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카카오모빌리티 사모펀드에 팔리면 인력 이탈 불가피"

vi

Lv 103

22.07.12

view_cnt

1,216

카카오 노조 "기술투자 지속 의문...빈껍데기만 남는 악순환" 우려 “카카오모빌리티가 사모펀드(MBK파트너스)에 팔리면, 당연히 인력 이탈이 생길 수밖에 없다. 운영에서도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카카오는 택시, 대리운전 사업뿐 아니라 자율주행과 서비스형모빌리티(MaaS), 도심항공교통(UAM) 등 기술 투자를 병행하고 있는데, (사모펀드 인수 시 기술 투자가) 계속 진행될지 의문이 든다.” 11일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지회(카카오 노동조합, 크루유니언)가 서울 중구 상연재에서 연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반대 기자회견에서 서승욱 카카오 노조 지회장은 이렇게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엔 카카오 노조를 비롯, 전국대리운전노동조합, 라이더유니온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플랫폼 노동자 생존권을 보장하고,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 데 카카오가 역할 해야 한다고 공통된 목소리를 냈다. 택시, 대리운전 기사, 그리고 이해관계자를 배제한 채 오로지 회사 이익만을 좇는 행태에 반발한 것. 원본보기 (사진=지디넷코리아) 김주한 대리운전노조 위원장은 “현재 카카오모빌리티가 8조5천억원 규모의 기업가치를 달성하기까지, 수많은 노동자의 피와 땀이 섞여 있다”면서 “국민 편의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그간 노력했는데, 이를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카카오가 '먹튀' 경영한다는 지적도 있다. 박영준 화섬노조 수도권지부장은 "상생, 책임경영을 예고한 경영진의 매각 움직임으로, 노동자 불안감은 증대하고 있다"며 "기업 성장이나 기업공개(IPO) 형식이 아닌, 성장해서 곧장 팔아먹는 '먹튀' 행각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사모펀드가 카카오모빌리티를 사들일 경우, 추후 업계에 불어닥칠 부작용이 예견되기도 했다. 정민정 마트노조 위원장은 앞서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코웨이 인수 사례를 통해 "단물 빨아먹으며, 본인들 배만 불리는 격"이라며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를 인수하고, 인력 감축과 함께 매장 처분을 이어갔다"고 꼬집었다. 원본보기 (사진=지디넷코리아) 플랫폼 산업 발전보다, 주로 회사를 비싼 값에 팔아 차익을 얻는 데 초점이 맞춰졌단 전망이다. 정 위원장은 "카카오모빌리티도 (MBK파트너스 인수 시) 같은 일이 반복될 것"이라며 "노동 조건은 열악해지고, 구조조정 위기에 내몰리며 빈껍데기만 남은 회사가 또다시 매물로 나오는 악순환에 빠질 것"이라고 점쳤다. 카카오모빌리티 매각설이 나온 뒤 노조는 지난달 말과 이달 초 두 차례 걸쳐, 경영진과 면담했다. 첫 대화 테이블이 형성됐을 때 김성수 이사회 의장과 배재현 최고투자책임자 등이 나서 소통했지만, 두 번째 회담에선 김 의장이 불참했다. 당시,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 대신 2대주주 전환 등 얘기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최근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과 협의의 장(場)을 마련해줄 것을 사측에 요구했지만, "(매각) 최종 결정자는 김성수 의장"이라며 카카오는 일축했다. 서승욱 지회장은 "전 재산 절반을 사회에 기부하기로 약속한 김범수 센터장이, 사모펀드에 회사를 매각하려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했다. 노사는 이달 내 3차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카카오 전 계열사 임직원 1만5천명을 대상으로 한 매각 반대 서명운동을 지속한다. 현재 참여 인원은 1천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또 카카오 판교 사옥 앞 피켓 시위, 카카오모빌리티와 단체교섭 등 매각 반대와 노동조건 개선을 위한 후속 단체행동에 나설 방침이다

댓글

2

GoFoward

Lv 102
22.07.12

아무래도....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울트라맨8

Lv 116
22.07.12

그럴수밖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5G 중간요금제 8월 나온다

SKT 요금제 신고 이어 KT LGU+ 중간요금제 개편 가세 다음달 통신 3사의 5G 요금제에 대대적인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단순히 5G 중간요금제를 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5G 요금 상품에 대한 재설계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정창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정책관은 11일 대한상의에서 열린 이종호 장관과 통신 3사 CEO 간담회 이후 브리핑을 통해 “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69
22.07.12
자유주제

"안 쓰고 버틴다"…MZ세대에 번지는 '무지출 챌린지'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말이 어느 때보다 와 닿는 요즘, 맘껏 쓰면서 살자는 '욜로족'은 이제 옛말이 됐죠. 대신 한 푼도 쓰지 않고 하루를 버티는 무지출 챌린지가 2030세대를 중심으로 번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윤지원 기자가 직접 도전해 봤습니다. 【 기자 】 한 30대 여성이 일주일 동안 외식 등 소비를 하지 않고 냉장고에 있는 식재료로만 끼니를 해결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70
22.07.12
자유주제

