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자영업자 최대 90% 빚탕감…'빚투'도 지원책 마련

vi

Lv 103

22.07.15

view_cnt

667

정부가 코로나 사태로 빚 갚을 능력이 안 되는 자영업자, 소상공인에 대해 상환유예 대신 장기분할상환이나 일부 탕감하는 대책을 내놨습니다. 소위 '빚투'에 나섰다 실패한 청년들 구제책도 발표했는데요. 다만 세금 들여 빚 탕감해주면 열심히 갚아온 사람은 뭐가 되냐는 비판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이재동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새출발기금 30조원을 투입해 대출을 당장 갚기 어려운 자영업자들이 장기간에 빚을 갚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자산관리공사가 각 금융사로부터 채권을 사들인 뒤, 최대 3년까지 이자만 내도록 하고 최장 20년에 걸쳐 나눠 갚도록 하는 겁니다. 그래도 90일 이상 연체가 발생하면 최대 90%까지 원금을 감면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8조7,000억원을 투입해 이자가 연 7%를 넘는 대출은 저금리 대출로 전환합니다. 또 무리하게 빚을 내 집을 산 사람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고정금리로 바꿔주는 안심전환대출은 올해 20조원에서 25조원으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빚투'에 나섰다가 투자손실을 크게 입은 청년층 대상 대책도 마련했습니다. 신용회복위원회에 신속 채무조정 특례 프로그램을 신설해 1년간 운영하는데, 대상에 선정되면 최대 50%의 이자 감면, 최대 3년간 원금 상환 유예 혜택을 받습니다. <김주현 / 금융위원장> "이 경우 청년 4만8천명이 1인당 연 141~263만원 정도의 이자부담을 경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원금 탕감 같은 채무재조정은 손실처리될 부실채권을 일부라도 회수할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도덕적 해이를 불러온다는 비판도 피하기 어렵습니다. 금융위는 철저한 심사로 부작용을 최소화하겠다고 강조했지만, 그간 성실하게 빚을 갚아온 사람들과의 형평성 문제 등은 논란이 될 전망입니다.

댓글

2

GoFoward

Lv 102
22.07.15

내 빚도 좀 어떻게 좀 ㅜㅜ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1

vi

Lv 103
작성자
22.07.15

저거받으면 알상생활 힘들어져용 ㅋ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물가상승률 반영하니…연봉 6900만원 4인가구 외벌이, 소득세 年 40만원 줄어

정부가 지난 15년간 제자리인 근로소득세 과세표준 구간을 물가 상승률에 비례해 상향 조정할 경우 연봉 6900만원인 4인 가구 외벌이 가장의 소득세는 연간 40만원 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아시아경제가 국세청 홈택스 세금모의계산기를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정부가 2008년 이후 그대로인 일부 근로소득세 과표구간(1200만원 이하·460

vi|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1,195
22.07.15
자유주제

"11억 짭짤하네" 83년생 '부산 왕개미 부부'...무증 요구 후 먹튀

슈퍼개미가 107억원을 들여 코스닥 주식을 산 뒤 "경영권 참여와 무상증자 요구"를 외쳤다. 하지만 그는 주가가 오르자 3주만에 주식을 전량 매도하며 11억원을 벌고 떠났다. 무상증자를 발표하면 주가가 폭등하는 '무증테마'가 코스닥에서 판치는 가운데 이를 이용해 단타를 치는 슈퍼개미가 증시에 등장했다. 대규모 물량을 동원해 주가를 올려놓은 뒤 거래량이 터

vi|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85
22.07.15
자유주제

15만 원 호텔방이 80만 원…숙박비 급등에 휴가포기 속출

거리두기 해제 이후, 휴가철 여행 수요가 폭발하면서 호텔 등 숙박비가 최대 5배 가량 뛰었습니다. 비싼걸 떠나 예약성공도 어려워서 여름 휴가를 아예 포기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권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파도가 부서지는 부산 해운대 바다. 이 바다 전망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바닷가엔 고급 호텔이 줄줄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올해 3월 코로

