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급랭이냐 해빙이냐…참의원 선거 이후 한일관계 영향은

vi

Lv 103

22.07.10

view_cnt

652

'우익 구심점' 아베 전 총리, 총탄 맞고 사망 한일관계 시나리오…①해빙 ②급랭 ③현상유지 日참의원 선거와 자민당 역학 구도 변화에 달려 "정부, 조문 외교 통해 협력 관계 강화해야" [이데일리 이유림 기자]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괴한의 총탄을 맞고 사망한 초유의 사건이 앞으로 한일 관계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특히 이번 사건은 윤석열 정부가 한일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나서기 시작한 시기와 교묘하게 맞물려 더욱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베 전 총리 사망 이후 △한일 관계 해빙 기류 촉진 △한일 관계 경색 국면 강화 △현상 유지 등 크게 세 가지 시나리오를 제기한다. 이중 어느 방향으로 관계가 변화할지는 10일 치러지는 일본 참의원 선거 결과와 자민당 내 역학 구도 변화에 달렸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일본 최장기 총리를 역임한 아베 전 총리는 우익 세력의 구심점 역할을 해왔다. 10일 치러진 일본 참의원 선거는 일찌감치 자민·공명 연립 여당의 과반 승리가 유력하게 점쳐졌다. 일본은 원래부터 자민당 1당 독주체제였는데, 아베 전 총리 총격 사망 사건으로 우파 세력은 더욱 결집하게 됐다. 대신 자민당 내 강경파로 꼽히는 `아베파(派)`와 온건파로 꼽히는 `기시다파(派)` 등의 파벌 구도 변화가 일본 정치 판도를 바꿀 중요한 변곡점으로 떠올랐다. 아베 전 총리는 2020년 건강상의 이유로 퇴임한 뒤에도 기시다 후미오 현 총리의 `상왕` 노릇을 해왔다. 그러나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아베파는 와해 위기에 처하게 됐다. 아베파의 위세가 약화할 경우 기시다 총리는 자신만의 정치적 색깔을 낼 수 있는 입지를 더욱 넓힐 수 있다. 손열 동아시아연구원(EAS) 원장은 “아베 전 총리가 역사 수정주의를 내걸었기 때문에 한국, 중국과 마찰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며 “아베 전 총리의 죽음 이후 자민당 내 강경하고 비판적인 목소리 역시 축소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어 “기시다 총리 입장에서도 당내 최대 파벌의 영수가 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한일 관계에서 자율적·독자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기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아베 전 총리의 죽음을 계기로 일본 정치 지형이 더욱 우경화될 의견도 있다. 최은미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자위대를 헌법에 명기하는 방향의 `개헌`과 `방위비 강화`가 아베 전 총리의 유언처럼 여겨져 이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질 수 있다”며 “일본 국민 여론도 한일 관계에 강경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기시다 총리가 추진력을 갖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시다 총리가 한일 관계 개선에 의지가 있더라도 실제 정치적 환경은 달리 조성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만약 자민당이 압승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헌 발의까지 나선다면 동북아 정세는 또 한번 출렁일 수밖에 없다. 일본은 일제강점기 강제 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각각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 체결, 2015년 한일 외교부장관 위안부 합의로 완전히 해결됐다는 입장을 되풀이해왔다. 당장 큰 변화가 없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진창수 세종연구소 일본연구센터장은 “한국은 진보와 보수로 정치 지형이 양극화돼 있기 때문에 지도자의 유고가 미치는 영향이 굉장히 크다”며 “그러나 일본은 자민당이 장기 집권하고 있고, 기시다 총리도 아베 전 총리와 정치적 이념이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또 일본 정치권이 내부 혼란을 수습하는 데 주력한다면 한일 관계 문제는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도 있다. 한일 관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가 외교적 해법을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영준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는 일본과 사이가 좋지 않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조전을 보낸 사실을 언급하며 “아베 전 총리 장례식이 진행되면 우리 정부도 적절한 특사단을 파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조문 외교를 양국이 신뢰 회복의 계기로 삼고 한미일 협력 관계를 계속 강화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우회전 때 꼭 보행자 확인…개정 도로교통법 12일 시행

보행자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 일시 정지하는 경우의 수 늘어난 것 오는 12일부터 교차로 우회전 시 '일시 정지' 의무가 강화됩니다. 횡단보도가 있는 도로에서 우회전 시 '일시 정지' 의무를 강화한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12일부터 시행돼 경찰도 단속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올해 1월 개정된 보호자 보호와 관련된 도로교통법 27조 1항에는 '모든 차 또는

thumbnail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7
22.07.10
자유주제

장맛비에도 폭염·열대야 계속…덥고 습해 '꿉꿉'