무인점포 3분 만에 싹쓸이…21곳 턴 10대 2인조

두 달 동안 서울 금천과 관악구 일대에서 21곳의 무인점포을 돌며 돈을 훔친 10대 2인조 절도범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둘 다 14살이 넘어 촉법소년은 아니었는데, 점포 하나를 터는데 3분이면 충분했습니다. 이규연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 기자 】 한 남성이 가게 안으로 뛰어들어오더니, 손에 든 절단기로 단말기 자물쇠를 끊고 사라집니다. 잠시 뒤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45
22.07.12
자유주제

"재유행에도 '야외 마스크' 강화 없다"…영업시간·인원 그대로 '유지'

코로나가 다시 확산하면서 정부가 모레(13일) 추가 대책을 발표합니다. MBN 취재 결과, 야외에서 마스크를 다시 쓰거나 요양병원 면회와 영업시간을 제한하는 것은 검토 대상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현재 의료체계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판단입니다. 정태진 기자가 단독으로 보도합니다. 【 기자 】 1주일 만에 확진자가 2배씩 불어나는 '더블링' 현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1,195
22.07.12
자유주제

"차도·보도 분리 안 된 도로에선 보행자 우선"

주택가, 상가 이면도로 등 보도와 차도가 분리되지 않은 도로에서 보행자가 차량을 피하지 않고도 통행할 수 있는 보행자우선도로 제도가 전국 21곳에서 우선 도입됩니다.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은 보행자우선도로를 도입하는 일명 '보행안전법'과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내일(12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습니다. 보행자우선도로에서 보행자는 도로의 전 부분으로 통행할 수 있

vi|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662
22.07.12
자유주제

도로 달리던 일가족에 날아든 '판스프링', 차량 관통했다

일가족 탄 차 앞유리창 덮친 '판스프링' 인명피해 없었지만 뒷유리창 관통 원본보기 지난 10일 A씨가 운전하는 차량에 화물차 판스프링으로 추정되는 물체가 날아들고 있다.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고속도로를 달리는 차량에 화물차 판스프링으로 추정되는 물체가 날아와 앞 유리창을 관통하는 아찔한 사고가 발생했다. 11일 경기남부경찰청 고속도로순찰대 등에

vi|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2
view-count662
22.07.12
자유주제

"알바생입니다" 편의점 금고 털고 도주한 20대男

아르바이트생이라고 속여 편의점 금고에서 돈을 훔쳐 달아난 20대 남성을 경찰이 쫓고 있다. 광주 서부경찰서는 절도 혐의로 A(20대 중후반 추정)씨를 추적 중이라고 11일 밝혔다. A씨는 전날 오후 1시쯤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에 있는 한 편의점에서 자신을 아르바이트생이라고 속인 뒤 금고에서 돈을 훔쳐 달아난 혐의를 받는다. A씨는 당시 근무 중이던

vi|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2
view-count851
22.07.12
자유주제

동탄 아파트 수영장 설치 주민, 적반하장→사과…"아이들 큰 상처"

경기도 동탄의 한 아파트 내 공용 공간에 무단으로 대형 에어바운스(공기를 불어 만드는 이동식 놀이터) 수영장을 설치해 논란을 일으킨 입주민이 일이 커지자 사과문을 올리고 사태 수습에 나섰다. 11일 해당 입주민 A씨는 "물놀이장을 설치해 물의를 일으킨 입주민"이라 밝히며 "정중히 사과드린다"고 머리를 숙였다. 그는 "지난 9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

vi|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2
view-count889
22.07.12
자유주제

"콘칲·케챂 원료 바뀌었다"… 전쟁·곡물값 급등 후폭풍

러시아와 우크라나이 전쟁 등에 따른 곡물가격 급등으로 식품업체들이 대체 원료를 쓰거나 배합 비율을 바꾸고 있다. 곡물가격 급등과 수급불안을 견디지 못한 탓이다. 11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크라운제과는 대표 스낵 제품인 '크라운 C콘칲' '콘치' 등 13개 제품에 해바라기유 대신 채종유(카놀라유)를 쓰기로 했다. 전세계 해바라기유 수출량의 75% 이상이 러시

vi|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75
22.07.12
자유주제

공중화장실 에어컨 훔쳐 처갓집에 설치한 공무원

해변 공중화장실 에어컨을 시청 공무원 떼서 훔쳐가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훔친 에어컨을 처갓집에 설치했다고 합니다. 강경모 기자입니다. [기자] 회센터 공중화장실 옆에 화물차 한 대가 멈춰 섭니다. 차량에서 내린 두 남성, 화장실 주변을 분주히 움직입니다. 트럭 짐 칸에 무언가를 싣고 유유히 빠져 나갑니다. 속초시청 소속 공무원 두 명이 화장실에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378
22.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