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1000만원 넣으면 月 2.25만원?..'파킹통장' 금리 가장 높은 곳은

울트라맨8

Lv 116

22.07.19

view_cnt

650

한국은행의 사상 첫 빅스텝(Big Step·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인상하는 것) 단행으로 금융회사들이 잇달아 예·적금 금리를 올리고 있는 가운데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받을 수 있는 '파킹통장' 금리도 상승하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가장 높은 수준의 파킹통장 금리를 주는 곳은 OK저축은행이다. OK저축은행은 지난 8일부터 'OK읏통장' 금리를 0.2%P(포인트) 인상해 연 최고 3.2% 금리를 제공 중이다. 예치금 1000만원까지 기본 연 3% 금리를 주고, 시중은행이나 증권사 앱(애플리케이션) 오픈뱅킹에 이 통장을 등록하면 연 0.2%P의 우대금리를 얹어준다. 예컨대 1000만원을 넣어두고 우대금리 조건을 채웠다면 매달 세후 2만2560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웰컴저축은행도 5000만원 한도로 '웰컴 직장인사랑 보통예금'의 금리를 최고 연 3%까지 준다. 기본금리 연 1.5%에 우대금리 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연 1.5%P를 얹어준다. 우대금리 조건은 △100만원 이상 급여이체시 연 0.5%P △이 계좌로 CMS 또는 지로 자동납부시 연 0.5%P △개인정보 수집이용(마케팅 이용목적 등)과 멤버십 가입이용 동의시 연 0.5%P 등이다. SBI저축은행 역시 최근 파킹통장인 '입출금통장' 금리를 연 1.6%에서 연 2.2%로 올렸다. 이 금리가 적용되는 예치금 한도는 1억원까지다. 인터넷전문은행들은 저축은행보다 금리는 낮지만 상대적으로 넉넉한 한도를 앞세워 고객들을 끌어모으려 하고 있다. 케이뱅크는 지난 15일부터 파킹통장인 '플러스박스' 금리를 연 1.3%에서 연 2.1%로 인상했다. 최대 3억원까지 이 금리를 적용한다. 토스뱅크 역시 출범 초기부터 큰 인기를 끈 '토스뱅크 통장'을 1억원 한도로 연 2%의 금리 혜택을 주고 있다. 특히 다른 금융사와 달리 하루마다 이자를 줘 '일 복리' 효과도 누릴 수 있다. 아울러 카카오뱅크는 '세이프박스' 금리를 1억원까지 연 1.2%를 적용하고 있다.
communityImage
1000만원 넣으면 月 2.25만원?..'파킹통장' 금리 가장 높은 곳은

1000만원 넣으면 月 2.25만원?..'파킹통장' 금리 가장 높은 곳은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치솟는 물가에 '투잡' 뛰는 미국인 늘었다..기름값·집세 부담 증가

4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정도로 물가가 치솟자 미국인들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동시간을 늘리는 것은 물론 부업을 찾기 시작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임금보다 물가가 더 빨리 오르는 탓에 급격히 높아진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해서다. 세인트루이스연방준비은행 경제통계(FRED)에 따르면 미국에서 여러 개의 부업을 가진 사람의

울트라맨8|22.07.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9
22.07.19
자유주제

K배터리 원료 삼총사, 니켈·리튬·코발트가 불안하다

이 숫자는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자원정보서비스(KOMIS)가 공시하는 '희소금속지수'의 올해 상반기 평균치다. 2016년 1월 평균가격을 1,000으로 잡고 시작한 이 지수가 6년 반 만에 4배로 증가했다. 희소금속지수는 정부 지정 희소금속 35종 중 한국이 많이 수입한 상위 7종(니켈 리튬 몰리브덴 크롬 망간 코발트 희토류)의 종합가격을 나타낸다. 당연히

thumbnail
울트라맨8|22.07.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3
22.07.19
자유주제

정부, 대우조선 하청노조 파업에 경찰력 투입?(종합)

