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역대급 기준금리 인상…부동산 시장 ‘빙하기’ 오나

vi

Lv 103

22.07.14

view_cnt

855

이자 부담 급증에 ‘영끌·빚투’족 긴장↑ “부동산 투자 신중해야”…양극화 우려 나와 원본보기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모습.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포인트(p) 올리는 ‘빅스텝’을 사상 처음으로 단행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비상에 걸렸다. 특히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빚투(빚내서 투자)'족들의 이자부담이 커지면서 고민이 깊어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13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올리는 사상초유의 빅스텝을 단행했다. 지난해 7월 0.5%였던 기준금리는 8월과 11월, 올해 1월과 4월, 5월, 7월 등 6번의 금리인상을 거쳐 2.25%로 1년 만에 1.75%p 급등했다. 연말까지 국내 기준금리가 2.75%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면서 주택담보대출금리 인상으로 인한 가계 대출 이자 부담도 상당히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6%대 중반을 넘어선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상단도 올해 말께 7%대를 넘어 8%에 근접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는 금융소비자 입장에서 금융위기 이후 약 14년 만에 경험하는 금리 수준이다. 실제 지난 2008년 12월과 2009년 1월 국내 기준금리는 각각 3%와 2.5%를 기록했었다. 당시 주담대 금리(신규)는 각각 6.81%와 5.63%까지 치솟은 바 있다. 이자 부담 급증…영끌·빚투족 ‘빨간불’ 시장에서는 향후 5~8% 미만의 가계대출 금리를 지불하는 차주 비중이 전체 대출자 중 50%를 넘기게 되면 가계 경제나 부동산 시장도 상당한 압박감을 느낄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특히 최근 2년 사이 레버리지(차입투자)를 활용해 공격적으로 자산을 사들인 영끌족, 빚투족에게는 경고등이 켜졌다. 대출자 중에서는 올해 말 연 상환액이 기존보다 30% 이상 급증하는 경우도 적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함영진 직방 랩장은 “한동안 집값이 제자리에 머물거나 떨어질 가능성이 보이는 상황에서 높은 이자 부담을 감수하면서까지 대출로 무리하게 집을 사는 의사결정은 어려운 문제일 수밖에 없다”며 “깊은 거래 관망 속 저조한 주택거래와 가격 약세장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는 “일반적으로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자금들이 금융시장으로 이동하고, 현재 부동산 시장도 가격이 너무 많이 올랐다는 피로감 등으로 하향 안정 기조로 갈 것으로 예상이 된다. 특히 영끌 세대의 경우 급매물도 좀 출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미 최근 주택시장은 거래·가격·분양(청약) 등 다양한 지표에서 위축·둔화된 모습을 보인다. 올해 5월까지 전국 총 주택 거래량은 46만4832건으로 전년 동기 74만7468건의 62%에 머물고 있다. 영끌 세대의 대표 주자였던 20~30대 주택 매입 비율은 5월 현재 25.03%로 지난해 동기 27.19%보다 2.16%p 감소했다. 주택 거래절벽 ‘지속’…청약시장도 ‘냉각’ 조짐 원본보기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한국부동산원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7월 7일 기준)는 올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이 –0.14%로 지난해 같은 시기 6.93% 변동률과 극명한 대조를 보인다. 아파트 청약열기를 대변하는 1순위 청약경쟁률은 6월 말 기준 11.1 : 1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18.2 : 1보다 감소했다. 같은 시기 서울은 124.7 : 1에서 29.6 : 1로 4분의 1토막이 났다. 서울의 미분양 물량도 점점 늘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서울 미분양 아파트는 688가구로 한 달 전에 비해 328가구(91%) 증가했다. 주택뿐 아니라 오피스텔이나 상가 등의 수익형 부동산 투자도 신중해야 한다는 시각이 나온다. 주택시장의 침체양상이 수익형 부동산시장으로 전이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상업·업무용 부동산 매매 건수는 742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9835건) 대비 25%가량 줄었다. 함 랩장은 “가파른 금리 인상 속 대출이자가 높아지고 있어 여신을 통해 무리한 투자를 한다면 자본이득과 임대(투자) 수익률 모두 저조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주택 임대차 시장의 보증부월세를 포함한 월세화가 지속될 전망이다. 금리 인상으로 인해 전세대출이자 부담이 월세 이율보다 높은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서다. 올해 4월 기준 한국부동산원의 지역별 전·월세 전환율은 전국 5.7%, 서울이 4.8%를 기록했다. 최근 은행권의 전세자금대출 최고 금리가 5% 중후반을 나타낸 상황을 감안하면 전세대출 이자보다 월세 이율이 더 낮은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임대인의 보증금 증액요구를 전세자금 대출로 해결하기보다 자발적 월세로 선택하는 임차인도 느는 추세다. 부동산 시장 접근 “신중해야”…양극화 심화 전망도 전문가들은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높은 지방 아파트나, 연립·다세대 주택임대차는 전세가율이 80%를 넘어 설 경우 보증금 반환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라도 보증금의 일부를 월세로 지불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조언한다. 실제 금리 상승과 함께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깡통전세’에 대한 경고도 나오고 있다.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 상한제) 등으로 전셋값이 크게 오른 상황에서 집값은 하락해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역전세’ 상황이 발생하고 있어서다. 부동산R114가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신고된 전국 아파트 매매·전·월세 가격을 분석한 결과, 매매와 전세 거래가 한 번씩이라도 있었던 총 2만9300건의 거래 중 평균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을 추월한 사례는 7.7%(2243건)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수도권의 사례는 23.6%(529건)였지만 지방은 76.4%(1714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 내 매매 최저가가 전세 최고가보다 낮은 경우로 범위를 확대하면 깡통전세 위험 거래는 16%(4687건)로 늘어났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대출규제 강화 속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시장에서 매매와 민간건설투자 역시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전체적인 폭락이나 하락은 없을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전체적인 부동산 시장 폭락이 발생하면 그땐 집값이 문제가 아니라 국가 경제가 휘청이는 상황이 될 수 있다”며 “그런 사태를 방지하고 시장이 연착륙하도록 정부가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금처럼 대출금리 인상, 경기침체,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는 현재 진행형이라는 상황 등을 감안하면, 양극화가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며 “이건 각 지역의 대장주(또는 대장주에 가까운 순서대로의 주택)와 상급지(지금 사는 곳보다 상대적으로 더 좋은 지역)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댓글

