럴바엔 차라리 연비좋은 외제차가 낫겠다 싶어요. 이전 차량 아우디a4 였는데 거의 연비가 20이였거든요. 지금 제네시스는 8-10 합니다. (고속도로 주행 많은 편) 제네시스 구매한 이유는 딱 2가지 뿐

조이지지|22.07.09
like-count5
commnet-count32
view-count3,771
22.07.09
자유주제

역삼역 거대식당

퇴근 후 친구와 한잔 걸친 고깃집입니다 평소 오가면서 꼭 한 번 가보고 싶은 곳이었는데요 특히 여기 간판에 걸린 껍데기가 너무 맛있어 보였죠 껍데기를 먼저 시켜보려고 했는데... 고기를 먼저 주문해야 껍데기 주문도 가능하더라구요ㅋㅋ 800그램짜리 🐖 야무지게 먹고 드디어 껍데기를 주문했습니다 무쇠 뚜껑..?으로 눌러서 껍데기가 말리는걸 막더군

thumbnail
먹고자고코딩|22.07.08
like-count5
commnet-count10
view-count776
22.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