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김주현 "코인 투자자, 원금 탕감 없다..금융권과 대화할 것"(종합)

울트라맨8

Lv 116

22.07.18

view_cnt

666

정부의 청년·소상공인 지원방안에 가상자산(암호화폐) 투자자 보호 방안이 담기면서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 논란이 거세지는 가운데,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투자 손실을 본) 청년층의 원금 감면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지원 방안 설계 과정에서 금융권과 소통이 부족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대화로 풀겠다"고 밝혔다. 18일 오후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정부서울청사에서 '125조+α 금융부문 민생안정 과제'와 관련한 추가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현재도 이미 채권금융기관, 신용회복위원회, 법원의 회생절차 등 정상적 채무상환이 어려운 취약계층에 대해 상환유예나 상환금액 조정 등 채무조정을 지원해 어려운 분들의 재기를 돕고 있다"며 "이번 정부 지원조치도 기존 제도의 정신과 기본취지에 맞춰 설계됐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 외환위기, 코로나 사태 등 국가 전체적으로 어려운 때에도 도덕적 해이 문제가 제기됐다"며 "그러나 국민들이 힘을 모아 이같은 지원을 함으로써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번 방안이 청년층의 모럴해저드를 유발한다는 지적에 대해선 '원금 감면'은 없다고 확실히 선을 그었다. 김 위원장은 "원금을 탕감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며 "주식에 투자해서 실패한 사람도 있고, 아파트 가격이 떨어진 사람도 있는데, 이유야 어쨌든 간에 채무를 제대로 이행할 수 없는 분들을 지원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신용회복위원회에 청년 특례 프로그램을 신설해 저신용 청년의 이자를 30~50%를 감면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두고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 14일 브리핑에서 "저금리 환경에서 돈을 빌려 주식, 가상자산 등에 투자한 청년들이 경제적으로, 심리적으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고 밝히면서 모럴해저드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방안에 언급된 '투자 손실'이라는 단어가 모럴해저드 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동의한다"면서도 "부채를 상환하기 어려운 이들과 금리가 오르는 과정에서 부담을 느끼는 국민 모두를 위한 제도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이번 방안에 정부 재원이 들어가는 만큼, 모든 국민이 암호화폐 투자자의 부채를 부담하게 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대해 금융위 관계자는 "대출을 취급한 금융회사가 부담을 나누어 지게되며, 정부 예산이 투입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금융회사 입장에선 취약차주를 방치해 대출채권 일체가 부실화되는 것보다, 선제적 이자감면을 통해 부실을 방지하는 것이 더 낫다는 판단하에 채무조정에 동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주현 '코인 투자자, 원금 탕감 없다..금융권과 대화할 것'(종합)

김주현 '코인 투자자, 원금 탕감 없다..금융권과 대화할 것'(종합)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美 달러 강세 사상 최고 수준.. 세계 경제 침체 우려 커져

미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블룸버그통신은 세계 경기침체에 대한 두려움과 유럽 경제난 심화로 달러 가치가 오르고 있다고 전했다.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WSJ이 집계하는 달러지수는 최근 20년 만의 최고치로 치솟았다. 블룸버그 달러지수도 지난 14일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유로화는 2002년 이후 처음으로 1유로의 가치가 1달러 밑으로 떨어졌고(유로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1
22.07.18
자유주제

'비대면 진료 합법화' 논쟁 불붙나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비대면 진료 제도화’를 둘러싼 논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 의사·약사단체들이 비대면 진료 시장에 뛰어든 플랫폼 업체들을 상대로 위법성을 지적하며 기자회견을 열거나 고발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한시적으로 허용된 비대면 진료를 법률로서 제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지만 진료범위 등을 두고 이해관계자 간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6
22.07.18
자유주제

유출된 신분증 사진으로 '비대면 대출' 억! 억! 억!..은행은 '모르쇠'

금융사들이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대면 실명 확인 과정에서 신분증 진위여부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는 까닭에 명의를 도용당해 대출 채무가 생겼다는 피해자들의 호소가 늘고 있다. 금융사들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과 ‘신분증 사본인증 피해자 모임’은 18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금융사고 피해자 고발대회 기자회견을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203
22.07.18
자유주제

대구시, 2032년까지 총연장 36km '모노레일 순환선' 추진

대구시가 오는 2032년까지 총연장 36㎞의 도시철도 순환선을 모노레일로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18일 대구시와 대구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는 모노레일 경제성 검토를 위해 내년에 사전타당성 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2024년), 기본계획수립 및 기본·실시설계(2025∼2027년) 등을 거쳐 2028년 도시철도 순환선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0
22.07.18
자유주제

"車리콜 급증', 올해만 '200만대' 넘어..전장화가 배경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리콜센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19일까지 국토교통부와 환경부가 시행한 자동차 누적 리콜 대수는 901개 차종 204만7726대다. 리콜 대상 차량 가운데 국산차는 74개 차종 173만6235대, 수입차는 827개 차종 31만1491대다. 가장 많은 리콜을 기록한 제조사는 기아(111만5447대)였다. 뒤를 이어 현대차(52만25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1
22.07.18
HOT
자유주제

테슬라 또또또또또 가격인상 ㄷㄷ

물론 이미 계약한 사람들이 오른 가격을 내는건 아니지만.. 아무리 그래도 상품성 개선도 없이 일년에 다섯번 인상은 ㅠㅠㅠ

thumbnail
|22.07.18
like-count3
commnet-count18
view-count2,936
22.07.18
자유주제

7월 18일까지 전기충전 비 VS 연료비 환산 (A.K.A 전기차 구매 뽐뿌질)

오늘 까지 매주 월요일 회사든 집이든 충전을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50% 또는 40% 정도에서 90% 까지 충전하고 있지요. 7월 18일 까지 3번 충전 했는데 충전 내용을 비교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마 충전 손실 고려 해서 주행거리로 따지자면 조금 차이가 덜 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50% 할인 미적용시 연료로 환산 시 현재까지 111

GoFoward|22.07.18
like-count2
commnet-count0
view-count1,059
22.07.18
자유주제

한강서 발견된 10세 추정 아동 신원파악 난항..DNA일치 사례없어

지난 5일 경기 김포시 한강 하구에서 시신으로 발견된 10세 전후로 추정되는 남자 아이에 대해 경찰이 신원 파악에 난항을 겪고 있다. 18일 일산서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13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시신의 유전자(DNA) 결과가 나왔으나 국내에 등록된 유전자와 일치하는 사례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신의 부패정도가 심해 지문의 표피가 박탈되면서 복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8
22.07.18
자유주제

"대박 수주 나오나"..반도체·회계 전문가도 매수한 종목

포스코케미칼 주가가 최근 1년 새 30% 넘게 빠진 데다 목표주가도 내려가고 있다. 하지만 이 회사 사외이사인 권오철 전 SK하이닉스 사장과 윤현철 예일회계법인 회장은 지난달부터 포스코케미칼 주식을 1억원 안팎씩 사들이는 중이다. 이 회사가 제너럴모터스(GM)는 물론 자동차업체와의 양극재 합작사 추진을 타진하는 데다 1조1000억원 규모의 설비투자도 이어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71
22.07.18
자유주제

은행 정기예금 중도해지 문의 쇄도..왜?

최근 시중은행 영업점에 정기예금 중도해지를 문의하는 고객이 늘고 있다. 한국은행이 한 번에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한 이후 수신 금리가 인상되면서 수요가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정기예금 상품에 가입한 지 몇 달 안 되는 고객들을 중심으로 중도해지에 대한 문의가 많이 들어오고 있다"며 "아무래도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7
22.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