2

GoFoward

Lv 102
22.07.14

금리가 발목이군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7.14

그르네용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잘나가던 中 증시 급락…홀로 웃던 중학개미도 ‘울상’

코로나 재확산·마카오 봉쇄 여파에 상하이·항셍지수 동반 하락 ‘헝다’ 이어 ‘완다’도 디폴트설…“단기 차익실현 매물 대비해야” 원본보기 [게티이미지] 국내외 증시 하락장에도 나홀로 강세를 이어오던 중국 증시가 휘청이고 있다. 중국 내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되면서 상하이 지수와 항셍 지수가 동반 약세를 기록 중이다. 여기에 중국 정부의 빅테크 규제가 지속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62
22.07.14
자유주제

기름값 내리나… SK에너지, 주유소 공급가 ℓ당 150원가량↓

지난주 국제유가 하락 영향 싱가포르 석유제품 가격 하락세도 주요 요인 '횡재세 필요' 여론 영향? 정유업계 "무관" 원본보기 7월 첫째 주(3~7일)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이 전주보다 2116.8원으로 집계됐다. 사진은 10일 서울의 한 주유소 유가정보 입간판 모습.[연합뉴스] 국제 유가‧싱가포르 석유 제품 가격이 하락하면서 국내 정유사들도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1,162
22.07.14
자유주제

갈아탈까? 흔해진 3% 예금·5% 적금…빅스텝에 금리 ‘줄인상’

우리·하나은행,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이후 수신금리 즉시 인상 국민은행, 다음주 금리 인상 계획 원본보기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하자, 시중은행들이 일제히 예·적금(수신) 금리를 올렸다. 이에 따라 은행권에서 연 3%대 예금과 연 5%대 적금 상품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됐다. 우리은행은 한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791
22.07.14
자유주제

