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강'달러 넘어 '킹'달러…전세계 경기침체 '공포' 확산

vi

Lv 103

22.07.14

view_cnt

889

오늘(13일) 원·달러 환율은 1,306원을 기록했습니다. 달러 가치의 고공행진은 우리뿐만이 아닙니다. 유로·달러 환율도 20년 만에 처음으로 같아졌는데, 전 세계가 달러 공포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형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유로화 가치가 올해 들어 12% 떨어지면서 20년 만에 달러 가치와 처음으로 같아졌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에너지 공급 불확실성이 확산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유럽 지역의 인플레이션율도 8.6%에 달하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유로화를 더 끌어내렸습니다.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 우크라이나 사태도 장기화되고 정책금리 인상도 빨라지면서 세계 경제의 성장세가 약화되고 향후 전망 경로의 불확실성도 크게 높아졌습니다. 이를 반영해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위험회피 심리가 강화되면서 달러화가 강세를 지속하고….]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장중 한때 108.56까지 치솟았습니다. 지난 2002년 10월 이후 최고치입니다. 안전자산인 달러로 돈이 몰리면서 달러인덱스는 올 들어서만 13%가량 상승했습니다. [이효섭 /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최근에는 많은 신흥국 국가들이 신용등급이 강등 우려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국가 부도위험이 증가하는 상황에서는 안전자산으로 수요가 몰리기 때문에 달러 강세가 나타나고 있고요. 복합적으로 작용이 돼서 달러 강세는 당분간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 같은 달러 강세로 미국 연방준비제도를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이 긴축 사이클 초기에 진입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인플레이션에 따른 비용 부담, 소비 둔화 등이 기업 실적 부진으로 가시화할 경우 전세계의 경기침체의 골이 예상보다 더 깊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댓글

2

GoFoward

Lv 102
22.07.14

기축통화가 이럴때 좋지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7.14

달러인덱스나 좀 두둑히 나둘껄 그랬어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월 100만원 더 줄게” ‘귀한 몸’ 된 택시 기사, 어쩌다

“택시 기사 없어서 못 타요…몸값 고공 행진?” 택시 타기가 하늘의 별 따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간 동안 3만 명이 넘는 택시 기사가 일을 그만 둬서다. 주말 심야 시간은 물론 평일 오전과 저녁에도 택시가 없어 도로 위에서 ‘귀가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택시 호출 플랫폼들이 ‘웃돈’을 주고 택시 기사 모시기에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64
22.07.14
자유주제

강남 집값은 안떨어진다고?…2008 금융위기 때 “서울은 3%↓·강남구 10%↓”

압구정 현대아파트 한 달 새 3억 ‘뚝’ 과거 2008년 당시 강남3구 집값 하락세 다른 자치구보다 높아 강남구의 경우 실제 매매가격 추이도 더 하락폭 커 “20억~30억 강남아파트, 금리 0.5% 상승 영향 더 크게 받을 듯” 원본보기 서울 송파구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바라본 강남, 송파 일대 아파트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서영상 기자] 집값이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713
22.07.14
자유주제

부동산시장에 이자폭탄… 매매 실종·하우스푸어 확산 우려

주담대 금리 2배 뛰어 영끌족 비명 DSR 규제로 자금조달 어려워 부담 매수심리 위축 상황에 경착륙 우려 하반기 거래 절벽·가격 약세장 전망 원본보기 한국은행이 사상 첫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부동산업계에서는 부동산 시장이 장기간 침체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3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일대 아파트. 연합뉴스 주택 매매시장이 한국은행의 '빅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82
22.07.14
자유주제

"내년까지 집값 하락 이어진다"…자산 포트폴리오 전략 다시 짜야

'금리 인상·공급 확대·경제 침체' 등 각종 통계가 집값 하락 예고 원본보기 '이코노미스트 2022년 하반기경제포럼(불확실성 고조, 주식, 부동산 어디로)'과 '홍보인과 이코미스트.일간스포츠와의 만남' 행사가 12일 서울 중구 순화동 KG타워 하모니홀에서 열렸다. 부동산전망에 대해 한문도 연대 금융부동산학과 교수(한국부동산경제협회 회장)이 강연하고 있다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903
22.07.14
자유주제

역대급 기준금리 인상…부동산 시장 ‘빙하기’ 오나

이자 부담 급증에 ‘영끌·빚투’족 긴장↑ “부동산 투자 신중해야”…양극화 우려 나와 원본보기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모습.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포인트(p) 올리는 ‘빅스텝’을 사상 처음으로 단행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비상에 걸렸다. 특히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빚투(빚내서 투자)'족들의 이자부담이 커지면서 고민이 깊어질 전망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854
22.07.14
자유주제

잘나가던 中 증시 급락…홀로 웃던 중학개미도 ‘울상’

코로나 재확산·마카오 봉쇄 여파에 상하이·항셍지수 동반 하락 ‘헝다’ 이어 ‘완다’도 디폴트설…“단기 차익실현 매물 대비해야” 원본보기 [게티이미지] 국내외 증시 하락장에도 나홀로 강세를 이어오던 중국 증시가 휘청이고 있다. 중국 내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되면서 상하이 지수와 항셍 지수가 동반 약세를 기록 중이다. 여기에 중국 정부의 빅테크 규제가 지속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62
22.07.14
자유주제

기름값 내리나… SK에너지, 주유소 공급가 ℓ당 150원가량↓

지난주 국제유가 하락 영향 싱가포르 석유제품 가격 하락세도 주요 요인 '횡재세 필요' 여론 영향? 정유업계 "무관" 원본보기 7월 첫째 주(3~7일)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이 전주보다 2116.8원으로 집계됐다. 사진은 10일 서울의 한 주유소 유가정보 입간판 모습.[연합뉴스] 국제 유가‧싱가포르 석유 제품 가격이 하락하면서 국내 정유사들도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1,162
22.07.14
자유주제

갈아탈까? 흔해진 3% 예금·5% 적금…빅스텝에 금리 ‘줄인상’

우리·하나은행,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이후 수신금리 즉시 인상 국민은행, 다음주 금리 인상 계획 원본보기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하자, 시중은행들이 일제히 예·적금(수신) 금리를 올렸다. 이에 따라 은행권에서 연 3%대 예금과 연 5%대 적금 상품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됐다. 우리은행은 한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789
22.07.14
자유주제

"올 여름도 포기해야겠지?"…고물가·재유행에 휴가 접는 직장인들

코로나19 확진자, 1주 단위 더블링 현상 뚜렷 여행 업계 "각국 방역 강화로 여행 수요 꺾일라" 우려 원본보기 한국은행의 '6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율은 5월(3.3%)보다 0.6%포인트 오른 3.9%로 집계됐다. 2012년 4월(3.9%) 이후 1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기록이다. 사진은 지난달 29일 서울 명동거리 Ⓒ연합뉴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45
22.07.14
자유주제

LG엔솔, 일본·인도 자동차 회사에 배터리 공급키로

日 이스즈에 원통형배터리·인도 마힌드라그룹에 SUV용 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이 해외 시장에서 쾌속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일본·인도 기업에 연이어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하는 등 해외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일본 상용차 업계 선두그룹인 이스즈자동차와 인도 마힌드라 그룹에 전기차용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했다

vi|22.07.1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64
22.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