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전고체전지 다가온다"…ETRI, 차세대 소재 개발

vi

Lv 103

22.07.12

view_cnt

1,161

전고체전지용 전도성 음극 바인더 개발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전지용 핵심 소재를 개발했다. 전고체전지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2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환경친화적인 소재인 셀룰로오스 기반 전도성 바인더를 개발해 전고체전지 음극에 적용했다고 밝혔다. 해당 성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에너지 스토리지 머티리얼즈’에 게재돼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차세대 이차전지로 각광받는 전고체 이차전지는 전지 내부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바꿈으로써 안전성과 에너지 저장 밀도를 높인 전지 시스템이다. 전고체전지는 배터리 내부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바꾼 제품이다. 높은 안정성과 에너지 밀도가 특징이다. 음극은 양극에서 이동한 리튬이온 저장소 역할을 한다. 음극재는 배터리 충전 속도와 수명 등을 결정한다. 이번에 개발한 전도성 바인더는 음극에 적용되는 음극재 일종이다. 바인더는 전극 구성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함량이지만 활물질에 도포돼 전하 전달이 용이하도록 접착력을 부여한다. 다만 에너지전달 효율 및 성능을 높이기 위해 활물질 입자 간 계면 저항을 낮추는 이온 전도성 바인더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연구진은 상용화된 셀룰로오스계 소재를 이용해 대량생산에 최적화된 산처리 공정을 통해 고품질 이온 전도성 바인더를 개발했다. 이를 적용해 새롭게 만든 전극 구조는 제조공정 단순화 및 에너지 밀도 극대화를 위해 전해질 성분이 완전히 배제됐고 더 많은 활물질로 구성된다. 연구진은 다양한 전기화학 평가 및 분석을 통해 기존 비전도성 바인더 대비 충방전 과전압 약 30% 감소 및 고율 충방전 성능 약 40% 증가 등 흑연 활물질 입자 계면에서 전도성 향상 효과를 확인했다. 과전압이 감소하면 배터리 내부 저항이 감소하는 만큼 안정적 구동 및 배터리 수명 연장을 기대할 수 있다. 고속 충전 시 에너지전달 효율을 유지해 충전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연구를 주도한 ETRI 신동옥 박사는 “전도성 바인더 소재를 전고체전지에 도입하면서 입자 간 리튬이온 전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성공했다”며 “전극 내 전해질 성분을 배제해 기존 배터리 제조공정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 고성능 전고체전지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이번에는 바인더 소재의 흑연 전극 적용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향후 전고체전지용 고에너지밀도 전극 구현을 위해 고용량 음극 소재로의 확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전고체전지 다가온다'…ETRI, 차세대 소재 개발

'전고체전지 다가온다'…ETRI, 차세대 소재 개발

사이트 방문

댓글

2

대물

Lv 27
22.07.12

내용 대로라면 전고체 특성상 화재 폭팔 위험성 적고 고속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인데 개발은 했지만 상용화 까지 추가 연구개발 시간, 대량생산 시설 확보, 안전된 수율 확보 까지하면 10년 이상 거릴 듯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7.12

전기차도 먼 미래의 얘기였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소나타n라인

소나타n라인 몰아보니 맘에들어서 그러는대 내년에 풀체인지 나온다고하는대.구매해도 될지고민이내요.지금 모델 끝물인듯 한대요.자동차에대해서 잘 아시는분 조언부탁드립니다.아님 비슷한 차량이 잇는지요.참고로 세단으로 몰기도 갠찬고 달리기도 좋아서 소나타n라인 문의드려요

트윈파더 |22.07.12
like-count2
commnet-count4
view-count796
22.07.12
HOT
자유주제

아우디 사진 몇장 공유합니다!