vi|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71
22.07.15
자유주제

“처음 겪는 인플레이션” 2030 투자 원칙이 무너졌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어제 금리를 올리면서 2030 세대를 특히 걱정했었습니다. 한 번도 인플레이션을 경험해보지 못한 세대라, 더 타격이 클까봐요. 그래서 저희 김승희 기자가 2030 세대들의 목소리를 들어봤는데요. 실제로 물가도 오르고 금리도 오르는데, 어떻게 현재를 살고 미래를 대비해야 할지 막막해하는 분위기였습니다. 함께 보시죠. [기자]

vi|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885
22.07.15
자유주제

尹 "금리 부담, 취약층·약자에 전가 안 돼"...금융지원책 발표

윤 대통령, 2차 비상경제민생회의 주재 "금리 인상 부담, 취약층·약자에게 전가 안 돼" 與 물가·민생안정특위, '밥상 물가' 대책 고심 [앵커] 윤석열 대통령은 금리 인상 부담이 사회적 약자에게 전가돼선 안 된다며 한국은행 '빅스텝' 단행에 대한 보완책을 내놨습니다. 주택담보대출 저금리 전환, 소상공인 대출채권 금리 감면 등 '서민 맞춤형 대책'으로 부

vi|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7.15
자유주제

어젯밤 9시까지 37,134명 확진...일주일 전의 2배

어제 0시부터 밤 9시까지 코로나 확진자는 37,134명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밤 9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일주일 전인 지난 7일 집계치 만8천여 명의 2배로 일주일 단위로 확진자 수가 2배씩 느는 더블링 현상이 이어졌습니다. 오늘 발표될 신규 확진자는 3만 명대 후반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vi|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014
22.07.15
자유주제

'켄타우로스' BA.275 국내 감염 첫 확인…감염경로 조사中

인천 거주 60대…감염 가능 기간 중 해외여행력 없어 접촉자 대상 추적 검사 진행 및 감염경로 심층조사中 켄타우로스 인도서 1주일 만에 검출률 7.9%→51% 원본보기 류영주 기자 '켄타우로스'라고 불리는 코로나19 오미크론 세부계통인 BA.2.75 확진자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생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인도에서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고

vi|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54
22.07.15
자유주제

"타자마자 바로 내리고 싶다"…성공하면 타는 '전기차 끝판왕', BMW i7

7년만에 나온 7세대 7시리즈 7세대 벤츠 S클래스와 경쟁 i7, 순수전기 플래그십 세단. 글로벌 플래그십 세단을 주도하는 모델은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와 BMW 7시리즈다. 브랜드 얼굴인 두 차종은 엎치락뒤치락하면서 1위 다툼을 벌이고 있다. 공교롭게 두 차종 모두 7세대로 진화했다. 플래그십 세단 시장에서 세계 상위권에 해당하는 국내에서도

thumbnail
vi|22.07.15
like-count5
commnet-count11
view-count1,508
22.07.15
자유주제

年6% 예금 가입하려 연차까지…2금융권에 한달새 11조원 몰려

예적금 금리가 오르면서 이자를 0.1%라도 더 주는 금융사로 자금이 몰리고 있다. 시중은행보다 이자를 더 주는 2금융권으로 꾸준히 자금이 유입되면서 한 달 새 수신 잔액이 11조원이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저축은행·상호금융·신협·새마을금고 등 2금융권의 수신 잔액은 5월 말 기준 약 909조원으로 4월 말 약 898조원에 비

vi|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72
22.07.15
자유주제

두통에도 MRI 찍겠다는 한국…촬영건수 134%나 급증

국내 보건의료실태조사 2018년 뇌MRI 건보 적용 촬영 건수 134%나 급증 1천명당 병상 수 13.2개 OECD 국가 평균의 3배 요양병상수도 가장 많아 원본보기 최근 심한 두통을 앓던 A씨는 집 근처 병원을 찾아 뇌질환 상담을 받았다. 의사는 처음엔 정밀검사를 받지 않아도 된다고 했지만, A씨는 지속적인 통증이 걱정돼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vi|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29
22.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