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스팩도 줄줄이 퇴출, 올해 5번째 상폐 임박

울트라맨8

Lv 116

22.07.18

view_cnt

738

부진한 시장에서 안전처로 취급받는 스팩이 합병 대상을 찾지 못해 퇴출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올해 이미 네 개의 스팩주가 상장폐지 됐으며 내일부터 또 다른 스팩주의 정리매매가 시작될 예정이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하이제5호스팩은 상장폐지 사유 발생으로 이날 하루 동안 거래가 정지된 후 오는 19일부터 27일까지 정리매매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이달 28일 상장폐지 됨에 따라 주식시장에서 퇴출된다. 하이제5호스팩의 상장폐지는 합병대상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스팩(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은 비상장 기업과의 합병을 목적으로 설립되는 서류상의 회사다. 상장 후 3년내 합병해야 하며 합병 대상을 찾지 못한 경우, 상장폐지된다. 하이제5호스팩은 지난해말까지만 해도 합병이 될 것이란 기대감이 불었던 스팩주다. 지난해 12월 광고대행업체 드림인사이트와 합병 계획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 4월 합병 철회를 발표했다. 한국거래소의 승인절차가 상당기간 지연됐던 것을 감안하면 거래소 내부적으로 미승인 결론을 냈던 것으로 추정된다. 종종 거래소는 상장심사를 승인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주관사나 발행사에 상장을 철회하고 추후 재상장을 추진하라고 권하는 편이다. 이와 같은 스팩주의 상장폐지 사례는 꾸준하게 나오고 있다. 지난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상장폐지된 코스닥 상장사 85개사 가운데 23개사가 스팩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해에만 7개사가 상장폐지 됐으며 올해는 이미 4개사가 시장에서 퇴출된 셈이다. 지난 2월4일 케이비제18호기업인수목적을 시작으로 같은달 17일 이베스트이안기업인수목적1호, 4월4일 상상인이안제2호기업인수목적, 5월9일 케이비제19호기업인수목적 등이 상장폐지됐다. 다만 상장폐지시 일정 이자를 돌려준다. 이에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안전한 주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증시가 부진했던 지난달말 일부 스팩 종목에서 주가 급등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삼성스팩6호는 지난달 30일 상장해 4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주의할 점은 공모가 기준의 이자로 예상보다 적다는 점이다. 올해 상장폐지된 스팩주들의 청산금을 살펴보면 케이비제18호스팩은 2042.04원이 입금됐고, 이베스트이안1호스팩은 2045.39원, 상상인이안제2호스팩은 2047.71원이었다. 상장 당시 예치이율은 1.44~1.91%였으나 금리하락기 등을 거치며 낮은 예치이율로 변경됐다. 또 상장폐지 이후 청산금 입금까지 약 3개월에 가까운 시간이 소요된다. 케이비제18호스팩은 지난 2월4일 상장폐지돼 청산금 입금은 84일 후인 4월29일이 이뤄졌다. 이베스트이안1호스팩은 83일 뒤인 5월11일에, 상상인이안제2호스팩은 79일뒤인 6월22일이었다. 케이비제19호스팩의 청산금은 오는 8월5일 입금될 예정이다. 이를 감안하면 약 평균 80일 뒤 청산금이 입금된다.
스팩도 줄줄이 퇴출, 올해 5번째 상폐 임박

스팩도 줄줄이 퇴출, 올해 5번째 상폐 임박

사이트 방문

댓글

1

vi

Lv 103
22.07.19

ㄷㄷㄷ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250만+α' 주택 공급하고 서민 주거비 부담 낮춘다

정부가 부동산시장 안정화를 위해 내달 중 250만가구 주택공급 로드맵을 발표한다. 물량·입지·품질·정주환경 등을 총망라한 주거 청사진을 제시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어 ‘빅스텝’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확대된 주거비 부담을 낮추기 위해 디딤돌 대출에 대한 저금리·고정금리 대환도 시행키로 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윤석열 대통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65
22.07.18
자유주제

"공공개발만 주던 혜택, 민간에도"..주택공급 늘리고 속도 높인다

정부가 도심 주택공급 물량 확보를 위해 공공주도로 추진해온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도심복합사업)을 민간사업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정비사업 지연의 원인으로 지목된 심의 절차를 통합해 인허가 기간을 최대 1년 단축할 방침이다. 주택 공급 총량을 늘리면서 공급 속도는 올리겠다는 전략이다. ━ '민간 제안 도심복합사업' 신모델 도입해 도심 공급 확대 ━ 국토교통부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8
22.07.18
자유주제

서울시 모아타운 21곳 지정.. 대상지 중 주목해야 할 곳은 어디?

