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10대·20대 확진 많은데..거리두기 안 하는 이유는?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43

<앵커> 남은 궁금증은 조동찬 의학전문기자와 정리해보겠습니다. Q. 변이 2종류 동시 확산? [조동찬/의학 전문기자(전문의) : 과거에 두 변이가 연달아 치고 오면 어땠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지난 3월 국내 하루 확진자가 65만 명으로 정점이었는데요. 정점 열흘 전쯤에 BA.1에서 BA.2로 우세종이 바뀌었습니다. 이게 정점을 더 높였고요, 정점의 꼬리도 길게 만들었습니다. 영국은 BA.1의 정점이 꺾일 때 BA.2로 바뀌었는데 그래서 양봉이 생겼습니다. BA.2.75가 치고 들어오면 BA.5가 홀로 오는 것보다는 피해가 클 겁니다.] Q. 거리두기는 '아직' [조동찬/의학 전문기자(전문의) : 최근 확진자 연령 보면 20대가 19.2%로 가장 많고요, 10대가 16.3%로 다음입니다. 면역력이 서서히 소진되고 있고 활동이 활발한 게 원인이겠죠. 거리두기는 확진자 급증을 두세 달 늦춰서 병원이 놓치는 환자를 막고 사망률을 낮추는 게 목적입니다. 장기적으로 거리두기로는 확진자 자체 숫자를 줄일 수는 없는데요. 거리두기와 사망률 감소를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부터는 효과가 있지만, 그 아래는 거의 없습니다. 거리두기 주 대상은 젊은 층인데 효과가 없으니까 세계 어느 나라도 거리두기 카드를 아직 다시 꺼내고 있지는 않습니다.]

10대·20대 확진 많은데..거리두기 안 하는 이유는?10대·20대 확진 많은데..거리두기 안 하는 이유는?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