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식량 빈곤의 시대' 고물가에 끼니 거르고 유통기한 임박한 상품 골라 찾는다

vi

Lv 103

22.07.10

view_cnt

659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고물가 현상)이 도래하면서 개발도상국·선진국을 막론하고 모든 서민들이 고통받고 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최근 식량 등 생활 물가가 치솟으면서 전 세계 서민·저소득층은 생활비를 옥죄는 등 긴축에 나서고 있다. 노르웨이에서 푸드뱅크를 운영하는 '마트센트라렌 노르게'는 현재 코로나19로 수요가 증가했던 작년 동기보다도 30% 더 많은 식량을 배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WSJ는 미국에서도 푸드뱅크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미국 식료품점 고객은 가격이 저렴한 매장 자체 PB상품을 더 많이 구매하고, 비싼 소고기·생선류 등은 덜 구매하는 추세라고 전했다. 5월 영국 국가통계청(ONS)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44%가 고물가 때문에 식료품을 덜 사고 있다고 답했다. 영국 자선단체 푸드 파운데이션 조사에 따르면 지난 한 달 동안 식사를 줄이거나 끼니를 걸렀다고 답한 성인은 1월 470만명에서 4월 730만명으로 3개월 만에 약 55% 증가했다. 또한 취약계층에 무료로 음식을 전달하는 자선단체 이용률도 코로나19 확산 당시보다 높아졌다. 영국의 물가 상황은 특히 심각한 상황이다. 5월 영국의 인플레율은 작년 동월 대비 9.1% 상승하면서 4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같은 달 식량 가격 인플레율은 8.5%에 달했다. 영국 농업·원예개발위원회(AHDB)에 따르면 지난달 체다치즈 가격은 작년 동월 대비 59% 올랐다. 또 다른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4월 우유 가격은 지난해보다 27% 가량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최대 유통업체 테스코의 존 앨런 회장은 BBC에서 "한 세대 만에 처음으로 진정한 식량 빈곤을 목격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식량 인플레이션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세계 공급망이 차질을 빚는 와중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면서 식량 공급이 줄어든 데다 에너지 가격이 치솟으며 식품 제조·운송 비용도 증가했다. 한국에서도 최근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이월 및 하자 상품을 구매하거나, 배달비가 소요되는 배달앱 이용을 줄여 생활비를 아끼려는 흐름이 관측되고 있다. 실제 이월·재고·판매기한 임박·단순변심 상품 등을 판매하는 티몬의 '알뜰쇼핑'은 5월 매출이 전달 대비 279%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식품 등 생활 물품을 중심으로 매출이 급상승했다. 아이지에이웍스의 자체 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배달앱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의 5월 넷째주 사용자 수는 3월 첫째주 대비 각각 8.2%, 17.2%, 25.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계청이 지난 5일 발표한 '2022년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0%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동방불패' 임청하 1800억 초호화 저택 화재…8시간 만에 진압

1990년대 홍콩 영화계를 풍미했던 대만 여배우 린칭샤(임청하)의 1800억원이 넘는 홍콩 저택에 화재가 발생했다. 지난 9일(현지시각) 대만 매체 자유시보와 연합보 등은 지난 8일 오전 0시쯤 홍콩 앤더슨가에 위치한 린칭샤의 단독 주택에 불이 나 소방차와 구조대가 출동했다고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불길은 쉽게 잡히지 않았고 8시간 만에 겨우 진화됐다.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0
22.07.10
자유주제

신차구매방법 도와주십쇼행님들

행님들 첫차 뽑으랴는데 제가알기로는 렌트 리스 할부 각각다른거아닌가여? 구매상담가니까 렌트 리스밖에없네요 선수금치고 할부로 구매할생각인데 견적어떻게 받나요? 하 제가 못하는건지 그런건 없는건지 ㅠ