정부가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에 대한 강경 대응 방침을 분명히 하면서 경찰력 투입을 통한 강제 해산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임금 정상화 등을 요구하며 18일로 47일째 이어지고 있는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에 정부가 사실상 최후통첩을 보냈다. 민주노총 전국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는 지난 달 2일부터 조선업 불황 시절 30% 삭감됐던 임금을

울트라맨8|22.07.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92
22.07.19
자유주제

스벅도 "못 버티겠다" 비명..물가 뛰고 덜 팔리자 英사업 매각 검토

세계 최대 커피 프랜차이즈인 스타벅스가 영국 사업 매각을 검토 중이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나타난 소비변화로 매출이 부진한 가운데 역대급 물가상승에 임대료, 자재료 등 현지 운영 비용 부담이 커진 영향이다. 17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더타임스는 업계 소식통을 인용해 스타벅스가 최근 미국 투자은행 훌리안 로키(Houli

울트라맨8|22.07.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92
22.07.19
자유주제

편의점·백화점은 괜찮은데 대형마트·슈퍼는 '빨간불', 왜?

살아날 조짐을 보였던 유통업 체감 경기가 고물가·고금리 등으로 소비심리가 꺾이면서 또다시 급속히 얼어붙고 있다. 특히 대형마트와 슈퍼마켓에서 유통 경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소매유통업체 500곳을 대상으로 '3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를 조사한 결과 84로, 전 분기 대비 15포인트 하락했다고 18일 밝혔다.

울트라맨8|22.07.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95
22.07.19
자유주제

"안전성 부적합"..세라젬, '초음파 마사지기' 판매 중단·회수

세라젬이 판매한 초음파 자극기 '유리듬S'가 안전성과 관련한 의료기기 시험 규격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아 판매가 중단됐다. 19일 세라젬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세라젬의 '유리듬S'(CGM MBD-1901)는 이달 5일 판매 중단 및 회수 명령을 받았다. 해당 제품은 2020년 4월22일 제조됐으며 제조번호가 MBDMTD00346이다.

thumbnail
울트라맨8|22.07.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55
22.07.19
자유주제

코인 시총 1조달러 넘었다..1달여 만에 최고

전 세계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1조달러를 넘어섰다. 긴축 공포가 다소 누그러지고, 치명적인 악재가 부상하지 않으면서 코인 시장이 반등한 것이다. 시장에서는 바닥을 찍고 상승할 것이란 기대가 있지만, 연말까지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제기된다. 19일 가상자산 시황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전 세계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지난 18일 오후에 1조달러를 넘어섰

울트라맨8|22.07.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4
22.07.19
자유주제

물가 오를수록 '피크아웃' 가까워진다..주목할 업종은?

글로벌 경제가 인플레이션에 휘청인다. 증권가는 인플레이션 방향성이 전환되는 국면에 필수소비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방어 업종 중에서도 양호한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18일 CJ제일제당은 전 거래일 대비 1500원(-1.64%) 하락한 39만1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CJ프레시웨이는 전 거래일보다 50원(-0.14%) 내린 3만5

울트라맨8|22.07.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5
22.07.19
자유주제

성사땐 K바이오 힘얻는데..세계 최대 제약 M&A 연기?

글로벌 빅파마 MSD(머크)의 시애틀제네틱스(Seagen·시젠) 인수합병 여부에 이목이 쏠린다. 인수합병 지연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팬데믹 이후 최대 규모(약 53조원) M&A인 만큼 계약 성사 시 바이오 업계에 활력을 넣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피인수 업체 시젠이 ADC(항체·약물 접합제)에 특화돼 있어 이와 관련된 국내 바이오 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

thumbnail
울트라맨8|22.07.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08
22.07.19
자유주제

한국 유니콘 기업 12개로 늘어.."플랫폼 산업에 집중"

국내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 10억달러 이상의 스타트업 기업)이 5년 새 3곳에서 12곳으로 늘어났다. 18일 회계·컨설팅 기업인 KPMG가 HSBC와 공동으로 조사한 '아시아·태평양 이머징 자이언트 동향·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벤처 펀딩이 급증하면서 2017년 3곳에 불과하던 유니콘 기업이 지난 4월 기준 12곳으로 증가했다.

thumbnail
울트라맨8|22.07.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52
22.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