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이 어때서...왜 욕먹을 각오를 하고 글을 쓰시는건지....제 연봉에 무리인가요? 묻기보다는


GoFoward
22.07.19

5,166
댓글
39

겟츄아악
이게맞는거같습니다.

0

0
sting55
본인도 놀림거리 될까바 말안하신다며요 그분들도 욕먹을거 알지만 그나마도 조언듣고싶어서 혹은 공감받고싶어서 올리는거겠죠~

0

1


GoFoward
그거랑은 결이 다름니다. 톡방이지 겟차 커뮤가 아니거든요....거긴 친목이라 카푸어 이런 놀림이 아니에요 ㅎ

0

0


GoFoward
제 글의 초점은 당당하게 물어보라는겁니다

1

0
쿵쿵쓰
공감이 많이 되네요 삶의 기준이 집이었을때는 하우스 푸어가 많앗죠 그때도 하우스 푸어를 보고 ㅉㅉㅉ 하신 분들 많앗구요

1

1


GoFoward
지금은 라이프 스타일과 관점이 너무 다양합니다

1

0
진우농장
흑흑..저도 가난합니다 ㅠㅠ

0

2


GoFoward
뻘소리는 톡방에서만 부탁요 ^^

0

0
진우농장
흑흑ㅠㅠ 네 ㅠㅠ


0

0


울트라맨8
본인기준마다 다른것인데 참... ㅎㅎ

0

1


GoFoward
그렇죠....기준들이 다 다르죠

0

0


장세진
뭐... 많은 사람들에게 본인이 듣고 싶은 대답을 들으려는 심리도 한 몫 할듯요 ^^ 그리고 조심스러운 말투로 문의한 걸 당당하지 않다고 생각할 필요도 없는 것 같구요 ^^ 그런 글에 의견 남기시는 분들의 생각과 상황도 매우 다양하니 물어보고 의견을 들어서 나쁠 건 별로 없을듯요^^

1

1


GoFoward
나쁘다는게 아니고 저는 좀 위축된 분들이 계신거 같아서요 ㅎㅎ

0

0

회색 버스 939
본인이 살수있을지 없을지는 본인이 가장 잘알죠

0

1



요요기
이게 정답이쥬

0

0


사이파
본인이 듣고 싶은 대답 듣고 싶어서 올리는 분이 대부분이죠ㅎㅎㅎ 연봉은 같아도 사람마다 자산 가치, 가족에게 쓰는 정도, 취미생활 지출 수준, 부모님 재산과의 연관 정도 등등 모든게 천차만별인데...

0

1


GoFoward
그렇긴 한데.....너무 눈치보면서 올리는 분들 계시길래요 ㅎ

0

0

hunyGo
그쵸 200버는데 생활비 20쓰면 할부 100이상짜리도 살수 있는거고 1000을 벌어도 생활비가 900이면 못사는거죠

2

1
대이비드베컴
공감되네요

0

0


썸씽wrong
조심스러울 수는 있다고 생각하고 공감도 됩니다. 문제는 함부로 이야기하는 사람들이죠ㅎㅎ 근데 익명성이 보장된 곳에서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 아닐까요...ㅎㅎㅎ 그나마 겟차가 다른 자동차 커뮤니티에 비하면 기본적으로 존대어가 디폴트라는게 다행이죠...

0

0


FAITH YJ
답정너인데 마지막으로 확인 받고 싶은 마음이 아닐까 합니다

0

0



냐냥잉
공감 추천~

0

0

널쓰리
전 당당합니다 카푸업니다 ㅎㅎ

0

0


ㅋ!ㅋ!ㅋ!
참 어려운거네요....

0

0
소금나라대마왕
틀림은 지적할수 있지만 다름은 인정하는 사회가 되어야겠지요.. 사실 온라인에서 무언가를 지적하는거 차체가 웃기긴하지만..ㅋ

0

0
1%행운
당당하게 질문하고 냉정하게 평가받는거 당연한겁니다

0

0

심사숙고
꼰대지 뭐 요즘 인생 욜로 아닌가요

0

0

그냥아재요
남 연봉이 어쩌고하며 기름값이냐 수리비냐.. 떠드는건 오지랍 ㅋㅋ 남인생 참견하는건 아닌게 맞아요 ㅎ 얼마를 벌든 얼마를 쓰든~

0

0
아우디A6 @
진짜 능력있고 돈많은 사람은 욕안해요 지가사고싶은데 능력안되서 못사고 자기보다 별차이없이 월급받는거같은데 부러우니까 욕하는거지 신경안쓰시고 자기가목표했던차사서 만족하면 좋은거고 차보다 더 우선순위가 있다면 그걸먼저하면되는거고 인생에 정답이 어딨습니까 자기가 만들어가는거지

0

0
민간 재개발·재건축 통합 심의…인허가 기간 1년 단축
국토교통부가 오늘(18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주택 공급 속도를 높이기 위해 민간 주도의 재개발과 재건축에도 서울시가 도입한 통합 심의, 이른바 신통기획 방식을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렇게 되면 인허가 기간이 1년 정도 줄어듭니다. 팽재용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통합심의는 재건축·재개발 사업승인에 필요한 도시계획, 건축, 경관 등의 심의를





