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전력난' 단골 사진은 억울해 "3년째 휴업, 전기료도 못 냈다"

울트라맨8

Lv 116

22.07.15

view_cnt

837

“이 사진 알죠. 뉴스에 자주 나오잖아요. 그런데 화재 위험은커녕 지금은 실외기가 돌아가지도 않을 텐데…” 실외기 가득한 한 건물 외벽 사진을 본 황보상호(60)씨는 단박에 알아봤다. 이곳은 황보씨가 일하는 안경원이 있는 서울 중구 남대문 시장의 10층 건물이다. 건물 뒤편 달린 수많은 실외기 때문에 언론에 자주 노출된다. 폭염과 전력난이 이슈로 떠오르는 여름만 되면 단골로 등장하는 ‘포토스폿’인 셈이다. 서울 시내에선 흔히 볼 수 없는 풍경인 탓에 <한겨레>를 포함한 수많은 언론에선 여름철 폭염·전력난 소식을 전할 때 수시로 이곳을 찾아 ‘전력 공급예비율 연중 최저’, ‘에어컨 풀 가동’ 등과 같은 제목을 달아왔다. 올여름에도 여러 매체가 이곳의 사진을 보도하며 비슷한 제목을 달았다. 하지만 황보씨의 말처럼 14일 찾아간 건물 뒤편에선 실외기가 뿜어내는 열기와 팬이 돌아가는 소음을 느낄 수 없었다. 주로 외국인 관광객을 상대로 한 중저가형 호텔인데 코로나19로 3년째 ‘개점휴업’ 중이기 때문이다. 객실이 비어 있으니 당연히 실외기가 돌아갈 일도 없다. 호텔은 가동도 안 하는 에어컨 때문에 ‘전력 낭비’라는 오명을 3년 동안 써왔던 것이다. 호텔 쪽 설명을 들어보면, 10층짜리 건물 3층부터 10층까지 호텔에서 사용한다. 1969년도에 준공돼 올해로 만 53년째 된 건물이라 신축 건물처럼 옥상에 실외기를 올릴 수 없어 각 방의 실외기를 외벽에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 주로 일본 등에서 온 외국인 관광객이 고객인 남대문 시장 일대가 지난 2020년부터 코로나19로 발길이 뚝 끊기며 이곳 호텔도 사실상 휴업 상태다. 이 건물 1층에서 모자가게를 운영하는 50대 ㄱ씨는 “코로나 때문에 상인들 수입이 10분의 1로 줄었다. 호텔도 비슷하다”고 했다. 황보씨는 “지난해 4월엔 호텔에서 납부하는 건물 공동전기료가 미납돼 한전에서 엘리베이터 등에 들어가는 전기를 끊겠다고 해 1∼2층 상인들이 대신 분담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전기료도 제대로 못 내는 상황인데 전력을 낭비한다는 누명까지 썼으니 호텔 입장에선 억울할 만하다. 해당 호텔은 해마다 전력 낭비의 상징처럼 언론에서 다뤄지는 것이 불만이다. 호텔 관계자는 “영업도 안 하는데 동의 없이 (실외기) 사진만 나오고 있어 상업적으로 계속 사용한다면 법적 조처를 할 생각도 있다”며 “실외기 주변이 검게 그을린 부분도 몇년 전 옆 건물 화재 때문이다. 소방 안전 관리자를 두고 안전에 유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구청 건축관리팀 관계자는 “현재 해당 건물 실외기 때문에 들어온 민원은 없다”며 “실외기를 외벽에 설치하는 것에 대한 설치 권고사항은 있지만, 제재 규정은 없다”고 밝혔다.
'전력난' 단골 사진은 억울해 '3년째 휴업, 전기료도 못 냈다'

'전력난' 단골 사진은 억울해 '3년째 휴업, 전기료도 못 냈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다시 거리두기하면 이젠 끝"..코로나 재유행에 가슴 졸이는 자영업자들

전파력이 강한 BA.5 변이 확산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속히 늘자 자영업자들이 사회적 거리두기가 다시 시행될까 가슴을 졸이고 있다. 15일 정오 대구 동구의 한 식당가. 6년간 고깃집을 운영하고 있는 A씨(40대)는 "지난 4월 거리두기가 해제되고 난 후로 손님이 조금씩 늘어 '이젠 살겠구나' 싶었는데 최근 확진자가 다시 늘면서 식당을 찾는 발길이

울트라맨8|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62
22.07.15
자유주제

1300년 전 지하세계 타임캡슐..'아스타나 고분' 출토품 전시

국립중앙박물관이 16일부터 상설전시관 3층 세계문화관 중앙아시아실에서 '영원한 삶의 집, 아스타나 고분' 전시를 선보인다. 박물관이 소장한 중앙아시아 컬렉션 중 20세기초 일본 오타니 탐험대가 아스타나 고분에서 수집한 자료에 관한 조사 성과를 특별 공개하는 자리다. 아스타나 고분군은 중국 신장웨이우얼자치구 투루판시 동남쪽의 도성 유적인 고창고성 근교에

