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테슬라 꼼짝마! 글로벌 1위 따라잡는 ‘전기차의 거인’

GoFoward

Lv 102

22.07.13

view_cnt

660

중국 전기차 거인(BYD)의 굴기 뒤에 숨어 있는 ‘괴짜(nutty)’ 교수.” 영국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FT)가 10일 중국 1위 전기차 기업이자 세계 3위 배터리 제조사 BYD의 약진을 분석하면서 단 기사의 제목이다. 괴짜 교수는 BYD의 창업주이자 CEO(최고경영자)인 왕촨푸(56)다. BYD는 올해 상반기 총 64만대의 친환경차(전기·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를 팔아 테슬라(56만대)를 제치고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량 1위에 올랐다. BYD의 시가총액은 약 164조원으로, 테슬라·도요타에 이어 세계에서 셋째로 시가총액이 높은 자동차 회사가 됐다.
테슬라 꼼짝마!  글로벌 1위 따라잡는 ‘전기차의 거인’

테슬라 꼼짝마! 글로벌 1위 따라잡는 ‘전기차의 거인’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HOT
자유주제

[정보공유] 포르쉐 7월자 기준 대기현황

1. 타이칸 차종별 [18개월] ㄴ계약량 증가로 2개월 후에 7월 대비 약 6개월 정도 대기 기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2. 911 [4년] 3. 카이엔 [2년 6개월] 4. 파나메라 [2년 6개월] 5. 마칸 [2년 6개월] ※ 차량 스탁 없음 딜러분께 받은 정보입니다. 타이칸 고민중인분들은 하루라도 빨리 넣으시는거 추천

thumbnail
탈퇴자|22.07.13
like-count14
commnet-count23
view-count6,384
22.07.13
자유주제

현대차 울산에 전기차 클러스터 만든다…29년만에 국내 공장 신설

현대차가 29년 만에 국내에 신규 공장을 짓는다. 2조원이 투입될 새 공장은 연 15만대 생산이 가능한 첫 전기차 전용 공장으로, 내년에 착공해 2025년 준공 예정이다. 국내에 현대차 신규 공장이 들어서는 건 1996년 아산공장 건설 후 처음이다. 현대차는 그간 강성 노조와 낮은 생산성 때문에 국내에 새 공장을 짓지 않았다. 현대차는 10년 만에 생산·기

GoFoward|22.07.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07
22.07.13
자유주제

미국 시장을 두드리는 한국 전기차 충전업체

미국은 테슬라로 대변되는 전기차의 중심 시장입니다. 테슬라의 성공 이후에 루시드, 리비안 등 수많은 전기차 스타트업들이 생겨나 성장하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최근 고유가 상황은 전기차 확산에 속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빠르게 늘어나는 전기차에 비해 충전인프라는 아직 부족한 상황입니다. 충전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미국 시장에 한국 전기차

GoFoward|22.07.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3
22.07.13
자유주제

테슬라, 또 230명 해고...지난달 '자율주행' 부서 200명 감축에 이어

1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테슬라가 캘리포니아 산 마테오 매장의 직원 229명을 해고하고 사무실을 영구적으로 폐쇄한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테슬라는 이에 앞서 지난달 비용 절감을 위해 자율주행 보조 기능인 '오토파일럿' 관련 부서 직원 200여 명을 해고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22일 블룸버그통신 주최로 열린 카타

GoFoward|22.07.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0
22.07.13
자유주제

기자의 '눈')한국, 전기차 생산 허브 되려면

현대차가 12일 국내에 전기차 공장을 짓겠다고 전격 발표했다. 노사와 합의된 사안으로 내년부터 착공에 들어가 2025년 완공이 목표다. 현대차 노조가 최근 임금협상 중 파업을 운운하며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상황에서 이뤄진 합의인 만큼 업계에선 예상치 못했다는 반응이다. 노조가 파업을 벌이면 조 단위의 손실이 불가피해 사측이 대승적인 결정을 내린 것으로

GoFoward|22.07.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244
22.07.13
자유주제

LG화학·롯데케미칼, 배터리 소재 사업 확장…투자금 확보 '속도'

LG화학과 롯데케미칼이 전기차 배터리 소재 사업 확장을 위한 투자금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빠르게 성장하는 전기차 사업에 발을 맞추는 동시에 석유화학의 실적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배터리 소재 사업에 수조원을 투자하기로 약속한 만큼 추가적인 자금 조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13일 화학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이달 3억달러(약 39

GoFoward|22.07.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7
22.07.13
자유주제

버핏, 中 토종전기차 비야디 지분 털어내나...주가 폭락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이 중국 토종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 지분을 매각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이 높아지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배런스 등 외신에 따르면 비야디 지분 20.49%가 홍콩증권거래소(HSE) 중앙 청산결제시스템(CCSS)에 올라왔다.

GoFoward|22.07.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79
22.07.13
자유주제

엉따' 구독 논란 BMW "유럽만 적용, 한국은 제외"

BMW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른바 '엉따'(엉덩이 따뜻)로 불리는 '열선시트' 기능을 구독 서비스로 출시한다는 소식을 전하자 국내 소비자들이 반발했다. BMW 측은 해당 내용이 사실과 다르게 해석됐다는 입장이다. 13일 BMW그룹 코리아에 따르면 최근 홈페이지 '커넥티드드라이브 스토어'에 실내 온열 기능 구독 판매 내용을 공개했다.

GoFoward|22.07.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5
22.07.13
자유주제

렉서스, NX·UX 덕에 판매 90% 성장…하반기 질주 잇는다

토요타의 프리미엄 브랜드 렉서스가 지난달 수입차 시장에서 90%에 육박하는 판매 증가율을 기록했다. 벤츠와 BMW를 포함한 25개 수입차 브랜드 중 가장 높은 수치로, 최근 출시한 전동화 SUV 3종의 신차 효과와 빠른 출고를 이어간 결과다. 렉서스가 하이브리드차에 이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로 라인업을 확대한 만큼 하반기 판매 반등 분위기를 유지할

GoFoward|22.07.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6
22.07.13
자유주제

LS그룹, 전기차 사업서 '퀀텀 점프' 이뤄낼까

구자은 LS그룹 회장이 올해 초 취임 이후 주력 사업과 신사업의 시너지(동반 상승)를 극대화한다는 ‘양손잡이 경영’을 내세우며 전기차(EV)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취임 이후 지난 4월 전기차 충전 사업을 영위할 LS이링크를 신설하고, 5월에는 LS EV코리아의 전기차 부품 전용 공장 준공식에 참여하는 등 구체적인 행보도 보였다.

GoFoward|22.07.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2
22.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