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부모 무덤 앞에서 무너진 '형제애'..형 흉기 난동에 동생은 중상

울트라맨8

Lv 116

22.07.18

view_cnt

850

부모의 무덤 앞에서 벌어진 장남의 흉기 난동으로 형제애가 처참히 무너졌다. 아버지 재산 상속을 둘러싼 형제들 사이 다툼과 파묘가 화근이었다. 일이 벌어진 때는 지난해 9월 13일 오전. 장남 A(53)씨는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소주 2병을 마신 채 전북 고창군 아버지 묘소를 찾았다. 그는 어머니 임종도 지키지 못했다는 자책감에 빠져 있었다. 이때 A씨 동생은 아버지 묘에 어머니를 합장하려고 무덤을 파고 있었다. 파묘 소식을 모르고 있던 A씨는 아버지 무덤이 파헤쳐진 모습에 분노했다. 아버지의 토지 상속 문제로 형제들과 크게 다퉜던 기억이 합쳐지면서 화가 걷잡을 수 없이 치밀었다. 형제들과 수년간 왕래하지 않은 탓에 감정의 골은 이미 깊어져 있었던 터다. 분을 이기지 못한 A씨는 소지하고 있던 흉기를 휘둘렀다. 동생이 이를 막자 또 다른 칼을 꺼내 들어 범행을 이어갔다. 머리에 큰 상처를 입은 동생은 얼굴로 흐르는 피를 닦으면서 도망쳤고 112에 신고했다. 동생은 불안한 마음에 어머니 장례식장에 있는 누나들에 대해서도 신변 보호를 요청했다. 과거 A씨가 '어머니 돌아가시면 너희들 다 죽이겠다'고 했던 말이 떠올라서다. 동생은 전치 4주의 상해를 입고 병원 신세를 져야 했다. 서로 우애 좋게 잘 살기를 바라던 부모 앞에서 형제는 이토록 비참한 꼴을 보이고 말았다. 법정에 선 A씨는 "동생을 죽일 의도가 없었다"고 혐의를 부인하면서 흉기 2자루를 소지한 이유에 대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려고 했다"고 진술했다. 1심 재판부는 A씨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살인 미수 혐의를 인정해 징역 5년을 선고했다. 항소심 재판부의 판단도 다르지 않았다. 광주고법 전주재판부 제1형사부(백강진 부장판사)는 사실오인과 양형 부당 등을 주장한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 원심이 내린 징역 5년을 유지했다고 18일 밝혔다. 재판부는 "진술과 증거 등을 종합하면 피고인이 동생을 흉기로 살해하려 한 점을 인정할 수 있다"며 "피해자가 먼저 피고인에게 덤벼들어 몸싸움이 벌어졌다는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부모 무덤 앞에서 무너진 '형제애'..형 흉기 난동에 동생은 중상

부모 무덤 앞에서 무너진 '형제애'..형 흉기 난동에 동생은 중상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가정집 문 부수고 들어와 소독" 中 과한 방역에 불만 폭발

중국에서 코로나19 방역 요원들이 가정집 문을 부수고 들어오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홍콩 명보는 18일 "상하이에 이어 광저우에서도 최근 방역 요원들이 비어있는 집의 문을 부수고 들어가 살균소독 작업을 펼쳤다"며 "누리꾼들에 따르면 광저우 리완구의 한 주거지역에서 100가구 이상이 그런 일을 당했다"고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방역 요원들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67
22.07.18
자유주제

연세대 동문 법률가 230명 청소·경비노동자에 연대.."학교가 사태 해결해야" 촉구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시위 중인 연세대 청소·경비노동자들에게 힘을 보태려는 연세대 동문 법률가들이 무려 230명으로 늘어났다. 연세대 출신 변호사와 노무사·법학교수·법학박사 등 총 230명으로 이뤄진 ‘연세대 청소노동자와 연대하는 동문 법률가 일동’은 18일 청소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한 재학생의 소송 제기 사태 해결을 학교 측에 촉구하는 동시에 노동자들에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3
22.07.18
자유주제

조합장 사퇴한 혼란의 '둔촌주공'.. D-36 대출만기 시계는 그대로 '째깍째깍'

