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대우조선, 불법파업에 피가 말라가는데..정부 "직접 개입 어렵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37

대우조선해양이 사상 유례없는 선박 점거로 고통받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직접 개입이 어렵다"는 원론적 입장만 내놨다. 파업 장기화로 내주에는 피해액이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정부는 여전히 한발 떨어져 방관자적 태도만 취하고 있다. 업계는 이번 사태가 국내 조선업 경쟁력에 심각한 타격을 입힐 수 있다고 우려했다. 사상 초유의 선박 인도 지연 사태로 대우조선해양은 물론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사들도 선주들에게 부정적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15일 대우조선해양에 따르면 거통고(거제통영고성) 하청지회의 불법파업이 40여일을 넘기는 등 장기화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들이 그동안 1도크 선박을 점거하며 대우조선해양은 진수는 물론 다른 공정도 멈춘 상태다. 대우조선이 추산한 기준으로 현재까지 이들이 입힌 피해액은 이미 7000억원을 넘어섰다. 하루하루 피해액이 불어나고 있는 만큼, 내주에는 1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피해액보다 더 큰 타격은 선주들의 신뢰를 잃었다는 점이다. 대우조선해양이 창사한 이후 도크 점거로 선박 인도가 미뤄진 경우는 이번이 최초다. 인도 지연은 곧 신뢰 상실을 의미한다. LNG운반선 등 고부가 선박 수주가 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태는 향후 선주들의 발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사실 피해액보다 더 뼈아픈 것은 선주들 믿음을 잃고 있다는 점"이라며 "교섭대상이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할 방도가 없다. 하루하루 쳐다만 보고 있는데 피가 말라가고 있는 지경"이라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의 전체 사내 협력사 1만1000여명에 달한다. 이 중 이번 파업에 참여한 인원은 120여명 정도로 전체의 약 0.9% 수준이다. 전체 협력업체 근로자의 98%는 임금협상이 마무리됐다. 일부 극소수의 파업이 대우조선해양 전체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는 것이다. 하청지회는 각 협력사별 개별 교섭이 아닌 집단 교섭, 임금 30% 인상, 노조전임자 대우 등을 요구하고 있다. 각 협력업체마다 경영상황과 담당 직무 및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한데 묶어서 집단 교섭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합리적이지 않다는게 업계 전반적인 시각이다.

대우조선, 불법파업에 피가 말라가는데..정부 '직접 개입 어렵다'대우조선, 불법파업에 피가 말라가는데..정부 '직접 개입 어렵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