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가치 연일 폭락…이대로 괜찮을까?



원화 가치가 연일 폭락세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원화 가치 약세의 배경은 무엇이고 원화값은 과연 얼마까지 오를지 그리고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권세욱 기자와 좀 더 살펴보겠습니다. 원화 가치가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기자] 앞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전 세계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강세가 뚜렷하기 때문입니다. 안전자산 선호로 유로화와 위안화, 엔화도 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여기에 대내적으론 무역수지 적자도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백석현 / 신한은행 S&T센터 이코노미스트 : 한국에 특별한 문제가 있어서라기보다 중국과 유럽 쪽에서도 부정적 뉴스들이 들려오면서 심리적으로 달러를 계속 사게 되는 현상이 반복되고 원/달러 환율이 같이 끌려가는 상황입니다.]

댓글 4


위기는 안오겠지요?


왠지 우리나라보다 유럽발 한번 올꺼같은 ㅠ


한번 위험할지도...


내년까지는 조심조심 온다면 유럽이나 남미쪽이 위험 ㅠ
- 자유주제
34평 분양가 '314만원' 상승, 이자폭탄까지… 내집마련 더 멀어졌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역사상 첫 '빅스텝'(한번에 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단행한 가운데 정부가 분양가상한제 아파트의 기본형건축비를 ㎡당 185만7000원(3.3㎡당 612만8100원)으로
vi1
4
1,234
- 자유주제
주담대 이자 기준 '코픽스', 사상 최대 상승… 집값 2년 10개월 만의 하락전환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지표금리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역대 최대폭으로 오르면서 주담대 금리도 큰 폭으로 상승할 예정인 가운데 전국 주택가격이 2년 10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
vi1
4
871
- 자유주제
쌍용차 구세주 토레스 ‘생산 1호차’의 주인은 누구
쌍용차의 부활을 이끌고 있는 새로운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토레스의 첫 번째 생산 차(1호차)의 주인은 김두영 진영전기 회장이 됐다. 쌍용차는 14일 평택공장에서 열린 전달식에서 정용원 쌍
vi1
4
914
- 자유주제
KB국민은행, 금리 인상…예금 최대 3.05%·적금 4.40%
KB국민은행이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오는 18일부터 정기예금 및 적립식예금 33종의 금리를 인상한다고 15일 밝혔다. 고령층 고객을 대상으로 연금 수령 시 다양한 혜택과 우대이율을 제공하
vi1
4
1,220
- 자유주제
코스피 1위 CJ…카뱅·LG엔솔 뒤이어
CJ, 주간 공매도 비중 25.24%…케이카·코웨이도 20% 넘어 코스닥 주간 공매도 비중 1위 아이티엠반도체, 2위 RFHIC 이번주(7월 11~14일) 유가증권시장의 공매도 거래량은 총 332
vi1
4
893
- 자유주제
만약에 엔씨가 말이야...이렇게 하면 달라질 수 있을까?
리니지 IP로 유명한 엔씨소프트가 최근 변화의 기로에 섰다. 여전히 리니지는 엔씨의 매출을 책임지는 효자 게임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유저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이에 엔씨가 내놓은 해결책은 ‘신규
vi1
4
931
- 자유주제
인플레이션 후폭풍...인텔도 4분기부터 CPU 공급가 올린다
이달 초 주요 고객사에 통보...연말 완제PC 가격 상승 전망 인텔이 오는 4분기부터 PC 제조사 등 주요 고객사에 공급하는 코어·제온 프로세서 등 공급 가격을 올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올 4분기
vi1
4
1,024
- 자유주제
원·달러 환율 1326.1원 마감…13년 3개월 만 최고치
미 FOMC 영향…전문가 "미국 달러가 초강세" 미국 달러의 초강세가 국내 외환시장도 흔들었다. 1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4원 오른 1326.1원으로 마감했다.
vi1
2
870
- 자유주제
'방역 논란' 싸이 흠뻑쇼 시작…최대 12만 명 몰리는 잠실 '비상' 입력2022.07.15. 오후 7:46
이런 가운데 오늘(15일)부터 주말까지 서울 잠실에서는 대규모 콘서트와 스포츠 행사가 예정되어 있어 방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특히 물을 대용량으로 사용하는 공연도 있다보니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도
vi1
4
858
- 자유주제
선착순 6% 이자에 새벽부터 줄 선 사람들…"적금도 오픈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주식과 코인같은 자산시장이 하락세를 면치 못하자 은행과 새마을금고 같은 금융권으로 뭉칫돈이 몰리고 있습니다. 특히 0.1%라도 더 많은 이자를 받기 위한 눈치작전도 치열
vi1
3
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