조합과 시공사 간 갈등으로 공사가 중단된 지 3개월이 넘은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아파트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갈등의 중심에 있던 조합장이 사퇴한 것인데, 나머지 집행부와 조합의 상가분쟁 관련 입장 등은 그대로인 상황이라 공사가 빨리 재개되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다. 18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김현철 둔촌주공 재건축 조합장은 전날 ‘조합장직을 사임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1
22.07.18
공지
자유주제

[📣공지] 겟차 홈이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공지 알리미입니다. 겟차에 들어오는 유저들이 쉽게 차량을 탐색하고 구매 상담할 수 있도록 겟차 ‘홈’ 상단 영역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이제 겟차 홈에서 차량 구매/상담과 관련된 기능을 바로 찾아볼 수 있습니다! (1) 차량 시세 확인 - 브랜드별 최신 할인가 실시간 확인 (2) 견적 계산 - 일시불/할부/리스/렌트 조건별 견적 계산 (

thumbnail
공지 알리미|22.07.18
like-count20
commnet-count9
view-count1,874
22.07.18
자유주제

인천 폐기물 공장 끼임사고 원인은 '동료의 실수'

지난해 인천에 있는 폐기물 처리 공장에서 50대 노동자가 컨베이어벨트에 끼여 숨진 사고는 동료 외국인 노동자의 실수로 발생한 인재로 드러났다. 인천지법 형사13단독 장현석 판사는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된 우즈베키스탄 국적인 폐기물 수집·운반업체 직원 A(35)씨에게 금고 1년 2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고 18일 밝혔다. 장 판사는 또 업무상과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1
22.07.18
자유주제

맹견이 덤벼든다면? 동물행동교정 전문가 "등 보이지 마라, 목을 보호해라"

◇ 이현웅 아나운서(이하 이현웅): 슬기로운 라디오생활 1부, 이슈인터뷰로 준비했습니다. 울산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목줄이 풀린 개가 초등학생을 물어 크게 다치게 한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그런데 개의 안락사 절차가 잠정 중단됐다는데요. 어떤 이유로 안락사가 중단되었는지, 반복되는 개물림 사고를 막을 방법은 없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반려동물행동교정 전문가시죠,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1
22.07.18
자유주제

북송 어민, 판문점서 '털썩' 주저앉자 특공대원들 "야야야, 잡아"

통일부가 지난 2019년 11월 '탈북어민 북송' 당시 판문점에서 통일부 직원이 촬영한 현장 영상을 18일 공개했다. 3분56초 분량의 이 영상엔 안대를 쓰고 포승줄에 묶인 탈북어민들이 경찰특공대 호송 아래 판문점 내 우리 측 자유의집에 도착한 뒤 대기실로 이동했다가 다시 밖으로 나와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북한으로 가기 직전까지의 모습이 담겼다.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2
22.07.18
자유주제

"정부 방역 '비과학적'..병원비 환자부담 늘리고 생활지원 축소"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는 18일 논평을 내고 병의원 외래 진료비를 환자 본인이 부담하게 하고, 확진자 생활지원 대상을 축소하는 등의 정부 정책을 "비과학적"이라고 지적하며 전면 수정할 것을 촉구했다. 참여연대는 "코로나19가 재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환자에게 병원비 부담을 전가하고, 코로나19 생활지원비 대상을 줄이는 정책을 펴며 사실상 의료취약계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12
22.07.18
자유주제

퀴어 축제에서 만난 7명의 청년들 "우린 혼자가 아니다"

지난 7월 16일(토) 3년 만에 대면으로 진행된 서울퀴어문화축제(이하 퀴어 축제)에서 만난 이시현(27)씨는 “오프라인으로 개최된단 소식에 설레서 고민하지 않고 달려왔다”고 답했다. 올해로 23회째인 퀴어 축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 2년간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축제가 열리기까지 평탄하진 않았다. 퀴어 축제 조직위는 광장 사용신고서를 지난 4월 13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0
22.07.18
자유주제

김주현 "코인 투자자, 원금 탕감 없다..금융권과 대화할 것"(종합)

정부의 청년·소상공인 지원방안에 가상자산(암호화폐) 투자자 보호 방안이 담기면서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 논란이 거세지는 가운데,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투자 손실을 본) 청년층의 원금 감면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지원 방안 설계 과정에서 금융권과 소통이 부족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대화로 풀겠다"고 밝혔다. 18일 오후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정부서울청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5
22.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