"올 여름도 포기해야겠지?"…고물가·재유행에 휴가 접는 직장인들

코로나19 확진자, 1주 단위 더블링 현상 뚜렷 여행 업계 "각국 방역 강화로 여행 수요 꺾일라" 우려 원본보기 한국은행의 '6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율은 5월(3.3%)보다 0.6%포인트 오른 3.9%로 집계됐다. 2012년 4월(3.9%) 이후 1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기록이다. 사진은 지난달 29일 서울 명동거리 Ⓒ연합뉴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45
22.07.14
자유주제

LG엔솔, 일본·인도 자동차 회사에 배터리 공급키로

日 이스즈에 원통형배터리·인도 마힌드라그룹에 SUV용 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이 해외 시장에서 쾌속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일본·인도 기업에 연이어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하는 등 해외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일본 상용차 업계 선두그룹인 이스즈자동차와 인도 마힌드라 그룹에 전기차용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했다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64
22.07.14
자유주제

세계 자동차 시장에 통신특허 태풍 온다

특허관리업체 아반시, "9월부터 건당 로열티 20달러로 인상" 통보 세계 자동차시장에 ‘아반시(Avanci)'발 특허료 인상 강풍이 불고 있다. 특허풀 관리전문업체 아반시가 자동차업체들에게 4G 관련 표준특허료를 대폭 인상하겠다고 통보했다고 포스페이턴츠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아반시는 오는 8월 31일 이전까지 라이선스 체결하지 않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73
22.07.14
자유주제

물고기 수천 마리 집단폐사…"장마철 틈타 폐수 방류"

요즘에도 이런 일이 벌어지네요. 전남 영광군의 한 저수지에서 물고기 수천 마리가 죽은 채 둥둥 떴습니다. 장마철을 앞두고 인근 공장에서 몰래 폐수를 버린 것으로 추정됩니다. 정치훈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 기자 】 농업용수로 쓸 물을 채운 한 저수지. 셀 수 없이 많은 물고기가 하얀 배를 드러낸 채 둥둥 떠 있습니다. 그나마 살아 있는 물고기도 숨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61
22.07.14
자유주제

한은총재가 '영끌족'에게…"이자 평생 3%라 생각 말아야"

이렇게 결정한 뒤에 한국은행 총재가 내놓은 메시지가 아주 의미심장합니다. 이자가 평생 3% 정도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위험을 생각하라는 얘기였습니다. 그동안 대출을 끌어모아 투자해온 이른바 '영끌족'은 비상이 걸렸습니다. 소상공인의 시름도 깊어졌습니다. 전다빈 기자입니다. [기자] 직장인 이모 씨는 재작년 말에 가능한 대출을 다 받는 일명 '영끌 매

vi|22.07.1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0
22.07.14
자유주제

교사 5명 있었는데…3살 아이, 통학버스 바닥에 끼어 70m 끌려가

부산에서는 3살 아동이 어린이집 통학버스에 끌려가는 사고가 났습니다. 어린이집 바로 앞이라 교사들이 여럿 있었는데도 사고를 막지 못했습니다. 홍진우 기자입니다. [기자] 노락색 어린이집 통학버스가 언덕길을 내달립니다. 어린이집 교사가 버스를 다급히 뒤쫓습니다. 잠시 후 주민들이 모여들고, 구급차와 경찰차도 도착합니다. 부산의 한 어린이집 앞에서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74
22.07.14
자유주제

중·일로 간 수상한 2조원…4천억 외화송금 본사는 유령회사

금융감독원이 2조원이 넘는 거액이 시중은행 2곳을 통해 중국과 일본으로 넘어간 수상한 외환거래 사건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우리은행을 통해 4천억 원을 송금한 한 중소업체는 이미 검찰 수사선상에 올라있는데요. 구자준 기자가 금융당국의 조사와 검찰 수사 상황, 그리고 업체의 실체를 추적한 현장 취재 내용 차례로 보도하겠습니다. [기자] 채널A가 확인한 우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154
22.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