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애플 보상금 없지만"…삼성D, 비수기 선방한 이유는

vi

Lv 103

22.07.13

view_cnt

655

2분기 영업익 8000억~1조원 추산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일회성 비용 제외, 계절적 비수기, 모바일 시장 침체, 중소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경쟁 심화, 액정표시장치(LCD) 사업 적자…’ 지난 2분기 삼성디스플레이가 직면한 대내외적인 변수다. 여러 부정적 요인으로 인해 실적 부진이 짐작되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2022년 2분기 삼성디스플레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조4000억원, 9000억원 내외로 추정된다. 일부 증권사에서는 이 기간 영업이익 1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통상 2분기는 디스플레이 시장 비수기다. 프리미엄 스마트폰 출시가 1분기 또는 3분기, TV와 노트북 등 신제품 판매가 1분기 또는 4분기에 몰린 영향이다. 그럼에도 삼성디스플레이는 최근 수년간 2분기에 선방할 수 있었다. 애플과의 특수한 관계 덕분이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10년대 중후반만 해도 중소형 OLED를 단독 납품했다. 스마트폰 패널을 LCD에서 OLED로 교체를 추진한 애플은 삼성디스플레이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대형 고객사인 애플을 위해 전용라인을 운영하면서도 절대적 지위를 내세워 안전장치를 마련했다. 다년 계약을 체결하면서 그 해 제안한 물량만큼 가져가지 않을 시 보상금 개념의 비용을 받기로 한 것이다. 까다롭기로 유명한 애플의 협력사 중 유일한 사례다. 지난 2019~2021년 2분기 실적발표 때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일회성 수익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아이폰X’ ‘아이폰11’ 시리즈와 ‘아이폰12미니’가 예상보다 팔리지 않으면 애플은 3년 연속 1조원에 가까운 금액을 삼성디스플레이에 제공했다. 예정대로 출하됐다면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었겠으나 특약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했다. 2020년 전후로 LG디스플레이와 중국 BOE가 애플 공급망에 진입하면서 삼성디스플레이 독점 체제는 막을 내렸다.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일부 분배가 이뤄진 상태다. 마침 지난해를 끝으로 특수 조항이 사라지면서 올해 2분기부터는 일회성 수익을 기대할 수 없게 됐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으로 정보기술(IT) 기기 판매량이 감소하면서 애플 보상금마저 사라진 삼성디스플레이는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우려됐다. 해당 기간 삼성디스플레이가 기대 이상 성과를 낸 데는 2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LCD 사업이 종료 단계에 들어선 점. 중국 제조사들이 저가물량 공세로 LCD 시장을 장악하면서 국내 디스플레이 회사의 LCD 수익성은 큰 폭으로 악화했다. 삼성디스플레이 역시 수년간 적자에 시달리면서 지난 2020년 3월 LCD 사업 종료를 선언했다. 삼성전자 요청으로 계획보다 철수 시점이 늦어지기는 했으나 점차 생산량을 줄여왔다. 지난 2분기에는 주문을 받아놓은 물량을 처리하는 수준이었고 6월부터는 제조를 중단했다. 적자였던 LCD 규모가 미미했던 만큼 실적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았다. 또 다른 요소는 중소형 OLED 존재감 확대다. 시장조사기관 스톤파트너스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유연한(플렉서블) OLED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 점유율은 59.4%다. 전년동기(48.5%)대비 10%포인트 이상 올랐다. 스톤파트너스는 BOE와 LG디스플레이의 아이폰 패널 공급 감소, 삼성전자 ‘갤럭시S22’ 시리즈 물량 추가 제공 등을 점유율 상승 요인으로 꼽았다. BOE는 아이폰용 OLED 설계를 임의로 변경하면서 애플이 주문량을 축소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 출시한 아이폰13 시리즈의 경우 상위 모델을 삼성디스플레이가 독점했기 때문에 시간이 흐를수록 LG디스플레이 대비 영향력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계절적 성수기로 꼽히는 3분기는 삼성디스플레이에 긍정적이다. 우선 LCD 사업은 지난 2분기를 끝으로 완전히 끝났다. 아울러 퀀텀닷(QD)-OLED는 수율(완성품 중 양품 비율) 상승에 따른 수익구조 개선이 기대된다. 현재 85% 이상 수율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진다. 고객사 관련해서는 앞서 언급한 대로 BOE는 아이폰 신작에서도 수주 물량이 제한적일 가능성이 있다. 일부는 삼성디스플레이로 넘어온다는 의미다. 4세대 접는(폴더블) 스마트폰을 출시하는 삼성전자는 전년대비 2배 이상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라인 안정화로 폴더블 패널 수익성이 증대된 가운데 공급 수량까지 늘어나는 금상첨화다.

댓글

4

GoFoward

Lv 102
22.07.13

삼성이 그래도 버티네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7.13

대단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울트라맨8

Lv 116
22.07.13

다행이네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7.13

네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교촌치킨 배달비 또 올렸다…"생닭 한마리 가격이 배달비"

국내 치킨 프랜차이즈 1위인 교촌치킨의 일부 가맹점이 최근 배달비를 기존 3000원에서 4000원으로 33% 인상했다. 이에 따라 치킨 한 마리 가격 대비 배달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3.5%로 다시 커졌다. 이와 관련 인터넷 상에 네티즌들은 교촌치킨 배달비 인상에 부정적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정작 교촌치킨은 "배달비는 순전히 가맹점주 재량"이라

vi|22.07.13
like-count1
commnet-count4
view-count663
22.07.13
자유주제

철밥통 공무원 더 안 늘린다…공시생 유탄 맞나?