표절 논란…유희열, 13년 함께한 '스케치북' 하차하며 남긴 말
최근 표절 논란에 휘말린 가수 겸 작곡가 유희열이 KBS 2TV 음악 프로그램 '유희열의 스케치북'에서 하차한다. 유희열은 18일 소속사 안테나를 통해 "'유희열의 스케치북'은 600회를 끝으로 마무리하려고 한다"며 "13년 3개월이라는 긴 시간 아껴주신 많은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 인사를 올린다"고 밝혔다. 그는 "프로그램과 제작진들의 피해를 최소화하





뱅크오브아메리카, 올 2분기 순익 32% 감소…이자수익은 22%↑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올해 2분기 순익이 32% 감소했다. 다만 금리 인상과 대출 증가로 이자 수익은 22% 증가했다. 18일(현지시간) 미국 CNBC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올해 2분기 순익이 62억5000만 달러(주당 73센트)로 전년 동기 대비 32% 줄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전망치(주당 75센트)보다 낮은 수준이다. 자본 시장의 변동성





대기업 임금 줄인상…성큼 다가온 '신입 1억원 시대'
반도체 주요 기업, 신입사원 초봉 1억원 근접 최고 매출 행진에 인재 확보 경쟁 치열해지면서 보수 및 성과 높인 영향 고물가 속 임금플레이션 우려도 대기업 중심으로 구성돼 있는 국내 반도체·전자업계가 우수인력 확보를 위해 앞다퉈 보수·복지 수준을 높이면서 입사 1년 차 신입사원의 보수가 연 1억원에 근접했다. 최근 정부가 물가상승 심화를 이유로 기업들에





여름휴가 당기는 직장인들 "거리두기 전에 다녀오자"
직장인 박재민씨(35)는 8월에 가족여행을 가기로 했다가 다음 주로 바꾸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자 가족과 논의한 끝에 2주를 앞당긴 것. 박씨는 "휴가 일정을 갑자기 바꿔 회사에 눈치도 보이고 업무를 맡아주기로 했던 직장 동료에도 미안했다"면서도 "정부가 거리두기 부활은 없을 것이라고 했지만, 최근 상황이 심각한 것 같아 일찍 휴가를 다녀오기로





여중생들, 보란 듯 담배 '뻑뻑'…"증거 영상 찍었더니 신고 당했어요"
부산의 한 아파트 단지 내에서 담배를 피운 중학생들이 이를 지적한 동네 주민을 오히려 경찰에 신고했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18일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는 '얘네들을 어떻게 해야할까요'라는 제목으로 글이 올라왔다. 작성자 A씨는 "중학생들이 아파트 단지 내에서 대놓고 담배를 피웠다"며 "이를 본 이웃 주민의 훈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끝까지 연초를 피우





또 박쥐서 퍼졌다…이번엔 '마버그 바이러스' 치명률 최대 88%
치명률이 최대 88%인 감염성 질병 '마버그 바이러스'가 서아프리카 가나에서 발견됐다. 지난해 기니에서 발견된 뒤 서아프리카에서 이 바이러스가 확인된 건 두번째다. 17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에 따르면 가나 보건당국은 "이달 초 남부 아샨티 지역의 두 사람에게서 채취한 혈액 샘플에서 마버그 바이러스가 발견됐다"며 "가나에서 이 바이러스가 확인된 건 처





집 지었는데 '날벼락'…"우리 아파트 이름에서 나가주세요"
내년에 일반분양을 앞둔 A조합 온라인 커뮤니티는 아파트 이름 때문에 연일 왈가왈부가 이어진다. 아파트명이 이미지 뿐 아니라 가격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름에 대한 고민은 준공 이후에도 이어진다. 주변 호재를 반영하거나 트렌드에 따라 몇 번씩 바꾸기도 한다. 복수의 건설사가 지었지만 주민들의 선호에 따라 특정 건설사 아파트 브랜드가 빠





만남 거부하자 흉기 공격…비명 들은 주민들이 제압
"만나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알고 지내던 여성을 흉기로 찌른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여성의 비명소리를 들은 아파트 주민들이 흉기를 든 남성을 제압하고 여성을 구했습니다. 전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늦은밤, 아파트 단지로 걸어 들어와 서성이는 남성. 여성 두 명에게 다가가더니 그 중 한 명과 함께 아파트 건물로 들어갑니다. 20분쯤





집값 떨어지는데 무섭게 오르는 월세…집 사도 안 사도 걱정
고금리의 여파가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먼저 부동산 시장은 집값이 떨어지는데 월세는 오르고 있습니다. 임대인도 임차인도 고통스러운 현상인데요. 올해 상반기, 생애 처음으로 집을 사는 건수가 최근 10년 중 가장 적었습니다. 집값 하락과 금리 인상으로 자칫 집만 깔고 앉은 하우스푸어로 전락할 수 있다는 위기감에 집 사는 걸 꺼린 거죠. 그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