부족한 실력이지만 좋게 봐주세요..!ㅎㅎ

thumbnail
씨삼백|22.07.12
like-count15
commnet-count42
view-count3,222
22.07.12
자유주제

양보운전 부르는 '신사' 같은 SUV…전기차 매력까지 더했다

볼보가 주는 이미지는 '젠틀'하다. 다른 수입차와 비교했을 때 특히 그렇다. 그래서인지 자동차 기자로서 여러 차를 시승해 봤지만 볼보에 오르면 유독 '점잖은 드라이버'가 된다. 최근 시승한 볼보의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C90 리차지'도 마찬가지였다. 심플하면서도 매력적인 디자인과 안전할 것이라는 심리적인 안정감, 여기에 배터리로 수십 ㎞를 달

GoFoward|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68
22.07.12
자유주제

K-배터리 빅 3, '1800명' 우수 인재 확보에 사활 걸었다

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가 폭발적인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성장통을 앓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인력난 해소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3사는 급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에 반해 턱 없이 부족한 배터리 인력을 확보에 사활을 걸었다. 이들은 인력난 해소를 위해 대규모 포럼을 열고 주요 임원들이 직접 인력 발굴에

GoFoward|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48
22.07.12
자유주제

2년 만에 3만→8만 4000대 판매…기아, 친환경차 공략 고삐 죈다 [뒷북비즈]

올해 상반기 친환경차 분야에서 국내 판매 8만대를 돌파하면서 점유율 1위에 올랐다. 12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올 상반기 국내에서 친환경차 8만 4659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상반기 기록한 판매량 4만 3350대의 두 배에 달하는 역대 최고치다. 기아가 올 상반기 국내에서 판매한 전체 차량(26만 2532대) 중 친환경차의 비율은 32.2%에 달

GoFoward|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7
22.07.12
자유주제

날개 단 친환경차 판매… 내수도 수출도 ‘훨훨’

국내외 친환경차 판매가 날개 달린 듯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올해 자동차 수출 금액에서 친환경차의 비중이 처음으로 30%대를 넘어섰고, 국내외 완성차 브랜드의 친환경차 내수는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성장했다. 11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5월 자동차 수출 금액은 204억 5300만 달러(약 26조 5889억원)로, 이 가운데 친환경차

GoFoward|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9
22.07.12
자유주제

[배터리소재 거래소 첫 설립] 400% 뛴 리튬 가격에 질린 K배터리 3사 '숨통' 기대감

내에 배터리 소재 거래소가 출범할 것으로 보이면서 광물 가격 급등으로 수익성 위축을 우려했던 배터리 3사의 고민이 다소 해결될 것으로 관측된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린 탓에 주요 배터리 소재인 리튬·코발트·니켈 등 가격이 고공 행진했으나 거래소 탄생으로 수급 불안이 다소 진정될 것이라는 시각이다.

GoFoward|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32
22.07.12
자유주제

중국에 전기차 더했더니…2개월 만에 50% '대박'

"따라올 종목이 없다." 한동안 조정을 받다가 최근 들어 다시 고공행진 중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상장지수펀드(ETF)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를 두고 한 증권가 관계자가 뱉은 말이다.

GoFoward|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7
22.07.12
자유주제

수입차 10대 중 4대는 친환경이지만 폭스바겐·지프 '0'...벤츠 나홀로 2만대 기록 돌파

수입차 시장에서도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전기차 등 친환경차량의 인기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상반기 판매량을 살펴보면 메르세데스 벤츠, BMW 등 수입차 판매량 1, 2위를 다투는 두 브랜드의 인기는 친환경차량에서도 여전하다. 볼보, 토요타·렉서스 등은 전체 시장보다 친환경 시장에서 순위가 더 높았다. 12일 한국수입차협회(KA

GoFoward|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19
22.07.12
자유주제

"4대 중 1대가 전기차"…中, 올해만 전기차 500만대 팔린다

중국 전기차 판매가 연일 급증하고 있다. BYD 등 중국 전기차업체의 판매 증가로 6월 전기차 판매대수가 53만대를 돌파했으며 올해 500만대 돌파도 가능할 전망이다. 10일 증권시보는 중국승용차연석회의(CPCA)를 인용해, 6월 중국 승용차 판매대수가 194만 대로 전월 대비 43.5% 증가하는 등 확연한 회복세에 진입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6월 전기차

GoFoward|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2
22.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