울트라맨8|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61
22.07.15
자유주제

Gv70 4륜 옵션 쓸만한가요

이번에 파주로 이사가게되었는데 눈한번오면 서울처럼 재설작업이 빠른것도아니라 도로가 오랜시간 엉망이네요

말랑말랑말랑|22.07.15
like-count3
commnet-count7
view-count1,158
22.07.15
자유주제

탄자니아서 '코피 질환' 유행 미스테리..당국 조사 착수

아프리카 탄자니아에서 코피가 나서 목숨까지도 잃는 원인 불명의 질환이 발생해 당국이 조사에 착수했다고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 등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탄자니아 정부 의료총책임자 아이펠로 시찰웨는 남동부 린디 지역에서 코피를 비롯해 발열, 두통, 피로감 등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이같은 증상을 보인 환자는 13명이 보고

울트라맨8|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49
22.07.15
자유주제

자영업자 대출 원금 90% 감면해준다..신청 일정·대상 누구

정부가 소상공인‧청년 등 취약층의 빚 상환 부담을 줄여주기로 했다. 구체적인 재정 계획이 나왔다. 이달 말부터 소상공인으로부터 저금리로의 대출 전환을 신청받는다. 청년 등 취약계층 위주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전환은 9월부터 접수 가능하다. 윤석열 대통령은 15일 도어스테핑에서 금융리스크의 확산을 경계해야 한다며 신속한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상대

울트라맨8|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53
22.07.15
자유주제

Bmw 3 시리즈와 bmw 2 시리즈 중 고민입니다ㅠ

안녕하세요 현재 g70구매 하려던 중 같은 예산에서 원래 좋아하던 bmw를 구매하고 싶어 알아보던 중 현재 3시리즈는 가격을 맞추려면 21년식 중고를 가야하고 2시리즈 220i 22년식 모델을 봐야할거 같은데 3시리즈와 2시리즈 차이가 클까요? 차량 자체도 좀 많이 작은 듯 한 느낌이 있어서 아무래도 2시리즈는 구매가 꺼려지는데 2시리즈 신차와 3시리즈

지놓|22.07.15
like-count2
commnet-count15
view-count1,103
22.07.15
자유주제

3차까지 맞고 코로나 걸렸어도 4차접종?.."기확진자도 권고"

코로나19 재유행에 대응해 18일부터 4차 예방접종 대상이 기존 60세 이상과 면역저하자에서 50대와 18대 이상 기저질환자 등으로까지 확대된다. 오미크론 변이보다 전파력과 면역 회피력이 강한 세부 계통(하위) 변이 BA.5가 우세화하는 가운데, BA.5보다도 전파력이 센 BA.2.75(일명 켄타우로스) 변이도 국내에서 확인돼 방역당국은 중증·사망 예방을

울트라맨8|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182
22.07.15
자유주제

주정차 알림앱 '휘슬', 부산 수영구도 서비스 개시 한다고 합니다.

정차 단속 사전 알림 앱 '휘슬(Whistle)'은 오는 18일부터 부산광역시 수영구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5일 밝혔다. 수영구 서비스 오픈은 지난해 해운대구, 부산진구, 북구, 동구에 이어 부산광역시에서는 다섯 번째다. 앞으로 휘슬 신규 가입자뿐 아니라 기존 휘슬 회원들은 별도 신청없이 수영구에서 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서비스를 무료로

thumbnail
동탄 현마허|22.07.15
like-count2
commnet-count1
view-count981
22.07.15
자유주제

'광주 화정 아이파크' 철거 시작..11월 입주예정자들 "보상금은 아직"

HDC현대산업개발(현산)이 붕괴사고가 난 광주 화정동 아이파크 8개동 전체를 철거하고 새로 짓기로 결정한 뒤 지난 7일부터 본격적으로 철거 작업에 돌입했다. 입주 예정자들이 가장 원한 부분은 '전체 철거'로 현산의 결정에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이와 별도로 철거·시공에 소요되는 70개월 동안 거주할 수 있는 주택 지원을 요구하면서 보상 문제는 아직 마

울트라맨8|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7.15
자유주제

종부세 첫 행정소송 패소..'6000명 최대규모' 소송 영향은?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부과에 불복해 시민단체와 법인, 일반 납세자 등이 소송한 사례 가운데 첫 법원 판결이 나왔다. 서울 강남구와 서초구에 아파트를 소유한 납세자(1주택자)들이 2020년에 부과받은 종부세 부과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내고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신청했으나 받아 들여지지 않았다. 해당 건은 2021년도분 종부세 부과에 불복한 6000여 명이 참여한

울트라맨8|22.07.1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03
22.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