이번 주에 곳곳에서 장맛비가 내리는 날이 많겠습니다. 날은 계속해서 후텁지근해, 한주 내내 폭염과 열대야도 기승을 부리겠습니다. 이번 주 자세한 날씨 전망을 김동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이번주 내내 장맛비가 내리고 폭염과 열대야도 계속돼 날이 많이 꿉꿉하겠습니다. <이광연 기상청 예보분석관> "이번 주는 기압골과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국지성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9
22.07.10
자유주제

"여드름인 줄 알았는데…" 원숭이두창 감염자의 끔찍 경험담

원숭이두창 "절대 겪을 필요 없는 끔찍한 경험" "美 관료주의 보건 시스템 탓 원숭이두창 완전 퇴치 어려울 수도"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의 지역 배우가 원숭이두창에 걸린 경험담을 전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ABC방송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에서 배우로 활동하는 맷 포드(30)는 원숭이두창에 대한 자세한 경험을 틱톡에서 소개했다. 포드는 "사람들에게 원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98
22.07.10
자유주제

'식량 빈곤의 시대' 고물가에 끼니 거르고 유통기한 임박한 상품 골라 찾는다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고물가 현상)이 도래하면서 개발도상국·선진국을 막론하고 모든 서민들이 고통받고 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최근 식량 등 생활 물가가 치솟으면서 전 세계 서민·저소득층은 생활비를 옥죄는 등 긴축에 나서고 있다. 노르웨이에서 푸드뱅크를 운영하는 '마트센트라렌 노르게'는 현재 코로나19로 수요가 증가했던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8
22.07.10
자유주제

'동방불패' 임청하 1800억 초호화 저택 화재…8시간 만에 진압

1990년대 홍콩 영화계를 풍미했던 대만 여배우 린칭샤(임청하)의 1800억원이 넘는 홍콩 저택에 화재가 발생했다. 지난 9일(현지시각) 대만 매체 자유시보와 연합보 등은 지난 8일 오전 0시쯤 홍콩 앤더슨가에 위치한 린칭샤의 단독 주택에 불이 나 소방차와 구조대가 출동했다고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불길은 쉽게 잡히지 않았고 8시간 만에 겨우 진화됐다.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8
22.07.10
자유주제

신차구매방법 도와주십쇼행님들

행님들 첫차 뽑으랴는데 제가알기로는 렌트 리스 할부 각각다른거아닌가여? 구매상담가니까 렌트 리스밖에없네요 선수금치고 할부로 구매할생각인데 견적어떻게 받나요? 하 제가 못하는건지 그런건 없는건지 ㅠ

기운찬곰|22.07.10
like-count4
commnet-count2
view-count1,052
22.07.10
자유주제

순대국 집 중에 오래된 집이나 몇십년 전통? 이런 집은 아니지만 미쳤네요ㅋㅋ

제가 그동안 먹어본 순대국집 중 순대국 베스트3 안에 드는 집 으로 선정입니다ㅋㅋ

thumbnail
동탄 현마허|22.07.10
like-count2
commnet-count6
view-count695
22.07.10
자유주제

전시에도 토레스는 인기군요

슷하필드에 전시를 하나봅니다 트래버스 전시때도 사람들 꽤 있긴하든데 토레스 흥해라

GoFoward|22.07.10
like-count2
commnet-count4
view-count1,218
22.07.10
자유주제

Xc40 vs glb250

옵션이 glb가 좀 떨어지고.. 크기랑 뒷좌석이 xc40이 좀 작아서 고민입니다. Gv70 등등 계약을 다걸어놨는데 시승을 해보니, 뭔가 답답한 느낌이라 조언을 구합니다 X3는 출고까지 예산 초과로 생각 안했습니다

데일데일리밴드|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5
view-count1,312
22.07.10
자유주제

연일 폭염에 '아슬아슬'…전력 수급관리 나선 정부

요즘 에어컨 없이는 밤잠 들기 어려우시죠. 때 이른 폭염과 코로나19로 못 갔던 휴가 인파가 몰리면서 전력 사용량에는 경고등이 켜졌는데요. 산업부 장관은 휴일에 발전본부를 찾아 여름철 수급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이은정 기자입니다. [기자] 체감온도가 35도를 넘나들 정도로 가마솥더위였던 지난 7일. 오후 5시가 넘어서자 최대 전력수요가 9만2,9

vi|22.07.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3
22.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