기운찬곰|22.07.10
like-count4
commnet-count2
view-count1,054
22.07.10
자유주제

순대국 집 중에 오래된 집이나 몇십년 전통? 이런 집은 아니지만 미쳤네요ㅋㅋ

제가 그동안 먹어본 순대국집 중 순대국 베스트3 안에 드는 집 으로 선정입니다ㅋㅋ

thumbnail
동탄 현마허|22.07.10
like-count2
commnet-count6
view-count695
22.07.10
자유주제

전시에도 토레스는 인기군요

슷하필드에 전시를 하나봅니다 트래버스 전시때도 사람들 꽤 있긴하든데 토레스 흥해라

GoFoward|22.07.10
like-count2
commnet-count4
view-count1,218
22.07.10
자유주제

Xc40 vs glb250

옵션이 glb가 좀 떨어지고.. 크기랑 뒷좌석이 xc40이 좀 작아서 고민입니다. Gv70 등등 계약을 다걸어놨는데 시승을 해보니, 뭔가 답답한 느낌이라 조언을 구합니다 X3는 출고까지 예산 초과로 생각 안했습니다

데일데일리밴드|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5
view-count1,312
22.07.10
자유주제

연일 폭염에 '아슬아슬'…전력 수급관리 나선 정부

요즘 에어컨 없이는 밤잠 들기 어려우시죠. 때 이른 폭염과 코로나19로 못 갔던 휴가 인파가 몰리면서 전력 사용량에는 경고등이 켜졌는데요. 산업부 장관은 휴일에 발전본부를 찾아 여름철 수급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이은정 기자입니다. [기자] 체감온도가 35도를 넘나들 정도로 가마솥더위였던 지난 7일. 오후 5시가 넘어서자 최대 전력수요가 9만2,9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3
22.07.10
자유주제

상반기 18% 빠진 코스피…대형주 타격 컸다

올해 상반기 코스피에서 대형주 중심으로 시가총액 감소세가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증권가는 외국인 수급이 점차 회복세를 보인다는 이유로 대형주 비중을 늘릴 것을 조언했다. 10일 아시아경제가 올해 첫 거래일인 1월3일과 지난 4일 기준 유가증권시장의 시가총액 변화를 분석한 결과, 1월3일 2211조원이던 코스피 시가총액은 7월4일엔 1811조원으로 줄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1
22.07.10
자유주제

세계로 뻗어 가는 "K-방산"...림팩에서 빛났다

림팩, 참가국 함정·무기 체계 전시장 역할도 마라도함에도 관심 이어져…"달라진 위상 실감" 필리핀, 우리 기업이 만든 함정으로 림팩 참가 국산 유도무기 '비궁'도 림팩서 적극 홍보전 벌여 [앵커] 26개 나라가 하와이에 모여 진행하는 환태평양 훈련, 림팩은 거대한 무기전시장으로도 불립니다. 우리 함정과 무기체계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 군 당국은 림팩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27
22.07.10
자유주제

신규확진 2만 410명...주말인데도 이틀째 2만 명대

코로나19 유행이 다시 확산국면으로 바뀌면서 신규 환자가 이틀째 2만 명대를 기록했습니다. 재유행이 예상보다 빨리 찾아온 셈인데 정부는 오는 수요일에 여름철 재유행 대응 방안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신현준 기자! 어제는 확진자가 줄어드는 주말인데도, 2만 명을 넘었다고요? [기자] 예, 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환자는 2만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03
22.07.10
자유주제

신천지, 尹 출범 후 최대규모 집회…CBS 압박하며 세 결집

전 아내 등 살인 가해자 "신천지 종교 때문"이라는데 신천지 "살인 전날 신천지 알았다"…갈등 기간 없다? "정치인 관련성 제기 등 부정론 확산에 재결집 의도" 이단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신천지) 도마지파는 10일 주최 측 추산 9천여 명을 동원하며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코로나19로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데 이어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최대 규모다.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69
22.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