앞선 정부에서 늘어난 공무원 인력, 조직에 대해 새 정부가 메스를 대기로 했습니다. 16년 만에 정부 조직에 대한 진단검사를 벌여, 공무원을 매년 1%씩 줄이기로 했는데요. 공무원들의 반발은 물론 공시생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윤지혜 기자,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정부 인력운영 방안 어떤 내용이 담겼습니까? [기자] 행정안전부는

vi|22.07.13
like-count1
commnet-count4
view-count715
22.07.13
자유주제

"굳이 왜"…'감기약 품귀'에도 제약사가 느긋한 이유는

코로나19 재유행 조짐에 일선 약국 곳곳에선 다시 감기약 품귀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제2의 감기약 대란 걱정이 커지는데, 제약사들은 의외로 느긋한 모습인데요. 이유가 뭔지 취재했습니다. 문세영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겨울 전국적인 품절 대란을 겪었던 타이레놀. 하지만 이 약국의 발주 프로그램엔 며칠째 재고가 '0'입니다. 타이

vi|22.07.13
like-count1
commnet-count4
view-count1,180
22.07.13
자유주제

남의 집서 몰래 샤워…고성 '카니발 가족'의 최후

강원 고성에서 물놀이를 한 후 일면식이 없는 20대 여성의 자취방에 들어가 화장실을 무단으로 이용해 논란이 됐던 가족이 경찰에 입건됐다. 12일고성경찰서는 30대 남성 A씨와 40대 남성 B씨를 주거칩입 혐의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A씨 등은 지난달 25일 고성지역에서 자취를 하는 20대 C씨의 집에 무단으로 들어가 자녀들을 데리고 화장실에서 샤워한

vi|22.07.13
like-count1
commnet-count4
view-count663
22.07.13
자유주제

"주식 투자는 겁나, 돈 맡길 곳은 은행뿐" 예·적금으로 머니무브… 5월 통화량 30조↑

올 5월 시중통화량이 30조원 가까이 늘면서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예적금 금리가 오르면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시중 자금이 정기 예적금으로 빠르게 몰리고 있다. 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5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 5월 시중 통화량은 광의통화(M2·계절조정계열·평잔) 기준 3696조9000

vi|22.07.13
like-count1
commnet-count4
view-count1,030
22.07.13
자유주제

우크라 곡물 수출 위한 4자 회담, 13일 이스탄불에서 열려

우크라이나 침공과 흑해 봉쇄로 세계적인 식량 위기를 초래했다는 비난을 받는 러시아가 오는 13일(현지시간)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흑해 곡물 운송을 위한 4자 협상을 하기로 했다. 러시아 인테르팍스통신에 따르면 표트르 일리이체프 러시아 외무부 국제기구국 국장은 12일 발표에서 "우크라이나 곡물 운송 문제 논의를 위한 러시아, 튀르키예 양국 국방부 간 협의가

vi|22.07.13
like-count1
commnet-count4
view-count813
22.07.13
자유주제

'빅스텝' 예고에 잠못드는 영끌족… 은행 "시중금리엔 선반영"

한은 사상 첫 0.5%p 인상 초읽기 예금·대출금리 얼마나 오를지 촉각 금융채 기준금리는 미리 움직여 은행권 "급격한 조정은 없을 것" 원본보기 한국은행은 13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사상 처음으로 빅스텝(기준금리 0.5%p 인상)을 단행할 전망이다. 12일 경기 수원의 한 공사현장 외벽에 은행 금리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스1 한국은행이 13일 기준

vi|22.07.13
like-count1
commnet-count4
view-count803
22.07.13
자유주제

“바닥 찍은 車·반도체 투자비중 늘려라”

윤지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설비투자 늘리는 업종 유망, 반도체·유통 반등 가능성 신저가 기록한 네이버, 카카오 IT플랫폼 반등 어려워 원본보기 윤지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이 12일 서울 순화동 KG타워에서 열린 ‘이코노미스트 2022 하반기 경제포럼’ 에서 강연하고 있다. [신인섭 기자] 하반기에도 증시 불안은 지속되겠지만, 투자에서는

vi|22.07.13
like-count1
commnet-count4
view-count665
22.07.13
자유주제

“자산 거품 붕괴 중…내년 상반기 매수할 기회”

“구조적인 저성장·저금리 시대에 접어들었습니다. 모든 자산의 거품은 붕괴되는 과정에 있습니다. 이건 다르게 보면 싼 자산을 매입해서 부자가 될 기회가 오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정확한 시기를 맞힐 수는 없지만 내년 상반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KG타워하모니홀에서 열린 ‘2022 이코노미스트 하반기

vi|22.07.13
like-count1
commnet-count4
view-count862
22.07.13
자유주제

10명 중 9명은 현대·기아를 탄다[현기차 대안을 찾아서

국내 완성차 점유율 현대·기아 90% 임박 현대·기아 60여종 vs 쌍용·르노·지엠 20여종 "수요 독점 시장, 앞으로 나아질 것으로 기대 국내 완성차 업계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국내 시장점유율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합산 점유율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며 90%까지 넘보고 있는 상황이다. 양사의 꾸준한 경쟁력 강화도 이유지만

vi|22.07.13
like-count1
commnet-count4
view-count721
22.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