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2030년까지 모든 공공공사에 3차원 입체 설계기법 BIM 의무화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61

정부가 건설 산업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2030년까지 모든 공공 공사에 대해 BIM(건설정보모델링·3차원 설계) 도입을 의무화한다. 또 건설기계 자동화를 촉진하기 위해 건설기준을 정비하고, 스마트 건설산업 육성을 위해 향후 5년간 건설 강소기업 100개를 선정해 지원한다. 이원재 국토교통부 1차관은 20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열린 '스마트건설 기업지원센터 2센터 개소식'에서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 건설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우리 건설업이 다른 산업과 달리 디지털화 수준이 낮고 고령의 인력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어 성장의 한계에 달했다는 판단 아래 안전·환경 등의 가치가 중요해지는 시대에 경쟁력을 갖추도록 이번 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컨설팅 업체 맥킨지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우리 건설업의 생산성 증가율은 연평균 1.0%로, 제조업(3.6%)이나 전체 산업 평균(2.7%)보다 낮고 건설업의 디지털화 수준은 약 6%로, 제조업(28%)은 물론 농업(10%)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이에 국토부는 2030년까지 건설 전 과정을 디지털화·자동화해 글로벌 건설시장을 선도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3가지 추진과제를 내놨다. 최첨단 'BIM' 기법, 2030년까지 모든 공공공사에 도입 먼저 건설산업 디지털화를 위해 BIM 도입을 순차적으로 확대하고 관련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BIM은 건축물의 3차원 입체 정보를 바탕으로 설계·시공하는 기술로, 기존의 2차원 도면으로는 어려운 건축물의 기획·설계·시공·유지관리 등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2017년 당시 국내 최고 높이로 지어진 롯데월드타워(123층·555m) 등 대형 프로젝트에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 고속도로·철도 등 공공사업의 설계 단계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다만 아직 통일된 정부 지침이 없는 데다 인허가는 기존의 2D(2차원) 도면으로 진행돼 작업량이 가중되는 등 비효율적인 구조라는 지적이 나온다.

2030년까지 모든 공공공사에 3차원 입체 설계기법 BIM 의무화2030년까지 모든 공공공사에 3차원 입체 설계기법 BIM 의무화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