서울시 주택정비 사업인 모아타운 대상지로 21곳의 자치구가 지정됐습니다. 모아타운은 발표 전부터 이슈를 일으킨 서울시의 정비사업입니다. 그래서인지 모아타운 대상지 21곳 모두 큰 관심을 모았는데요. 하지만 21곳의 모아타운 대상지 중에서도 특히 눈에 띄는 자치구는 존재합니다. 이에 KB부동산에서는 모아타운 대상지 중 주목해야 할 곳은 어디인지 자세히 정리해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21
22.07.18
자유주제

정부, 민간도심개발 활성화..전문가 "침체 시장에 공급 동력 기대"

정부가 공공개발에만 적용했던 도시건축 특례, 통합심의 등을 민간사업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공급 물량을 확보하고 속도까지 높인다는 전략이다. 이번 대책으로 민간사업이 활성화 되면서 서울 도심, GTX(수도권광역철도) 역세권 등에 주택공급이 늘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기대다. 아울러, 금리인상기 주거비 경감을 위해 디딤돌대출 고정금리 대환을 추진하는 방안에 대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1
22.07.18
자유주제

외면 받던 '타다' '우버' 시동 걸리나..심야 택시 승차난에 "재검토"

4명 중 1명. 심야시간대 택시잡기에 성공(호출성공률)하는 사람 수다. 정부가 날이 갈수록 심해지는 심야시간 택시 승차난 해소를 위해 '탄력요금제'를 도입한다. '타다'나 '우버'와 같은 승차공유형 플랫폼에 대해서도 재검토키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18일 새 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시장경제원리에 따라 가격 요인을 통해 부족한 택시 공급을 늘리되 국민이 수용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1
22.07.18
자유주제

"여행 갔다 날벼락" 中 관광지 봉쇄돼 2천여명 6일째 발묶여

중국의 유명 관광지가 코로나19 확산으로 봉쇄돼 여행객 2천여명이 6일째 현지에서 발이 묶여 있다고 펑파이신문 등 현지 매체들이 1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광시좡족자치구 베이하이시에서 지난 12일 첫 감염자가 나온 이후 5일 만에 531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됐다. 베이하이시가 전역을 봉쇄하면서 2천여명이 6일째 귀가하지 못하고 현지에서 발이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03
22.07.18
HOT
자유주제

5투어링 나와도 괜찮지 않을까요?

일단 가격이 5시리즈와 비슷해서 6gt보다는 훨씬 싼데 5보다 훨씬 많이 실리잖아요 ㅎㅎ V60CC 이랑 비교가 될텐데 저라면 5투어링 고를거 같습니다. 523d 럭셔리 엑드 투어링 나오면 멀리 놀러가는거 좋아하는 가족들한테는 딱일거 같습니다 ^^ 근데 많이 안팔리겠죠? ㅋㅋㅋ

째둘럽|22.07.18
like-count6
commnet-count11
view-count2,080
22.07.18
자유주제

부산 해운대구 80mm 비..온천천 하상도로 통행 재개

호우주의보가 내려졌다가 해제된 18일 부산에 많은 비가 내렸다. 부산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 지역별 누적 강수량은 해운대구 80㎜, 영도구 78.5㎜, 기장군 77㎜, 남구 73.5㎜, 동래구 67㎜ 등이다. 공식 관측소가 있는 중구 대청동은 60.6㎜로 집계됐다. 많은 비가 내리는 가운데 오전 8시 40분께 동래구 법원어귀 교차로 신호등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8
22.07.18
자유주제

벤투호, EAFF-E1 챔피언십서 6회 우승 도전

한국이 2022 EAFF(동아시아축구연맹)-E1 챔피언십 우승을 노린다. 대회 시작에 앞서 대표팀의 대회 참가 역사를 되돌아본다. 지난 2003년 출범한 EAFF-E1 챔피언십은 올해로 9회째를 맞는다. 동아시아 10개국의 축구 발전과 건전한 경쟁을 위해 창설된 이 대회는 한국, 북한, 일본, 중국이 우승을 다투며 이어져왔다. 유럽에 진출한 선수들의 출전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1
22.07.18
자유주제

한국의 아시안컵 유치전, 인도네시아·카타르·호주와 4강 구도 확정

2023년 아시안컵 유치전이 한국을 포함한 4강 구도로 확인됐다. 아시아축구연맹(AFC)은 18일 아시아안컵 유치의향서 접수를 지난 15일 마감한 결과 한국과 인도네시아, 카타르, 호주 등 4개국이 유치전에 공식 참여했다고 발표했다. 대한축구협회도 AFC에서 같은 내용의 공문을 받았다고 밝혔다. 아시안컵은 4년에 한 번 아시아의 최강을 가리는 국제대회로

울트라맨8|22.07.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22
22.07.18
스팩도 줄줄이 퇴출, 올해 5번째 상폐 임박 - 겟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