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소고기·닭고기까지 관세 0%…물가인하 시그널 될까

VOLKSWAGEN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viLv 103
조회 수1,239

새정부 출범 첫 물가대책 후 40일만에 추가 관세인하 기존 식용류·돼지고기 등 외에 소고기·닭고기·분유·대파도 관세 0% 수입닭 대부분 치킨집 등 순살메뉴에 사용돼 가격 인하로 이어질지 미지수 소고기 등도 관세인하율 만큼 소비자가 인하되기 쉽지 않아 그럼에도 "정부 정책움직임은 긍정적"…"체감가능한 가격 할인율 나올 수도" 정부가 끝모를 고공비행 중인 밥상 물가를 잡기 위해 식용유와 돼지고기 등에만 적용하던 0% 관세를 소고기와 닭고기, 분유, 대파까지 확대에 나섰다. 물가 상승 요인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외요인이 변하지 않고 있고, 국내 유통구조 상 관세인하가 온전히 소비자물가 하락으로 연결되기는 쉽지 않지만, 지속되는 대책 발표가 새로운 물가 하방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체감물가 7%대 상승률에 관세 추가할인 카드 꺼낸 정부…이번엔 소고기·닭고기도 기획재정부는 7일 물가 안정을 위해 긴급 할당관세 품목을 확대한다며 7개 품목에 대해 0%의 할당관세를 매긴다고 밝혔다. 새정부 첫 민생안정 대책이었던 지난 5월말 할당관세 확대 품목 외에 소고기 10만톤, 닭고기 8만2500톤, 대파 448톤, 커피 생두와 로스팅 수입 전량, 주정원료인 조주정 6만4833㎘와 매니옥침 5만1833㎘ 등이 이달부터 새로이 할당관세를 적용받게 됐다. 기존에 각각 1만톤과 1607톤에 대해서만 할당관세를 적용받던 돼지고기(삼겹살)과 분유(전지·탈지)는 각각 3만톤과 1만톤으로 할당관세 수량이 늘어난다. 정부가 긴급 민생안정 10대 프로젝트를 발표한지 40일 만에 또 한 차례 할당관세 품목 확대를 결정한 것은 치솟는 소비자물가, 특히 밥상물가 때문이다. 새정부 출범월인 지난 5월 5.4%를 기록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 6.0%로 상승하며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후 23년 7개월만에 6%대 상승률을 보였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